미술 감상은 객관적 자극으로서의 예술작품, 주관적 감상자로서의 개인, 그리고 전시공간을 대표로 작품을 경험하는 시공간적 맥락이 추가된 복합적인 상호작용이 미술 감상과 연관되어진...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6090159
2018
-
KCI등재후보
학술저널
19-29(11쪽)
2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미술 감상은 객관적 자극으로서의 예술작품, 주관적 감상자로서의 개인, 그리고 전시공간을 대표로 작품을 경험하는 시공간적 맥락이 추가된 복합적인 상호작용이 미술 감상과 연관되어진...
미술 감상은 객관적 자극으로서의 예술작품, 주관적 감상자로서의 개인, 그리고 전시공간을 대표로 작품을 경험하는 시공간적 맥락이 추가된 복합적인 상호작용이 미술 감상과 연관되어진다. 이러한 미술 감상 과정을 통해 감상자는 개인마다의 현재의 내적 상태에 따라 다양한 정서적 통찰의 경험을 통해 자기 성장의 경험을 가져 갈 수 있다.
오늘날 현대사회는 물질적 풍요로움은 넘치는데 반해, 현대인은 사회적 상황의 불안함에 자아 정체성의 혼란과 무력감, 좌절감에서 오는 존재론적 공허감이 빚어내는 정신적 공항에 시달리고 있다. 이러한 현대인에게 있어 실존적 삶의 태도는 내적 불안한 삶 속에서 주체적 삶을 살아갈 수 있는 기회의 장을 마련해 줄 수 있다고 하겠다. 여기서의 실존적 삶의 태도란 내적 주체성과 외적 다양성을 존중하고 수용하면서 겸손함을 갖춘 상태를 말한다.
따라서 본 연구자는 20세기 초 실존주의 사상을 기초로 한 표현주의 작품 중 대표적 작가인 에곤 쉴레의 인물화 감상을 통해 감상자에게 작가의 내면세계를 전달하여 큰 공감을 일으킴으로서 카타르시스와 자기 성찰을 통해 자아통합의 심리치료적 효과를 나타낼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 특히 오늘날 현대인의 내면 깊숙한 곳에 자리한 불안과 존재론적 공허감, 현대 사회에 대한 통렬한 비판과 인간 소외 현상들을 에곤 쉴레 회화 작품과 소통하면서 자신들의 실존적 고민과 실존적 삶의 태도에 경종을 울릴 수 있기를 바란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Art appreciation is related to art appreciation as a combination of artistic work as an objective stimulus and individual as a subjective artist and a spatio-temporal context in which a work is experienced on behalf of an exhibition space. Through thi...
Art appreciation is related to art appreciation as a combination of artistic work as an objective stimulus and individual as a subjective artist and a spatio-temporal context in which a work is experienced on behalf of an exhibition space. Through this process of appreciation of art, the viewer can experience of self growth through experience of various emotional insights according to the current internal state of each individual.
Today, contemporary society is full of material abundance, but contemporary people are suffering from the mental airport created by the ontological emptiness that comes from the confusion, helplessness and frustration of self-identity in the uneasiness of social situation. In this modern people, the attitude of existential life can provide a place of opportunity to live a subjective life in an inner uneasy life.
Therefore, this researcher, through the portraiture of the representative writer, Egon Schiele, of the expressionist works based on the Existentialism in the early 20th century, conveyed the inner world of the artist to the viewer, I think that the psychotherapeutic effect of integration will be shown. Especially today, it is possible to ring the anxieties, the ontological emptiness, deep criticism of the modern society and the human alienation phenomenon deeply in the inside of the contemporary people today, and to wake up their existential agony and the attitude of existential life by communicating with the artwork of Egon Schiele I hope.
참고문헌 (Reference)
1 김봉경, "현대인의 실존적 삶의 태도와 조형적 효과"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5
2 이윤경, "표현주의 미술의 색채심리와 심리 치료적 요인에 관한 연구" 한양대학교 산업경영디자인대학원 2010
3 에릭 캔델, "통찰의 시대" 알에치코리아 2015
4 롤로 메이, "존재의 발견" 갑인출판사 1986
5 한채정, "예술작품 감상이 감상자에게 미치는 영향" 동국대학교 문화예술대학원 2009
6 서성희, "예술사회학 관점에서 본 미술전시의 관람자 연구: Pierre Bourdieu 이론을 중심으로" 세종대학교 언론홍보대학원 2003
7 김윤재, "에곤 쉴레의 작품에 나타나 저항의식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7
8 김윤희, "에곤 쉴레의 인물화 연구" 경기대학교 대학원 2006
9 라인하르트 슈타이너, "에곤 쉴레" 마로니에북스 2005
10 알베르 카뮈, "시지프의 신화" 책세상 2005
1 김봉경, "현대인의 실존적 삶의 태도와 조형적 효과"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5
2 이윤경, "표현주의 미술의 색채심리와 심리 치료적 요인에 관한 연구" 한양대학교 산업경영디자인대학원 2010
3 에릭 캔델, "통찰의 시대" 알에치코리아 2015
4 롤로 메이, "존재의 발견" 갑인출판사 1986
5 한채정, "예술작품 감상이 감상자에게 미치는 영향" 동국대학교 문화예술대학원 2009
6 서성희, "예술사회학 관점에서 본 미술전시의 관람자 연구: Pierre Bourdieu 이론을 중심으로" 세종대학교 언론홍보대학원 2003
7 김윤재, "에곤 쉴레의 작품에 나타나 저항의식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7
8 김윤희, "에곤 쉴레의 인물화 연구" 경기대학교 대학원 2006
9 라인하르트 슈타이너, "에곤 쉴레" 마로니에북스 2005
10 알베르 카뮈, "시지프의 신화" 책세상 2005
11 김영준, "미술 전시공간의 체제분석" 경성대학교 대학원 2010
12 김정현, "니체철학의 해석들" 북코리아 2017
13 John Dewey, "경험으로써의 예술" 책세상 2003
14 안지연, "감상자 특성에 따른 미술 감상의 양상"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4
15 Wilson, Simon, "Egon Schiele" Cornell University Press 1980
16 에곤 쉴레, "EGON SCHIELE 세상의 하이페리온" Media Arte 2006
17 김재원, "19세기 말 신체 이미지 메타포(Metaphor)의 상징성 연구" 한양대학교 대학원 2007
시의 공간언어 도출에 의한 김영랑 문학 전시관 기획 - 김영랑을 대표하는 시 3편을 중심으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