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대학생의 학업성취에서 그릿과 인지전략, 과제도구성 지각의 역할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에서는 대학생의 학업성취와 관련된 그릿, 인지전략, 과제도구성 지각의 관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또한 그릿의 하위요인인 흥미유지와 노력지속은 학업성취를 예측하는데 차별적 역할을 할 것으로 예상하였으며, 구체적으로 노력지속이 인지전략을 매개로 학업성취를 예측하는 가운데, 흥미유지와 과제도구성 지각이 이러한 매개효과를 조절할 것으로 가정하였다. 이러한 가설을 검증하기 위해 대학생 442명의 설문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확인적 요인분석과 잠재조절구조방정식 모형 검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노력지속은 인지전략을 통해 학업성취를 간접적으로 유의하게 예측하였다. 둘째, 인지전략이 노력지속과 학업성취를 매개하는 가운데, 이러한 매개효과는 흥미유지를 통해 유의하게 조절되고 있었으며, 흥미유지는 노력지속의 간접효과를 증폭시키는 역할을 하였다. 셋째, 노력지속의 간접효과는 과제도구성 지각이 평균 수준 이상일 때, 흥미유지가 적어도 평균보다 1표준편차 이상 높은 수준을 가지고 있어야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제공한다. 그릿 하위요인의 역할을 구분하여 살펴볼 필요가 있으며, 학습에 끈기있게 노력하는 특성은 관심을 꾸준히 유지하는 특성이 뒷받침되어야 하며, 학습과제의 유용성을 지각하고 있을 때 실질적인 성취를 이끌어 낼 수 있다.
      번역하기

      이 연구에서는 대학생의 학업성취와 관련된 그릿, 인지전략, 과제도구성 지각의 관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또한 그릿의 하위요인인 흥미유지와 노력지속은 학업성취를 예측하는데 차별적 ...

      이 연구에서는 대학생의 학업성취와 관련된 그릿, 인지전략, 과제도구성 지각의 관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또한 그릿의 하위요인인 흥미유지와 노력지속은 학업성취를 예측하는데 차별적 역할을 할 것으로 예상하였으며, 구체적으로 노력지속이 인지전략을 매개로 학업성취를 예측하는 가운데, 흥미유지와 과제도구성 지각이 이러한 매개효과를 조절할 것으로 가정하였다. 이러한 가설을 검증하기 위해 대학생 442명의 설문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확인적 요인분석과 잠재조절구조방정식 모형 검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노력지속은 인지전략을 통해 학업성취를 간접적으로 유의하게 예측하였다. 둘째, 인지전략이 노력지속과 학업성취를 매개하는 가운데, 이러한 매개효과는 흥미유지를 통해 유의하게 조절되고 있었으며, 흥미유지는 노력지속의 간접효과를 증폭시키는 역할을 하였다. 셋째, 노력지속의 간접효과는 과제도구성 지각이 평균 수준 이상일 때, 흥미유지가 적어도 평균보다 1표준편차 이상 높은 수준을 가지고 있어야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제공한다. 그릿 하위요인의 역할을 구분하여 살펴볼 필요가 있으며, 학습에 끈기있게 노력하는 특성은 관심을 꾸준히 유지하는 특성이 뒷받침되어야 하며, 학습과제의 유용성을 지각하고 있을 때 실질적인 성취를 이끌어 낼 수 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grit, cognitive strategy, and perceived task instrumentality in the academic achievement of college students. Grit"s sub-factors, consistency of interest and perseverance of effort, were expected to play a differentiating role in predicting academic achievement. Specifically, when perseverance of effort is predictive of academic achievement through cognitive strategy, it is assumed that the mediating effect is moderated by consistency of interest and perceived task instrumentality. To verify this hypothesis, a total of 442 college students participated in the present study and survey data were collected.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and latent moderated structural equation model were conducted for analysis.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perseverance of effort significantly and indirectly predicted academic achievement through cognitive strategy. Second, while cognitive strategy mediated perseverance of effort and academic achievement, the mediating effect was significantly moderated by consistency of interest, not perceived task instrumentality. Specifically, consistency of interest was found to amplify the indirect effect of perseverance of effort. Third, the indirect effect of perseverance of effort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when the level of perceived task instrumentality was above average and consistency of interest was at least one standard deviation higher than the average. The results of this study imply the following: First, it is necessary to differentiate grit’s two factors especially for identifying their distinct function in achievement. In addition, the nature of perseverance in learning can actually lead to high achievement when perceiving the usefulness of a learning task and maintaining task interest consistently.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grit, cognitive strategy, and perceived task instrumentality in the academic achievement of college students. Grit"s sub-factors, consistency of interest and perseverance of effor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grit, cognitive strategy, and perceived task instrumentality in the academic achievement of college students. Grit"s sub-factors, consistency of interest and perseverance of effort, were expected to play a differentiating role in predicting academic achievement. Specifically, when perseverance of effort is predictive of academic achievement through cognitive strategy, it is assumed that the mediating effect is moderated by consistency of interest and perceived task instrumentality. To verify this hypothesis, a total of 442 college students participated in the present study and survey data were collected.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and latent moderated structural equation model were conducted for analysis.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perseverance of effort significantly and indirectly predicted academic achievement through cognitive strategy. Second, while cognitive strategy mediated perseverance of effort and academic achievement, the mediating effect was significantly moderated by consistency of interest, not perceived task instrumentality. Specifically, consistency of interest was found to amplify the indirect effect of perseverance of effort. Third, the indirect effect of perseverance of effort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when the level of perceived task instrumentality was above average and consistency of interest was at least one standard deviation higher than the average. The results of this study imply the following: First, it is necessary to differentiate grit’s two factors especially for identifying their distinct function in achievement. In addition, the nature of perseverance in learning can actually lead to high achievement when perceiving the usefulness of a learning task and maintaining task interest consistently.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요약
      • Ⅰ. 서론
      • Ⅱ. 이론적 배경
      • Ⅲ. 연구방법
      • Ⅳ. 연구결과
      • 요약
      • Ⅰ. 서론
      • Ⅱ. 이론적 배경
      • Ⅲ. 연구방법
      • Ⅳ. 연구결과
      • Ⅴ. 논의 및 결론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임효진, "초등학생의 미래목표 프로파일과 미래시간 관점, 그릿의 관계" 한국초등교육학회 32 (32): 119-143, 2019

      2 황매향, "초등학생의 그릿(Grit)과 학업성취도의 관계에서자기조절학습의 매개효과" 한국초등상담교육학회 16 (16): 301-319, 2017

      3 임효진, "원격대학 여성 성인학습자들의 끈기(Grit)와 목표인식, 학업-가정갈등 및 사회적 지지가 학업적응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육심리학회 31 (31): 59-81, 2017

      4 이수란, "무엇이 뛰어난 학업성취를 예측하는가? -신중하게 계획된 연습과 투지(Grit)" 한국심리학회산하학교심리학회 10 (10): 349-366, 2013

      5 임효진, "대학생의 자기조절학습 잠재프로파일 분석: 그릿(Grit)의 예측력을 중심으로" 한국교육방법학회 30 (30): 91-113, 2018

      6 최영미, "대학생의 미래지향목표, 근접하위목표, 과제도구성지각 및 자기조절전략 간의 구조적 관계" 한국교육심리학회 27 (27): 77-98, 2013

      7 문병상, "내․외재적 미래 목표, 과제도구성 지각과 자기조절학습전략의 구조적 관계 분석" 한국교육심리학회 25 (25): 219-234, 2011

      8 하혜숙, "끈기와 자기통제 집단수준에 따른 성격요인의 예측력 및 학교 부적응과 학업성취의 관계" 원격교육연구소 11 (11): 145-166, 2015

      9 임효진, "그릿의 최근 연구동향과 재개념화의 필요성" 한국교육심리학회 3 (3): 663-681, 2017

      10 임효진, "그릿-S 척도 문항의 문제점과 요인구조의 타당성" 61-67, 2019

      1 임효진, "초등학생의 미래목표 프로파일과 미래시간 관점, 그릿의 관계" 한국초등교육학회 32 (32): 119-143, 2019

      2 황매향, "초등학생의 그릿(Grit)과 학업성취도의 관계에서자기조절학습의 매개효과" 한국초등상담교육학회 16 (16): 301-319, 2017

      3 임효진, "원격대학 여성 성인학습자들의 끈기(Grit)와 목표인식, 학업-가정갈등 및 사회적 지지가 학업적응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육심리학회 31 (31): 59-81, 2017

      4 이수란, "무엇이 뛰어난 학업성취를 예측하는가? -신중하게 계획된 연습과 투지(Grit)" 한국심리학회산하학교심리학회 10 (10): 349-366, 2013

      5 임효진, "대학생의 자기조절학습 잠재프로파일 분석: 그릿(Grit)의 예측력을 중심으로" 한국교육방법학회 30 (30): 91-113, 2018

      6 최영미, "대학생의 미래지향목표, 근접하위목표, 과제도구성지각 및 자기조절전략 간의 구조적 관계" 한국교육심리학회 27 (27): 77-98, 2013

      7 문병상, "내․외재적 미래 목표, 과제도구성 지각과 자기조절학습전략의 구조적 관계 분석" 한국교육심리학회 25 (25): 219-234, 2011

      8 하혜숙, "끈기와 자기통제 집단수준에 따른 성격요인의 예측력 및 학교 부적응과 학업성취의 관계" 원격교육연구소 11 (11): 145-166, 2015

      9 임효진, "그릿의 최근 연구동향과 재개념화의 필요성" 한국교육심리학회 3 (3): 663-681, 2017

      10 임효진, "그릿-S 척도 문항의 문제점과 요인구조의 타당성" 61-67, 2019

      11 임효진, "그릿, 내-외재가치, 수업참여, 인지조절과 학업성취의 구조적 관계" 교육종합연구원 27 (27): 235-256, 2018

      12 임효진, "그릿(Grit)의 요인구조와 타당도에 관한 탐색적 연구" 교육연구소 18 (18): 169-192, 2017

      13 임효진, "그릿(Grit)의 요인구조 및 초등학생과 대학생 집단에서 나타나는 잠재평균의 차이" 한국교육학회 55 (55): 87-113, 2017

      14 한국교육심리학회, "교육심리학용어사전" 학지사 2000

      15 문공주, "고등학생의 투지, 흥미, 과제집착력, 자기조절능력 및 과학학업성취의 관계 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 36 (36): 445-455, 2016

      16 Credé, M., "What shall we do about grit? A critical review of what we know and what we don’t know" 47 (47): 606-611, 2018

      17 Rimfeld, K., "True grit and genetics : Predicting academic achievement from personality" 111 (111): 780-789, 2016

      18 Husman, J., "The role of the future in student motivation" 34 (34): 113-125, 1999

      19 Heckman, J., "The importance of non-cognitive skills : Lessons from the GED testing program" 91 (91): 145-149, 2001

      20 Bandura, A., "Self-efficacy: The exercise of control" Freeman 1997

      21 Duckworth, A., "Self-control and grit : Related but separable determinants of success" 23 (23): 319-325, 2014

      22 Pintrich, P. R., "Reliability and predictive validity of the Motivated Strategies for Learning Questionnaire(MSLQ)" 53 (53): 801-813, 1993

      23 Kline, R. B., "Principles and practice of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The Guilford Press 2005

      24 Greene, B. A., "Predicting high school students' cognitive engagement and achievement : Contributions of classroom perceptions and motivation" 29 (29): 462-482, 2004

      25 Credé, M., "Much ado about grit : A meta-analytic synthesis of grit literature" 113 (113): 429-511, 2016

      26 Schunk, D. H., "Motivation in education: Theory, research, and education" Pearson 2013

      27 Klein, A., "Maximum likelihood estimation of latent interaction effects with the LMS method" 65 (65): 457-474, 2000

      28 배병렬, "M-plus 7. 0 구조방정식모델링" 청람 2016

      29 McKeachie, W. J., "Learning and study strategies: Issues in assessment, instruction, and evaluation" Academic Press 3-9, 1988

      30 Wolters, C. A., "Investigating grit and its relations with college students’ self-regulated learning and academic achievement" 10 (10): 293-311, 2015

      31 Hayes, A. F., "Introduction to mediation, moderation, and conditional process analysis: A regression-based approach" Guilford Press 2018

      32 Husman, J., "Instrumentality, task value, and intrinsic motivation : Making sense of their independent interdependence" 29 (29): 63-76, 2004

      33 Muenks, K. M., "How true is grit? Assessing its relations to high school and college students’ personality characteristics, self-regulation, engagement, and achievement" 109 (109): 599-620, 2017

      34 Taylor, S. E., "Harnessing the imagination : Mental simulation, self-regulation, and coping" 53 (53): 429-439, 1998

      35 Eskreis-Winkler, L., "Handbook of self-regulation: Research, theory and applications" Guilford 380-395, 2016

      36 Zimmerman, B. J., "Handbook of self-regulation of learning and performance" Routledge 49-64, 2011

      37 Duckworth, A. L., "Grit : Perseverance and passion for long-term goals" 92 (92): 1087-1101, 2007

      38 Oettingen, G., "Future thought and behaviour change" 23 (23): 1-63, 2012

      39 Miller, R. B., "Engagement in academic work : The role of learning goals, future consequences, pleasing others, and perceived ability" 21 (21): 388-422, 1996

      40 Datu, J. A. D.,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the Triarchic Model of Grit Scale(TMGS) : Evidence from Filipino undergraduate students" 114 : 198-205, 2017

      41 Duckworth, A. L.,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the Short Grit Scale (GRIT-S)" 91 (91): 166-174, 2009

      42 Duckworth, A. L., "Deliberate practice spells success: Why grittier competitors triumph at the national spelling bee?" 2 (2): 174-181, 2011

      43 Muenks, K., "Associations between grit, motivation, and achievement in high school students" 4 (4): 158-176, 2018

      44 Miller, R. B., "A model of future-oriented motivation and self-regulation" 16 (16): 9-33, 2004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54 1.54 2.09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2.19 2.24 2.372 0.28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