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만성통증 질환의 하나인 섬유근통증후군을 진단받은 환자를 대상으로 펠든크라이스 기법 중재가 신체 ‧ 심리적 건강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가를 탐색한 사례연구이다. 연구 참...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9634357
2025
Korean
만성통증 ; 섬유근통증후군 ; 펠든크라이스 ; 심리운동 ; 신체이미지 ; Chronic Pain ; Fibromyalgia Syndrome ; Feldenkrais Method ; Psychomotorik ; Body Image
KCI등재
학술저널
23-47(25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만성통증 질환의 하나인 섬유근통증후군을 진단받은 환자를 대상으로 펠든크라이스 기법 중재가 신체 ‧ 심리적 건강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가를 탐색한 사례연구이다. 연구 참...
본 연구는 만성통증 질환의 하나인 섬유근통증후군을 진단받은 환자를 대상으로 펠든크라이스 기법 중재가 신체 ‧ 심리적 건강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가를 탐색한 사례연구이다. 연구 참여자는 총 12주간 주 1회, 회기당 90분의 펠든크라이스 수업에 참여하였다. 단축형 건강관련 삶의 질(SF-36)과 긍정심리자본(PPC) 척도, 면담 및 관찰일지, 신체이미지 그림을 통해 양적 ‧ 질적 자료를 수집 ‧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신체건강 및 정신건강과 관련한 삶의 질 지표가 유의미하게 증가하였으며, 긍정심리자본 중 희망과 낙관주의, 회복탄력성이 향상되었다. 질적 분석에서는 관절과 근육, 호흡 등 신체에 대한 자각이 증가하면서 신체이미지 개선과 통증 완화가 나타났고, 안전한 상황에서 비습관적인 움직임의 방향과 에포트(effort)로의 전환시 긍정적 정서를 경험하였다. 또한, 만성통증으로 인한 긴장과 불안을 자각하고 조절할 수 있게 되었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참여자의 일상생활에서의 불편감이 경감되고 희망이 형성되는 과정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처럼 펠든크라이스 기법은 심리운동으로서 신체경험 구성요소를 통해 신체와 심리를 통합적으로 다루어 만성통증 관리에 효과적인 중재 방법으로 기여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is a case study that explores how a Feldenkrais method intervention affects physical and psychological health in a patient diagnosed with fibromyalgia syndrome, a chronic pain condition. The participant attended Feldenkrais classes once a week fo...
This is a case study that explores how a Feldenkrais method intervention affects physical and psychological health in a patient diagnosed with fibromyalgia syndrome, a chronic pain condition. The participant attended Feldenkrais classes once a week for 90 minutes per session for a total of 12 weeks.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data were collected and analyzed using the Short Form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SF-36) and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PPC) scales, interview and observation diaries, and body image drawings. The results showed an increase in quality of life indicators related to physical and mental health, as well as an increase in hope, optimism, and resilience as components of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The qualitative analysis revealed that the participant experienced an improvement in body image and pain relief as a result of increased body awareness. The participant also experienced positive emotions when transitioning to non-habitual movement directions and Effort in a safe context. The participant was also able to recognize and regulate tension and anxiety caused by chronic pain. Through this process, the participant's daily discomfort was reduced, and a sense of hope was cultivated. These findings suggest that the Feldenkrais method, as a psychomotorik, can be an effective intervention for chronic pain management by integrating the body and mind through its somatic experience component.
가정폭력피해자 보호시설 여성들의 경험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발달협응성장애 아동의 운동협응성 및 신체적 자아개념 향상을 위한 심리운동중재 사례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