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 새로운 진단 범주를 완전히 뒷받침하거나 사회적(실용적) 의사소통장애를 다른 발달 상태와 구별하는 사회적 의사소통의 측면을 확인하는 데 도움이 되는 연구 증거는 아직 많이 부족...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국문 초록 (Abstract)
현재 새로운 진단 범주를 완전히 뒷받침하거나 사회적(실용적) 의사소통장애를 다른 발달 상태와 구별하는 사회적 의사소통의 측면을 확인하는 데 도움이 되는 연구 증거는 아직 많이 부족...
현재 새로운 진단 범주를 완전히 뒷받침하거나 사회적(실용적) 의사소통장애를 다른 발달 상태와 구별하는 사회적 의사소통의 측면을 확인하는 데 도움이 되는 연구 증거는 아직 많이 부족하다. 사회적 의사소통 장애와 실용적 언어 결함은 본질적으로 지속될 가능성이 높고 여러 발달적 성과의 영향을 받는 광범위한 현상을 구성한다. 사회적 의사소통과 실용적 언어 기술은 반드시 하나가 아니다. 실용적 언어가 맥락에서 언어를 이해하고 사용하는 것으로 간주된다면 많은 아동이 추론 및 모호성 해결과 같은 실용적 언어 과제에서 성공하지만 성공적인 사회적 의사소통의 뉘앙스에 도전받을 것이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Research evidence is still lacking to fully support current new diagnostic categories or to help identify aspects of social communication that distinguish social(pragmatic) communication disorders from other developmental conditions. Social communicat...
Research evidence is still lacking to fully support current new diagnostic categories or to help identify aspects of social communication that distinguish social(pragmatic) communication disorders from other developmental conditions. Social communication disorders and practical language defects constitute a wide range of phenomena that are likely to persist in nature and are affected by several developmental outcomes. Social communication and practical language skills are not necessarily one. If practical language is considered to understand and use language in context, many children will be challenged by the nuances of successful but successful social communication, such as reasoning and ambiguity resolution.
In order to establish the validity of social(pragmatic) communication disorders as diagnostic entities, clinical studies should be able to explain consistent clinical phenomena, and culturally and ecologically valid assessment tools with appropriate levels of inter-assessor and retest reliability should be developed to improve the consistency of diagnosis. In addition, there should be a clear comparison of practical profiles across various neurodevelopmental disorders, charting the developmental pathways of children with social(pragmatic) communication disorders, and monitoring the stability of the diagnosis over time. To do this, a family study should also be conducted to begin elucidat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auses of this disorder and other neurodevelopmental disorders, and also interventional studies are urgently required as they provide a means to test theories on the assumed causes and consequences of social(pragmatic) communication disorders.
가정폭력피해자 보호시설 여성들의 경험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움직임은 어떻게 희망을 만드는가 - 만성통증 환자의 사례연구 -
발달협응성장애 아동의 운동협응성 및 신체적 자아개념 향상을 위한 심리운동중재 사례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