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를 목적은 로컬푸드와 지역 우수 기업들의 좋은 제품을 학교 급식에 공급함으로써 로컬푸드의 안정적인 공급처 확대 및 지역 기업의 동반 성장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로컬푸드...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T13710115
대구 : 경북대학교 농업생명융합대학원, 2015
학위논문 (석사) -- 경북대학교 농업생명융합대학원 , 농업생명융합대학원 농촌개발전공 , 2015. 2
2015
한국어
338.1 판사항(23)
대구
41 p. : 삽화 ; 26 cm
지도교수: 김현석
참고문헌 수록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를 목적은 로컬푸드와 지역 우수 기업들의 좋은 제품을 학교 급식에 공급함으로써 로컬푸드의 안정적인 공급처 확대 및 지역 기업의 동반 성장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로컬푸드...
본 연구를 목적은 로컬푸드와 지역 우수 기업들의 좋은 제품을 학교 급식에 공급함으로써 로컬푸드의 안정적인 공급처 확대 및 지역 기업의 동반 성장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로컬푸드를 급식에 확대하기 위한 방안들이 많이 제시되고 있지만 실제 급식 현장에서 로컬푸드의 활용도가 낮다. 이는 학교 급식에서 실 사용자인 영양사들이 로컬푸드에 대한 구매의 어려움을 토로하고 있다. 학교 급식의 경우 매월 진행되는 입찰을 통해 제품을 선정하게 된다. 매월 200품목이상을 구매해야 하는 영양사로서는 구매의 일원화가 필요하다. 많은 농산물 그중에서 로컬푸드만 별도로 입찰을 진행한다는 건 현실적으로 어려운 얘기다. 즉 로컬푸드가 좋은 식자재임에도 불구하고 구매가 어렵다는 얘기다. 또한 지역 우수 기업들이 생산한 좋은 제품들이 안정적인 판매처가 확보되지 않아 대기업의 OEM에 그치고 있다. 그래서 지역 로컬푸드와 지역 우수 기업들이 생산한 좋은 제품을 공동의 브랜드를 통해 급식 현장에 공급하게 된다면 현장에서는 질 좋고 우수한 식자재를 안정적으로 공급 받을 수 있을 것이다. 공동브랜드를 통해 제품의 규격과 품질 그리고 구매의 편리성을 갖추게 된다면 급식 현장에서의 사용 확대는 충분히 가능하다. 그리고 공동브랜드의 안정적인 정착을 위해서는 통합 물류센터 구축이 필요하고 무엇보다 교육청과 지자체에서 각 급 학교 영양사들에서 공동브랜드에 대한 적극적인 사용 권장이 필요할 것이다. 좋은 식자재를 급식 현장에 널리 확대하기 위해서는 실사용자의 구매 편리성 및 안전성의 확보가 무엇보다 중요한 요소이다. 공동브랜드 개발을 통해 급식 시장에서 안정적인 공급이 된다면, 지역 농민과 중소기업의 발전은 물론 지역 경제 발전에서 큰 도움이 될 것이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aims to come up with a plan to expand stable suppliers of local food and jointly develop local enterprises by supplying local food and excellent local enterprises’ good products. Although many plans for the expansion of local food for sch...
This study aims to come up with a plan to expand stable suppliers of local food and jointly develop local enterprises by supplying local food and excellent local enterprises’ good products. Although many plans for the expansion of local food for school meals have been proposed, the use of local food in the actual sites of school food services is low. Thus, school nutritionists, the actual users in the provision of school meals express their difficulties in purchasing local food. Products are selected through monthly bidding for school meals. Nutritionists who have to purchase more than 200 items a month need to unify their purchases. In fact, it is difficult for them to proceed with bidding separately for local food among many agricultural products. In other words, despite local food is excellent food materials, it is difficult to purchase it. In addition, good products produced by excellent local enterprises do not stably secure distributors, so they end in large enterprises’ OEMs at best. Therefore, if local food and good products produced by excellent local enterprises are supplied to the sites of the provision of school meals through a joint brand, thesites will be able to be provided with quality and excellent food materials, stably. If the standards, quality and convenience of purchases of products are secured through the joint brand, it will be quite possible to expand the use of the products in the sites of the provision of school meals. Also, for the stable settlement of the joint brand, it will be necessary to build an integrated distribution center, and above all, education offices and local governments should actively recommend that nutritionists in schools of various levels should use the joint brand. To expand excellent food materials widely in the sites of the provision of school meals, securing the convenience in purchasing and safety for the actual users is the most important element. Stable supplies in the market of school meals through developing a joint brand will greatly help develop the local economy as well as the local farmers and small and medium-sized enterprises.
목차 (Table of Cont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