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논문은 전통숲의 용어 사용에 대한 기존의 연구를 비판적으로 검토하여 전통숲을 도시숲·마을숲·기타숲이란 3개의 유형으로 분류하였다. 그리고 도시숲을 국도숲·읍치숲 2개의 유형�...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82512058
2009
-
980
KCI등재
학술저널
223-242(20쪽)
5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논문은 전통숲의 용어 사용에 대한 기존의 연구를 비판적으로 검토하여 전통숲을 도시숲·마을숲·기타숲이란 3개의 유형으로 분류하였다. 그리고 도시숲을 국도숲·읍치숲 2개의 유형�...
본 논문은 전통숲의 용어 사용에 대한 기존의 연구를 비판적으로 검토하여 전통숲을 도시숲·마을숲·기타숲이란 3개의 유형으로 분류하였다. 그리고 도시숲을 국도숲·읍치숲 2개의 유형으로, 마을숲을 양반마을숲·평민마을숲 2개의 유형으로 세분하였다. 다음으로 조선의 수도인 한양의 국도숲이 갖고 있는 특징을 세계사적 보편성과 조선적 특수성의 결합형태라는 관점에서 살펴보았다. 세계사적 측면에서 한양의 국도숲이 갖고 있는 구체적 특징은 다음과 같다. 첫째, 산을 매개로 하여 하늘과 연결된 왕의 권위를 표현하기 위해 왕궁·종묘 등 도시의 최고 권위 공간까지 숲으로 보호된 산줄기가 깊숙이 들어와 있었다. 둘째, 하늘=산=권위 건물이란 3단계적 상징 경관이 밖에서는 보이지 않게 하기 위해 도시 전체를 숲으로 보호된 산줄기로 둘러쌓았다. 셋째, 자연적인 산줄기로는 도시를 완벽하게 둘러싸지 못하는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해 인공숲을 조성하였다. 넷째, 숲으로 보호된 산줄기가 도시 내부와 주변에 풍부한 장점을 이용하여 인공적인 정원숲보다는 자연을 적극 활용한 정원숲이 대다수였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detailed characteristics of the urban forest of Hanyang, a capital of the Joseon period, in terms of the world history are as follows: Fist, the mountain ridge protected by forest was placed deep into the most authoritative space of the city for r...
The detailed characteristics of the urban forest of Hanyang, a capital of the Joseon period, in terms of the world history are as follows: Fist, the mountain ridge protected by forest was placed deep into the most authoritative space of the city for representing the authority of kings connected to the sky through the medium of mountain. Second, the whole city was surrounded by the mountain ridge protected by forest for the 'three-factors symbol landscape, that is, the sky is equal with mountain, which is also equal with authority building' not to be seen from the outside. Third, the artificial forest was formed in order to complement a problem that the city was not surrounded completely by the natural mountain ridge. Fourth, mostly there were more garden forests that actively used nature rather than artificial garden forests, and the first type of garden forest was formed by using a merit that the mountain ridge protected by forest was abundant inside and surrounding of the city.
참고문헌 (Reference)
1 최원석, "한국의 풍수와 비보" 민속원 2004
2 이도원, "한국의 전통생태학 2" 사이언스북스 2008
3 이도원, "한국의 전통생태학" 사이언스북스 2004
4 장동수, "한국 전통도시숲의 입지적 특성과 유형에 관한 연구" 29 (29): 210-217, 1994
5 장동수, "한국 전통도시숲의 분포, 유형, 기능, 임상에 관한 연구" 29 (29): 249-260, 1994
6 이도원, "한국 옛 경관 속의 생태지혜" 서울대학교출판부 2003
7 최원석, "풍수로 보는 우리 민족의 산, in: 풍수, 그삶의 지리 생명의 지리" 푸른나무 11-101, 1993
8 이중환, "택리지" 을유문화사 1993
9 최창조, "좋은 땅이란 어디를 말함인가-韓國風水思想의 理論과 實際" 도서출판 서해문집 1990
10 생명의숲국민운동, "조선의 임수에 기재된 전통마을숲 고증답사 연구II" 2007
1 최원석, "한국의 풍수와 비보" 민속원 2004
2 이도원, "한국의 전통생태학 2" 사이언스북스 2008
3 이도원, "한국의 전통생태학" 사이언스북스 2004
4 장동수, "한국 전통도시숲의 입지적 특성과 유형에 관한 연구" 29 (29): 210-217, 1994
5 장동수, "한국 전통도시숲의 분포, 유형, 기능, 임상에 관한 연구" 29 (29): 249-260, 1994
6 이도원, "한국 옛 경관 속의 생태지혜" 서울대학교출판부 2003
7 최원석, "풍수로 보는 우리 민족의 산, in: 풍수, 그삶의 지리 생명의 지리" 푸른나무 11-101, 1993
8 이중환, "택리지" 을유문화사 1993
9 최창조, "좋은 땅이란 어디를 말함인가-韓國風水思想의 理論과 實際" 도서출판 서해문집 1990
10 생명의숲국민운동, "조선의 임수에 기재된 전통마을숲 고증답사 연구II" 2007
11 생명의숲국민운동, "조선의 임수에 기재된 전통마을숲 고증답사 연구" 2005
12 최원석, "조선의 임수 중 경상북도 고을숲(邑藪) 연구 - 풍수적 측면을 중심으로 -, in: 조선의 임수에 기재된 전통마을숲 고증답사 연구" 생명의숲국민운동 2005
13 이기봉, "조선의 도시: 권위와 상징의 공간" 새문사 2008
14 이도원, "전통마을 경관요소들의 생태적 의미" 서울대학교출판부 2004
15 장동수, "전통도시숲의 실용적 기능에 관한 연구(1)" 30 (30): 237-250, 1995
16 이 선, "우리와 함께 살아 온 나무와 꽃 - 한국 전통 조경 식재, 수류산방" 중심 2006
17 생명의숲국민운동, "역주 조선의 임수" 지오북 2007
18 대구MBC, "안압지-우리 정원의 원류를 찾아서" 이른아침 2004
19 오충현, "서울의 전통도시숲" 사이언스북스 110-111, 2008
20 홍석모, "서울·세시·한시" 보고사 2003
21 고전연구실, "북역 고려사 제1책" 신서원 1991
22 박재철, "마을숲의 바람과 온습도 조절기능에 대한 실증적 연구" 국민대학교 대학원 2002
23 김종원, "마을숲과 참살이" 계명대학교출판부 2007
24 문화재청, "마을숲 문화재 자원조사 연구보고서" 2003
25 김학범, "마을숲" 열화당 1994
26 최창조, "땅의 논리 인간의 논리" 민음사 1992
27 민족문화추진회, "고전국역총서 신증동국여지승람" 1982
28 이병도, "고려시대의 연구: 특히 도참사상의 발전을 중심으로" 아세아문화사 1980
29 경상북도, "경상북도 마을숲 조사보고서" 2008
30 김덕현, "傳統村落의 洞藪에 관한 연구: 안동 내앞 마을의 開湖松을 중심으로" 13 : 29-45, 1986
16-17세기 서양고지도에 나타난 우리나라의 섬 형태 분석과 지리인식에 대한 연구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7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201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 |
2017-12-01 | 평가 |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 |
2013-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201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200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200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2004-12-26 | 학술지명변경 | 한글명 : 한국문화역사지리학회 -> 문화역사지리 | |
2004-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2003-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64 | 0.64 | 0.66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65 | 0.66 | 0.935 | 0.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