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목조 건축문화재에 사용된 구조⋅보강용 전통 철물의 재사용 방안 연구 = The Reuse Methods of Traditional Metal Hardware for Reinforcing the Structure of Korea Traditional Wooden Building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32054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목조 건축문화재에 사용된 구조⋅보강용 전통 철물의 관리 활용성을 높이기 위해 재사용 방안을 제시함으로써 실제 문화재 수리 현장에 적용할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목조 건축문화재에서 수습된 철물을 대상으로 하여 손상 유형 및 손상 정도에 따라 가열 및 두드림, 열처 리 등의 공정을 적용하여 철물의 형태와 기능을 회복하였다. 또한, 철물의 가공 전⋅후의 형태학적 특성 및 금속학적 분석을 통한 물성 변화를 비교하였다.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건축문화재의 수리 ⋅복원 과정에서 기존 부재와 기와를 사용하듯 전통 철물도 또한 기존에 사용되었던 철물을 재사용 하여 관리 활용성을 높일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추후 문화재 해체⋅보수과정에서 수습되는 기존 의 전통 부재에 대한 재사용 및 활용 가능성 연구를 지속적으로 진행한다면 문화재 수리⋅복원의 진정성을 확보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번역하기

      목조 건축문화재에 사용된 구조⋅보강용 전통 철물의 관리 활용성을 높이기 위해 재사용 방안을 제시함으로써 실제 문화재 수리 현장에 적용할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목...

      목조 건축문화재에 사용된 구조⋅보강용 전통 철물의 관리 활용성을 높이기 위해 재사용 방안을 제시함으로써 실제 문화재 수리 현장에 적용할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목조 건축문화재에서 수습된 철물을 대상으로 하여 손상 유형 및 손상 정도에 따라 가열 및 두드림, 열처 리 등의 공정을 적용하여 철물의 형태와 기능을 회복하였다. 또한, 철물의 가공 전⋅후의 형태학적 특성 및 금속학적 분석을 통한 물성 변화를 비교하였다.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건축문화재의 수리 ⋅복원 과정에서 기존 부재와 기와를 사용하듯 전통 철물도 또한 기존에 사용되었던 철물을 재사용 하여 관리 활용성을 높일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추후 문화재 해체⋅보수과정에서 수습되는 기존 의 전통 부재에 대한 재사용 및 활용 가능성 연구를 지속적으로 진행한다면 문화재 수리⋅복원의 진정성을 확보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유재은 ; 이재성, "김포 양촌유적 출토 원삼국시대 철부에 적용된 제작기술 검토" 한국문화재보존과학회 29 (29): 367-378, 2013

      2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 "Standard Specification of Properties"

      3 Jungwon National Research Institute of Cultural Heritage, "Restoration experiments (5th and 6th) of ancient iron production technologies" 2019

      4 Choi, Y. M., "A study of iron making technology in the central region of ancient Korea Peninsula" Hanshin University 2016

      5 Jungwon National Research Institute of Cultural Heritage, "A comprehensive report of a study on establishting the standards for the traditional production of metal hardware and promotion measures" 2019

      6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 "A Study on the Production of Traditional Hardware in Sungnyemun Gate" 2009

      1 유재은 ; 이재성, "김포 양촌유적 출토 원삼국시대 철부에 적용된 제작기술 검토" 한국문화재보존과학회 29 (29): 367-378, 2013

      2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 "Standard Specification of Properties"

      3 Jungwon National Research Institute of Cultural Heritage, "Restoration experiments (5th and 6th) of ancient iron production technologies" 2019

      4 Choi, Y. M., "A study of iron making technology in the central region of ancient Korea Peninsula" Hanshin University 2016

      5 Jungwon National Research Institute of Cultural Heritage, "A comprehensive report of a study on establishting the standards for the traditional production of metal hardware and promotion measures" 2019

      6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 "A Study on the Production of Traditional Hardware in Sungnyemun Gate" 2009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