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수원 화령전 운한각 단청에 사용된 채색 안료의 특성 분석 = A Study on Painting Characteristics by Analysis of Pigments Used in Unhangak Hall Dancheong in Hwaryeongjeon Shrine, Suwo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32054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수원 화령전 운한각에 사용된 단청안료의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현장에서 확대현미경 조사, 비파괴 성분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현장에서 수습한 채색시편을 X-선 회절분석, 편광현미경 및 주사전자현미경 분석을 실시하였다. 운한각 내부를 구역별로 나누고 안료특성을 조사한 결과, 적색 안료는 주사, 장단, 석간주(산화철, 주토), 황색안료는 자황, 금과 유기안료인 등황의 사용이 확인되었 다. 녹색안료는 하엽, 석록, 뇌록, 삼록, 크롬그린, 청색안료는 석청, 회청의 사용이 확인되었다. 백색 안료는 백토, 연백, 호분 또는 백악이 사용되었고 흑색은 먹이 사용되었다. 운한각의 단청안료는 일부 보수에 의해 뇌록 색상에서 현대안료인 크롬그린이 확인되었으나 이를 제외하고 대부분 전통안료가 사용되었다. 운한각에 사용된 단청안료는 주사와 하엽의 사용량이 일반적인 전통 건축물에 비해 높 은 편이다. 또한 정칸과 내합과 같이 주요 배례공간을 중심으로 석청, 회청, 석록, 주사, 자황, 금, 하엽 등과 같은 고가 안료가 집중적으로 사용된 점이 특징적이다. 단면분석 결과, 채색 안료는 발색도 와 채색 효율을 높이기 위해 대부분 백토, 연백, 호분 및 백악을 사용하여 백색 바탕칠을 하였다.
      번역하기

      수원 화령전 운한각에 사용된 단청안료의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현장에서 확대현미경 조사, 비파괴 성분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현장에서 수습한 채색시편을 X-선 회절분석, 편광현미경 및...

      수원 화령전 운한각에 사용된 단청안료의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현장에서 확대현미경 조사, 비파괴 성분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현장에서 수습한 채색시편을 X-선 회절분석, 편광현미경 및 주사전자현미경 분석을 실시하였다. 운한각 내부를 구역별로 나누고 안료특성을 조사한 결과, 적색 안료는 주사, 장단, 석간주(산화철, 주토), 황색안료는 자황, 금과 유기안료인 등황의 사용이 확인되었 다. 녹색안료는 하엽, 석록, 뇌록, 삼록, 크롬그린, 청색안료는 석청, 회청의 사용이 확인되었다. 백색 안료는 백토, 연백, 호분 또는 백악이 사용되었고 흑색은 먹이 사용되었다. 운한각의 단청안료는 일부 보수에 의해 뇌록 색상에서 현대안료인 크롬그린이 확인되었으나 이를 제외하고 대부분 전통안료가 사용되었다. 운한각에 사용된 단청안료는 주사와 하엽의 사용량이 일반적인 전통 건축물에 비해 높 은 편이다. 또한 정칸과 내합과 같이 주요 배례공간을 중심으로 석청, 회청, 석록, 주사, 자황, 금, 하엽 등과 같은 고가 안료가 집중적으로 사용된 점이 특징적이다. 단면분석 결과, 채색 안료는 발색도 와 채색 효율을 높이기 위해 대부분 백토, 연백, 호분 및 백악을 사용하여 백색 바탕칠을 하였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한민수 ; 김진형 ; 이장존, "창녕 관룡사 약사전 단청안료의 과학적 분석" 국립문화재연구원 47 (47): 18-31, 2014

      2 박종서 ; 이선명 ; 문성우 ; 강영석, "수원 화령전 운한각 단청시편의 교착제 분석" 한국문화재보존과학회 37 (37): 245-254, 2021

      3 Hwang, G. H., "Scientific analysis for Dancheong pigents used in Hyangwonjeong Pavilion of Gyeongbokgung Place" 41 : 109-120, 2020

      4 Suwon Hwaseong Management Office, "Reasonable ceremonial space ‘Hwaryrongjeon Shrine, Suwon’, icon comunication" 214-215, 2020

      5 Kim, D. U., "A study on the ritual ceremony and the architectural foam of Hwaryeong-Jeon in the Joseon Dynasty" 41 (41): 57-70, 2005

      6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 "A report on the project detailed survey of Dancheong archives wooden cultural heritage ‘Palsangjeon Wooden Pagoda of Beopjusa Temple, Boeun’" 36-123, 2013

      7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 "A report on the project detailed survey of Dancheong archives wooden cultural heritage ‘Haetalmun Gate of Dogapsa Temple, Yeongam’" 72-95, 2014

      8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 "A report on the project detailed survey of Dancheong archives wooden cultural heritage ‘Daeungjeon Hall of Sudeoksa Temple, Yesan’" 125-194, 2014

      9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 "A report on the project detailed survey of Dancheong archives wooden cultural heritage ‘Changdeokgung Palace’" 243-468, 2015

      10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 "A report on the project basic survey of Dancheong archives wooden cultural heritage" 207-481, 2012

      1 한민수 ; 김진형 ; 이장존, "창녕 관룡사 약사전 단청안료의 과학적 분석" 국립문화재연구원 47 (47): 18-31, 2014

      2 박종서 ; 이선명 ; 문성우 ; 강영석, "수원 화령전 운한각 단청시편의 교착제 분석" 한국문화재보존과학회 37 (37): 245-254, 2021

      3 Hwang, G. H., "Scientific analysis for Dancheong pigents used in Hyangwonjeong Pavilion of Gyeongbokgung Place" 41 : 109-120, 2020

      4 Suwon Hwaseong Management Office, "Reasonable ceremonial space ‘Hwaryrongjeon Shrine, Suwon’, icon comunication" 214-215, 2020

      5 Kim, D. U., "A study on the ritual ceremony and the architectural foam of Hwaryeong-Jeon in the Joseon Dynasty" 41 (41): 57-70, 2005

      6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 "A report on the project detailed survey of Dancheong archives wooden cultural heritage ‘Palsangjeon Wooden Pagoda of Beopjusa Temple, Boeun’" 36-123, 2013

      7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 "A report on the project detailed survey of Dancheong archives wooden cultural heritage ‘Haetalmun Gate of Dogapsa Temple, Yeongam’" 72-95, 2014

      8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 "A report on the project detailed survey of Dancheong archives wooden cultural heritage ‘Daeungjeon Hall of Sudeoksa Temple, Yesan’" 125-194, 2014

      9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 "A report on the project detailed survey of Dancheong archives wooden cultural heritage ‘Changdeokgung Palace’" 243-468, 2015

      10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 "A report on the project basic survey of Dancheong archives wooden cultural heritage" 207-481, 2012

      11 Suwon Hwaseong Management Office, "A report on research investigation of Hwaryrongjeon Shrine" 17-, 2021

      12 Suwon Hwaseong Management Office, "A report on maintenance plan establishment of Hwaryrongjeon Shrine" 132-142, 2021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