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익산 미륵사지 납유리판의 역할과 원료의 상관관계 해석 = The Role of Lead Glass Plate and Correlation Analysis of Raw Materials in Mireuksa Temple Site, Iksa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32054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에서는 익산 미륵사지에서 출토된 납유리판 9점을 대상으로 역할과 의미를 재조 명하고, 원료의 상관관계를 규명하였다. 미륵사지에서 유리판은 전 영역에서 출토되었는데, 특 히 동원의 금당지와 탑지 주변에서 다수 확인되었다. 납유리의 사용처는 출토위치로 보아 사찰 의 상징적인 공간에 부분적으로 깔았던 것으로 추정된다. 다음으로 납유리의 정량분석(ICP system)을 실시한 결과 PbO는 74.2∼79.5 wt.%(평균 76.6 wt.%)로 산출되었는데, 이는 기존 학계 에 보고된 미륵사지 납유리 PbO(약 70 wt.%)보다 높은 값을 나타낸다. 한편, 납유리의 동위원소 비와 미량 및 희토류원소의 상관관계를 비교한 결과, 백제문화권과 신라문화권은 뚜렷한 구분 을 보이고, 동일문화권에서도 일부 다른 산지의 기원을 확인하였다. 이는 납유리를 제작하는 조성비는 일정하게 유지하고, 다양한 루트를 통해 원료를 조달한 것으로 해석된다. 이상의 결과 는 고대 유리질 물질의 기술체계를 이해하고 향후 제작기술 재현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것이다.
      번역하기

      이 연구에서는 익산 미륵사지에서 출토된 납유리판 9점을 대상으로 역할과 의미를 재조 명하고, 원료의 상관관계를 규명하였다. 미륵사지에서 유리판은 전 영역에서 출토되었는데, 특 히 동...

      이 연구에서는 익산 미륵사지에서 출토된 납유리판 9점을 대상으로 역할과 의미를 재조 명하고, 원료의 상관관계를 규명하였다. 미륵사지에서 유리판은 전 영역에서 출토되었는데, 특 히 동원의 금당지와 탑지 주변에서 다수 확인되었다. 납유리의 사용처는 출토위치로 보아 사찰 의 상징적인 공간에 부분적으로 깔았던 것으로 추정된다. 다음으로 납유리의 정량분석(ICP system)을 실시한 결과 PbO는 74.2∼79.5 wt.%(평균 76.6 wt.%)로 산출되었는데, 이는 기존 학계 에 보고된 미륵사지 납유리 PbO(약 70 wt.%)보다 높은 값을 나타낸다. 한편, 납유리의 동위원소 비와 미량 및 희토류원소의 상관관계를 비교한 결과, 백제문화권과 신라문화권은 뚜렷한 구분 을 보이고, 동일문화권에서도 일부 다른 산지의 기원을 확인하였다. 이는 납유리를 제작하는 조성비는 일정하게 유지하고, 다양한 루트를 통해 원료를 조달한 것으로 해석된다. 이상의 결과 는 고대 유리질 물질의 기술체계를 이해하고 향후 제작기술 재현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것이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인숙, "한국 고대 유리의 분석적 연구(I)" 한국대학박물관협회 (34) : 79-95, 1989

      2 강형태 ; 정영동 ; 조재영 ; 김호상, "통일신라시대 녹유전돌(綠釉塼)의 녹유 특성-부석사, 천룡사지 및 법광사지 녹유전돌 -" 한국고대학회 (22) : 211-222, 2005

      3 한민수, "익산 미륵사지 석탑 사리공 내 출토 고대 유리 유물의 성분특성 분석" 한국문화재보존과학회 33 (33): 215-223, 2017

      4 이지희 ; 김현정, "분석자료를 기초한 고대 납유리와 녹유의 특성 연구" 국립중앙박물관 24 : 99-116, 2020

      5 이찬희 ; 김지영 ; 박진영, "부여 쌍북리유적 출토 백제 도가니 내부 유리 및 청동 용융물질의 정량분석과 고고과학적 해석" 한국문화재보존과학회 26 (26): 157-169, 2010

      6 김지영 ; 박진영 ; 박대순 ; 이찬희, "부여 쌍북리 유적 출토 백제 도가니의 재료학적 특성과 원료의 산지해석" 한국문화재보존과학회 26 (26): 1-12, 2010

      7 김낙중, "백제 고고학 연구에서 익산 미륵사지 서탑 출토 유물의 의미" 백제문화연구소 (57) : 119-150, 2017

      8 주경미, "미륵사지 석탑 사리장엄구의 구성과 의의" 백제연구소 (59) : 73-114, 2014

      9 김정석, "미륵사지 석탑 사리장엄 출토 유리판 및 사리병 분석을 통한 백제 유리공예의 발전상 추론" 사단법인 한국조형디자인협회 22 (22): 47-62, 2019

      10 김나영 ; 이윤희 ; 김규호, "무령왕릉 출토 황색 및 녹색과 박 유리구슬의 고고화학적 고찰" 백제문화연구소 1 (1): 83-109, 2011

      1 이인숙, "한국 고대 유리의 분석적 연구(I)" 한국대학박물관협회 (34) : 79-95, 1989

      2 강형태 ; 정영동 ; 조재영 ; 김호상, "통일신라시대 녹유전돌(綠釉塼)의 녹유 특성-부석사, 천룡사지 및 법광사지 녹유전돌 -" 한국고대학회 (22) : 211-222, 2005

      3 한민수, "익산 미륵사지 석탑 사리공 내 출토 고대 유리 유물의 성분특성 분석" 한국문화재보존과학회 33 (33): 215-223, 2017

      4 이지희 ; 김현정, "분석자료를 기초한 고대 납유리와 녹유의 특성 연구" 국립중앙박물관 24 : 99-116, 2020

      5 이찬희 ; 김지영 ; 박진영, "부여 쌍북리유적 출토 백제 도가니 내부 유리 및 청동 용융물질의 정량분석과 고고과학적 해석" 한국문화재보존과학회 26 (26): 157-169, 2010

      6 김지영 ; 박진영 ; 박대순 ; 이찬희, "부여 쌍북리 유적 출토 백제 도가니의 재료학적 특성과 원료의 산지해석" 한국문화재보존과학회 26 (26): 1-12, 2010

      7 김낙중, "백제 고고학 연구에서 익산 미륵사지 서탑 출토 유물의 의미" 백제문화연구소 (57) : 119-150, 2017

      8 주경미, "미륵사지 석탑 사리장엄구의 구성과 의의" 백제연구소 (59) : 73-114, 2014

      9 김정석, "미륵사지 석탑 사리장엄 출토 유리판 및 사리병 분석을 통한 백제 유리공예의 발전상 추론" 사단법인 한국조형디자인협회 22 (22): 47-62, 2019

      10 김나영 ; 이윤희 ; 김규호, "무령왕릉 출토 황색 및 녹색과 박 유리구슬의 고고화학적 고찰" 백제문화연구소 1 (1): 83-109, 2011

      11 한민수 ; 김소진, "납동위원소비를 이용한 고대 납유리 유물의 산지추정" 한국광물학회 28 (28): 187-193, 2015

      12 권오영, "고대 한반도에 들어온 유리의 고고, 역사학적 배경" 한국상고사학회 85 (85): 135-160, 2014

      13 김동하, "경주 사천왕사지 출토 綠釉水波形塼에 대한 검토" 불교미술사학회 28 : 593-612, 2019

      14 이한형 ; 정민호 ; 문은정 ; 박지연 ; 김수경 ; 최장미 ; 한민수, "경주 사천왕사지 녹유전의 녹유 특성 연구" 국립문화재연구원 44 (44): 112-131, 2011

      15 박준영, "韓國 古代 琉璃구슬의 特徵과 展開樣相" 중앙문화재연구원 (19) : 71-109, 2016

      16 Jeong, Y. J., "The distribution mapping of lead isotopes in Korean peninsula" National Research Institute of Cultural Heritage 68-114, 2013

      17 National Research Institute of Cultural Heritage, "Sarira reliquary of Stone Pagoda of Mireuksa Temple Site in Iksan" 238-247, 2014

      18 Jeong, Y. J., "Regional variations in the lead isotopic composition of galena from southern Korea with implications for the discrimination of lead provenance" 61 : 116-127, 2012

      19 Office of Cultural Properties, "Mireuksa monastery ruins excavation investigation report I" 510-512, 1989

      20 Bang, K. M., "Mineralogical study of glass raw materials" 8 : 1002-1009, 1995

      21 Kim, K. H., "Lead isotope ratio of glass and crucible related to the relics of Iksan Wanggung-ri" Buyeo National Research Institute of Cultural Heritage 73-118, 2007

      22 Sonia, C., "How much is known about glassy materials in Bronze and Iron Age Italy? New data and general overview" 11 : 1813-1841, 2019

      23 Choi, J., "Glass-making in ancient Korea" 1 : 167-173, 1991

      24 Kang, H. T., "Application of science for interpreting archaeological materials(II)-Production and flow of lead glass from Mireuksa temple-" 36 : 241-266, 2003

      25 Kim, S. M.,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ceramics by mixing color glass with Engobe" Seoul National University of Science and Technology 2021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