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사만화가 ‘반쪽이’로 유명한 최정현은 1980년 초반에 애니메이션 작업 을 진행한 바 있다. 2023년, 최정현의 애니메이션 전작 <방충망>(1983), <상 흔>(1984), <그날이 오면>(1987)이...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9272697
2024
Korean
KCI등재
학술저널
309-346(38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시사만화가 ‘반쪽이’로 유명한 최정현은 1980년 초반에 애니메이션 작업 을 진행한 바 있다. 2023년, 최정현의 애니메이션 전작 <방충망>(1983), <상 흔>(1984), <그날이 오면>(1987)이...
시사만화가 ‘반쪽이’로 유명한 최정현은 1980년 초반에 애니메이션 작업 을 진행한 바 있다. 2023년, 최정현의 애니메이션 전작 <방충망>(1983), <상 흔>(1984), <그날이 오면>(1987)이 서울독립영화제와 한국영상자료원의 독립 영화 구술사 프로젝트를 통해 복원되었으며, 서울독립영화제를 통해 처음으 로 대중에게 공개되었다. 그동안 이용배의 <와불>(1991)이 한국 최초의 독립 애니메이션으로 널리 알려져 있었으나, 이번 복원을 통해 1980년대에도 독립 애니메이션 작가가 존재했음이 명확히 밝혀졌다. 최정현의 작품들은 독립애 니메이션의 출발이 한국의 역사적 흐름과 깊은 연관이 있음을 확인시켜 주며, 한국 독립애니메이션사(史)에 중요한 변동을 가져왔다.
이 변동은 단순히 과거의 한 작품을 발굴하는 것 이상의 의미를 가지며, 최정현의 작품이 한국 독립애니메이션의 발전 과정을 이해하는 데 중요한 역 할을 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최정현의 작품은 그가 예술가로서 가지고 있는 철학과 시대적 메시지를 반영하며, 그의 작가론이 애니메이션에서 어떻게 구 현되었는지를 탐구할 수 있는 사례를 제공한다. 본 연구는 최정현의 작품을 중심으로 독립애니메이션의 가치와 필요성, 나아가 우리 애니메이션의 다양 성과 정체성 문제를 논의하고자 한다.
1980년대 초반 신군부의 독재 시대에 제작되었던 최정현의 애니메이션 전작은 1980년대 문화운동과 시대정신을 공유하고 있다. 표면적으로는 당시 시대의 전형적인 내용을 담고 있지만, 작품 속에는 최정현만의 독창적인 예술 가적 특성이 분명히 존재한다. 최정현의 애니메이션은 단순히 1980년대 문화 운동의 일부로서만 보아서는 안 되며, 그의 작가론을 통해 이 작품들의 진정 한 가치를 분석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초기의 한국 독립애니메이션을 깊이 있게 연구하면서 최정현의 작가론을 통해 한국 독립애니메이션의 뿌리와 정체성을 논의한다. 또한, 한국 독립애니메이션사(史)를 간략하게 정리하며, 역사에 묻혀 있던 작품들이 가진 의미를 재발견하고, 독립애니메이션 연구의 중요성을 강조하고자 한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Choi Jeong-hyun, widely known for his satirical comic series “Banzzzogi,” also worked on animation in the early 1980s. In 2023, Choi’s animated works <Bangchungmang> (1983), <Sangheun> (1984), and <Geunali Omyeon> (1987) were r...
Choi Jeong-hyun, widely known for his satirical comic series “Banzzzogi,” also worked on animation in the early 1980s. In 2023, Choi’s animated works <Bangchungmang> (1983), <Sangheun> (1984), and <Geunali Omyeon> (1987) were restored through the Oral History Project on Independent Films by the Seoul Independent Film Festival (SIFF) and the Korean Film Archive, and were presented to the public for the first time at the Seoul Independent Film Festival. While Lee Yong-bae’s <The Sleeping Buddha> (Wabul, 1991) has been widely recognized as Korea’s first independent animation, the recent restoration of Choi’s works has revealed that independent animators were active in the 1980s, thereby marking a significant shift in the historical narrative of Korean independent animation.
This discovery goes beyond the mere excavation of forgotten works; it underscores the crucial role Choi Jeong-hyun’s animation played in shaping the foundations and evolution of Korean independent animation. His works not only reflect his philosophical and socio- political messages as an artist but also serve as key examples for exploring how his author theory was realized through animation. This paper centers on Choi Jeong-hyun’s works to discuss the value and necessity of independent animation, and to address broader issues concerning the diversity and identity of Korean animation.
Choi’s animations, created during the early 1980s under the oppressive regime of the military dictatorship, embody the spirit of the cultural movements of the time. While these works may superficially appear to adhere to the typical themes of that era, they contain distinctive artistic elements unique to Choi Jeong-hyun. His animations should not be viewed merely as part of the broader cultural movement of the 1980s; rather, their true value must be analyzed through the lens of Choi’s author theory.
This research delves deeply into the roots of Korean independent animation by examining Choi Jeong-hyun’s author theory, aiming to shed light on the identity and legacy of Korean independent animation. Additionally, it seeks to revisit and reassess the history of Korean independent animation, emphasizing the significance of rediscovering works that have been lost to history and highlighting the importance of ongoing research in this field.
애니메이션 <심해>에 나타나는 서사적 은유에 관한 연구
3D 캐릭터를 활용한 효율적인 이모티콘 제작 방식에 관한 연구 -이모티콘 캐릭터를 중심으로-
‘낯설게 하기’ 이론을 바탕으로 VR 애니메이션의 상호작용 서사 연구-애니메이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