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다문화가족지원센터를 활용한 효율적인 한국어 교육방안 : 서산시다문화가족지원센터를 중심으로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2954223

      • 저자
      • 발행사항

        서울: 상명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 학위논문사항
      • 발행연도

        2012

      • 작성언어

        한국어

      • DDC

        411.07 판사항(22)

      • 발행국(도시)

        서울

      • 기타서명

        The effective Korean Language Education utilizing of Multicultural Family Support Centers : the case of Multicultural Family Support Center in Seosan

      • 형태사항

        94 p.; 26 cm.: 삽화.

      • 일반주기명

        지도교수:조항록

      • 소장기관
        • 국립중앙도서관 국립중앙도서관 우편복사 서비스
        • 상명대학교 서울캠퍼스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상명대학교 천안학술정보관 소장기관정보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Recently, in Korean society, as international marriage increases, a new type of family called as a multicultural family is rising. Therefore, various institutional support policies to help marriage immigrants are being performed―the most important point is to improve their Korean language proficiency so that they can appropriately communicate in Korean society. This study seeks for more systematic and effective Korean language education, which compares and analyzes the social unity program of the Ministry of Justice, the Korean education of which objects are marriage immigrants and the Korean course of Multicultural Family Support Centers, and reviews the cases of foreign countries and the Korean course of Seosan City's.
      The chapter II reviews the characteristics of marriage immigrants as a learner's group, speciality in the immigrant's Korean usage, and Korean language education courses which is performed for marriage immigrants. Also, the educational institutions, educational courses, evaluation system, and contents of materials were highlighted in regard to the recent society unity program of the MOJ,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which is being performed for marriage immigrants, and Korean course of Multicultural Family Support Centers.
      The chapter III examines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course of Multicultural Family Support Centers, and specifically, the status of Korean language educational course performed by Multicultural Family Support Center in Seosan. Visiting of Multicultural Family Support Center in Seosan, through survey research for instructors for the course of the Center and the interview with the manager, along with actual condition survey, this study found the characteristics of Multicultural Family Support Centers and characteristics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of Multicultural Family Support Centers.
      The Chapter IV looks into the cases of Australia, Denmark, Germany, and Japan which performs a society unity program of which objects are marriage immigrants, and together, based on the problems in Korean course of Multicultural Family Support Centers analyzed in the previous chapter, the efficient Korean language education measures for marriage immigrants were suggested.
      번역하기

      Recently, in Korean society, as international marriage increases, a new type of family called as a multicultural family is rising. Therefore, various institutional support policies to help marriage immigrants are being performed―the most important p...

      Recently, in Korean society, as international marriage increases, a new type of family called as a multicultural family is rising. Therefore, various institutional support policies to help marriage immigrants are being performed―the most important point is to improve their Korean language proficiency so that they can appropriately communicate in Korean society. This study seeks for more systematic and effective Korean language education, which compares and analyzes the social unity program of the Ministry of Justice, the Korean education of which objects are marriage immigrants and the Korean course of Multicultural Family Support Centers, and reviews the cases of foreign countries and the Korean course of Seosan City's.
      The chapter II reviews the characteristics of marriage immigrants as a learner's group, speciality in the immigrant's Korean usage, and Korean language education courses which is performed for marriage immigrants. Also, the educational institutions, educational courses, evaluation system, and contents of materials were highlighted in regard to the recent society unity program of the MOJ,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which is being performed for marriage immigrants, and Korean course of Multicultural Family Support Centers.
      The chapter III examines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course of Multicultural Family Support Centers, and specifically, the status of Korean language educational course performed by Multicultural Family Support Center in Seosan. Visiting of Multicultural Family Support Center in Seosan, through survey research for instructors for the course of the Center and the interview with the manager, along with actual condition survey, this study found the characteristics of Multicultural Family Support Centers and characteristics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of Multicultural Family Support Centers.
      The Chapter IV looks into the cases of Australia, Denmark, Germany, and Japan which performs a society unity program of which objects are marriage immigrants, and together, based on the problems in Korean course of Multicultural Family Support Centers analyzed in the previous chapter, the efficient Korean language education measures for marriage immigrants were suggested.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논문은 결혼이민자를 대상으로 한국어 교육을 실시하고 있는 다문화가족지원센터에서의 효율적인 한국어 교육 방안에 대해 연구하고자 한다. 최근 한국 사회는 국제결혼이 증가함으로써 다문화가정이라는 새로운 형태의 가족이 증가하고 있다. 그리하여 결혼이민자의 한국 생활 적응을 돕기 위한 다양한 제도적인 지원 정책이 실시되고 있는데, 그 중 가장 중요한 점은 그들이 한국 사회에서 제대로 의사소통할 수 있도록 한국어 능력을 향상시키는 것이다. 그리하여 본 연구에서는 결혼이민자를 대상으로 실시하는 한국어 교육인 법무부의 사회통합프로그램과 다문화가족지원센터의 한국어 과정을 비교․분석하고, 외국의 사례와 서산시다문화가족지원센터 한국어 과정을 살펴봄으로써 보다 체계적이고 효과적인 한국어 교육이 이루어지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2장에서는 학습자 집단으로서 결혼이민자의 특징과 결혼이민자의 한국어 사용 특징과 함께 그리고 결혼이민자 대상으로 하는 한국어 교육 과정을 알아보았다. 그리고 현재 결혼이민자를 대상으로 실시하는 한국어 교육인 법무부의 사회통합프로그램과 다문화가족지원센터의 한국어 과정에 대한 교육 기관, 교육 과정, 평가 체계, 교재의 내용을 비교하여 살펴보았다.
      3장에서는 다문화가족지원센터의 한국어 교육 과정에 대해 살펴보고 구체적으로 서산시다문화가족지원센터에서 실시하는 한국어 교육 과정의 실태를 파악해 보았다. 이 조사는 서산시다문화가족지원센터를 방문하여 실태조사와 함께 다문화가족지원센터의 한국어 교육 과정에 대한 강사의 설문조사와 운영자와의 면담을 통해 서산시다문화가족지원센터의 특징과 다문화가족지원센터의 한국어 교육에 대한 특징에 대해 살펴보았다.
      4장에서는 결혼이민자를 대상으로 한 사회통합프로그램을 실시하는 호주, 덴마크, 독일, 일본의 사례를 살펴보고, 이와 함께 앞장에서 분석한 다문화가족지원센터의 한국어 과정의 문제점을 기초로 하여 결혼이민자들을 위한 효율적인 한국어 교육 방안을 제시하였다.
      번역하기

      본 논문은 결혼이민자를 대상으로 한국어 교육을 실시하고 있는 다문화가족지원센터에서의 효율적인 한국어 교육 방안에 대해 연구하고자 한다. 최근 한국 사회는 국제결혼이 증가함으로...

      본 논문은 결혼이민자를 대상으로 한국어 교육을 실시하고 있는 다문화가족지원센터에서의 효율적인 한국어 교육 방안에 대해 연구하고자 한다. 최근 한국 사회는 국제결혼이 증가함으로써 다문화가정이라는 새로운 형태의 가족이 증가하고 있다. 그리하여 결혼이민자의 한국 생활 적응을 돕기 위한 다양한 제도적인 지원 정책이 실시되고 있는데, 그 중 가장 중요한 점은 그들이 한국 사회에서 제대로 의사소통할 수 있도록 한국어 능력을 향상시키는 것이다. 그리하여 본 연구에서는 결혼이민자를 대상으로 실시하는 한국어 교육인 법무부의 사회통합프로그램과 다문화가족지원센터의 한국어 과정을 비교․분석하고, 외국의 사례와 서산시다문화가족지원센터 한국어 과정을 살펴봄으로써 보다 체계적이고 효과적인 한국어 교육이 이루어지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2장에서는 학습자 집단으로서 결혼이민자의 특징과 결혼이민자의 한국어 사용 특징과 함께 그리고 결혼이민자 대상으로 하는 한국어 교육 과정을 알아보았다. 그리고 현재 결혼이민자를 대상으로 실시하는 한국어 교육인 법무부의 사회통합프로그램과 다문화가족지원센터의 한국어 과정에 대한 교육 기관, 교육 과정, 평가 체계, 교재의 내용을 비교하여 살펴보았다.
      3장에서는 다문화가족지원센터의 한국어 교육 과정에 대해 살펴보고 구체적으로 서산시다문화가족지원센터에서 실시하는 한국어 교육 과정의 실태를 파악해 보았다. 이 조사는 서산시다문화가족지원센터를 방문하여 실태조사와 함께 다문화가족지원센터의 한국어 교육 과정에 대한 강사의 설문조사와 운영자와의 면담을 통해 서산시다문화가족지원센터의 특징과 다문화가족지원센터의 한국어 교육에 대한 특징에 대해 살펴보았다.
      4장에서는 결혼이민자를 대상으로 한 사회통합프로그램을 실시하는 호주, 덴마크, 독일, 일본의 사례를 살펴보고, 이와 함께 앞장에서 분석한 다문화가족지원센터의 한국어 과정의 문제점을 기초로 하여 결혼이민자들을 위한 효율적인 한국어 교육 방안을 제시하였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1. 서론 1
      • 1.1. 연구 필요성 및 목적 1
      • 1.2. 연구 방법 3
      • 1.3. 선행 연구 4
      • 2. 결혼이민자 대상 언어 교육 11
      • 1. 서론 1
      • 1.1. 연구 필요성 및 목적 1
      • 1.2. 연구 방법 3
      • 1.3. 선행 연구 4
      • 2. 결혼이민자 대상 언어 교육 11
      • 2.1. 결혼이민자의 언어 능력 11
      • 2.1.1. 학습자 집단으로서의 결혼이민자의 특징 11
      • 2.1.2. 결혼이민자의 한국어 사용 특징 22
      • 2.2. 결혼이민자 대상 한국어 교육 과정 27
      • 2.2.1. 한국어 교육의 정의 및 내용 27
      • 2.2.2. 결혼이민자 대상 언어 교육 과정의 실제 31
      • 3. 다문화가족지원센터 한국어 교육 과정의 실제와 특징 53
      • 3.1. 다문화가족지원센터 한국어 교육 과정 53
      • 3.2. 서산시다문화가족지원센터 한국어 교육 과정의 실제 57
      • 3.3. 서산시다문화가족지원센터 한국어 교육 과정의 특징 63
      • 4. 결혼이민자 대상 효율적인 한국어 교육 실시 방안 68
      • 4.1. 외국의 사회통합프로그램과 언어 교육 68
      • 4.2. 한국의 결혼이민자 대상 한국어 교육 방안 78
      • 5. 결론 84
      • 참고문헌 87
      • ABSTRACT 92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