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자아분열의 철학과 자아통합의 철학 ‐ 라캉과 정제두를 중심으로 = The Philosophy of Self-division and the Philosophy of Self-integration: Focusing on the ideas of Lacan and Jeong, Jae-du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916247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인간은 몸을 지니고 있기 때문에 욕망의 존재이다. 인간은 몸에서기인한 육체적 욕망뿐만 아니라 사회에 적응하는 사회화와 사회적 언어를 학습하는 과정에서 사회적 욕망을 갖게 된다. 왜...

      인간은 몸을 지니고 있기 때문에 욕망의 존재이다. 인간은 몸에서기인한 육체적 욕망뿐만 아니라 사회에 적응하는 사회화와 사회적 언어를 학습하는 과정에서 사회적 욕망을 갖게 된다. 왜냐하면 인간 욕망의 기원은 인간의 몸에서 기원하는 부분도 있지만 대부분 사회에서 형성된 욕망이기 때문이다. 인간이 지닌 욕망의 본질이 무엇이며어떻게 탄생하고 해소될 수 있는지를 동양의 철학자인 정제두와 서양의 욕망 이론가인 라캉의 관점을 고찰하고, 인간의 욕망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라캉의 관점과 정제두의 관점을 비교하면서 성찰하는 기회를 갖고자 한다.
      라캉에 의하면, 인간의 욕망은 사회적 산물이며 사회적 산물인 욕망을 올바른 길로 인도하기 위해서는 인간 욕망의 방향 전환이 필요하다. 즉 그는 인간의 욕망을 제거하기 위해서는 인간의 참된 자아를 추구하는 방향으로 전환해야 한다고 제안한다. 라캉은 인간이 사회성을 학습하는 과정에서 사회적 언어를 학습하면서 사회적 욕망을제어하라고 요청지만, 언어를 학습하면서 인간은 언어만 학습하는 것이 아니라 사회적 욕망이 습득되며 인간이 언어를 학습하는 가운데인간의 고유한 존재의 본질적 모습을 상실하게 된다. 조선의 유학자 인 정제두에 따르면, 유학의 인간관은 인간의 몸(형기)에서 기원한 육체적 욕구와 사회적 삶에서 기원한 욕망을 제어하고 통제하기 위해서자아통합적인 수양 방법을 제시한다. 수양이란 대다수 인간이 지닌육체성에서 비롯된 욕구와 사회적 삶 가운데 형성된 욕망에 지배를받는 소인의 삶의 태도에서 벗어나서 군자의 자세로 전환하라는 명령이자 요청이다. 이러한 진행을 위해서 라캉은 언어적 방법을 강조하지만 라캉의 언어적 방법은 인간의 존재와 언어의 불일치 때문에 자아의 분열을 초래하지만, 정제두의 수양론은 결코 쉬운 방법은 아니지만 자아를 분열시키는 것이 아니라 몸에서 기인한 욕망적 자아에서몸에서 기인한 자아를 제거하고 순수한 본래적 자아로 인도하는 자아통합의 방법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Since humans have a body, they are beings of desire. Humans have social desires in the process of learning socialization and social language that is needed to adapt to society as well as physical desires arising from the body. This is because the orig...

      Since humans have a body, they are beings of desire. Humans have social desires in the process of learning socialization and social language that is needed to adapt to society as well as physical desires arising from the body. This is because the origin of human desire is mostly social-formed desires, although there are parts that originate from the human body. I would like to have an opportunity to reflect on what the nature of human desire is and how it can be born and resolved by examining the perspectives of Jeong Jae-du, an Eastern philosopher, and Lacan, a Western desire theorist, and comparing the perspective of Lacan, a philosopher, to solve the problem of human desire with the perspective of Jeong Jae-du, a Confucian scholar of Joseon.
      According to Lacan, human desire is a social product and it is necessary to change the direction of human desire in order to guide desire, which is a social product, on the right path. In other words, in order to remove human desire, he suggests that it is necessary to change the direction of pursuing the true self of human. Lacan is asked to control social desire while learning language while human beings learn social language in the process of learning sociality, but as humans learn language, humans learn not only language, but also social desire, and as humans learn language, they lose their essential form of human existence. According to Jeong Jae-du, a Confucian scholar of Joseon, the human view of Confucianism suggests a method of self-integrated cultivation to restrain and control physical needs originating from the human body and desires originating from social life. Cultivation is an order and request to switch to a gentleman’s attitude, away from the attitudes of small people's lives that are dominated by desires arising from the physicality of most human beings and desires formed in social life. Lacan emphasizes linguistic methods for this progression, but Lacan's linguistic methods lead to self-division because of the discrepancy between human existence and language, but Jeong Jae-du's cultivation theory is not an easy way to divide the self, but rather a method of self-integration that removes the body-derived self from the body-derived desire self and leads to the pure original self.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