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현행 남북한 역사교과서의 고조선 인식 비교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08949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남북한의 역사 교과서에 나타난 고조선 인식은 건국과 발전과정, 범금 8조 등의 문화를 중심으로 구성된 점 등에서 공통점을 보인다. 대외관계에 대한 서술도 대중관계와 전쟁 위주로 서술...

      남북한의 역사 교과서에 나타난 고조선 인식은 건국과 발전과정, 범금 8조 등의 문화를 중심으로 구성된 점 등에서 공통점을 보인다. 대외관계에 대한 서술도 대중관계와 전쟁 위주로 서술된 점은 비슷하다. 분량에 있어 남북한 교과서는 차이가 있는데 북한 교과서는 남한 교과서보다 훨씬 상세히 고조선을 다루고 있으며 특히 건국, 고조선과 한나라의 전쟁, 문화 유산 등에서 비중을 크게 두고 자세히 다루었다. 세부적인 건국연대와 중심지에 대해서도 많은 차이가 발견된다. 북한 교과서는 기원전 30세기 평양지역에서 단군이 고조선을 건국한 후 기원전 108년 요동지역의 부수도 왕검성이 함락되며 고조선이 멸망했다고 보고 있다. 반면 남한 교과서는 『동국통감』과 『삼국유사』의 건국연대를 소개하였고 대체로 랴오닝과 북한지역을 고조선 문화와 관련된 지역으로 보고 있다. 일부 교과서에서 랴오닝을 중심으로 고조선이 성립하였다고 서술하였으며 구체적인 영역 및 도읍 위치는 서술하지 않았다.
      이러한 차이는 북한 교과서는『조선력사교수참고서』를 기준으로 교과서가 서술되었기 때문으로 보인다. 여기에서 고조선이 세계적으로 제일 먼저 수립된 나라이며, 평양이 반만년의 역사를 가진 수도이고, 나라별로 대표적인 반침략투쟁을 설명할 수 있어야 한다고 명시되어 있다. 반면 남한『한국사』에는 고조선만을 위한 성취기준은 부여되지 않았다.
      이와 같이 남북한 역사교과서의 고조선 인식은 공통점 뿐만 아니라 상당한 차이점이 있음을 알 수 있다. 남북한 역사 교과서의 고조선 인식차이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양국 교육 교류 및 학계 공동 연구의 필요성이 절실하다. 장기적인 계획을 갖고 인식 차이를 극복해 나간다면 양국의 상이한 역사관을 극복할 수 있을 것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understanding of Old Joseon in history textbooks of South Korea and North Korea shows commonalities in the foundation, development, and the structure centered around the culture of eight articles on the violation of bans. In quantity, North Korean...

      The understanding of Old Joseon in history textbooks of South Korea and North Korea shows commonalities in the foundation, development, and the structure centered around the culture of eight articles on the violation of bans. In quantity, North Korean textbooks deal with Old Joseon much in detail compared to South Korean textbooks and especially with the foundation, the war between Old Joseon and Han, and cultural heritage, etc. in detail, giving much weight to them. Concerning the detailed period and area of the foundation, there are big differences found. North Korean textbooks state that after Tangun founded Old Joseon in the Pyongyang area in the 30th century B.C., he took the entire regions of Northeast China and the Korean peninsula as its domains and that Old Joseon collapsed as Wanggeom-seong, Busudo in the Liaodong region in 108 B.C. was fallen. Meanwhile, South Korean textbooks do not usually write the concrete time and area of foundation and the location of the capital, looking at the northern area of the Korean peninsula in the Daling River basin or Liaodong region as an area related to the basic Old Joseon culture.
      It seems that there is this difference because North Korean textbooks were written based on Reference for Teaching the History of Joseon. This states that Old Joseon is the country founded first in the world, Pyongyang is a capital with a history of 5,000 years and that students should be able to explain the representative struggle against an aggression by each dynasty. If the scholars of the two countries overcome the differences in their understanding through joint research with a long-term plan, they can overcome the different views on history.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요약
      • 머리말
      • Ⅰ. 남북한 역사교과서의 교육 목표 및 성취기준 비교
      • Ⅱ. 남북한 역사교과서의 고조선 인식 비교
      • 맺음말
      • 요약
      • 머리말
      • Ⅰ. 남북한 역사교과서의 교육 목표 및 성취기준 비교
      • Ⅱ. 남북한 역사교과서의 고조선 인식 비교
      • 맺음말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강종훈, "현행 중등 역사 교과서의 한국 고대사 부분 서술의 문제점과 개선 방안 - 고조선~삼국 시대를 중심으로 -" 역사교육연구회 (148) : 113-154, 2018

      2 하문식, "현행 중·고등학교 역사 교과서의 몇 가지 문제 -선사시대와 국가 성립기를 중심으로-" 한국고대학회 (46) : 5-42, 2015

      3 차미희, "현행 남북한 중학교 국사 교과서의 서술내용 비교" 57 : 1999

      4 김정배, "한국사4(초기국가-고조선·부여·삼한)" 국사편찬위원회 1997

      5 "한국검인정교과서협회"

      6 조원진, "최근 북한 학계의 고조선 연구 동향 - 2000년 이후를 중심으로 -" 고조선단군학회 30 (30): 443-481, 2014

      7 교육과학기술부장관, "초·중등학교교육과정총론(교육과학기술부고시 제2012~31호)"

      8 박현숙, "중학교 국사교과서 고대사 서술에 나타난 日本 表象의 변화 양상" 역사교육연구회 (112) : 31-61, 2009

      9 박현숙, "중학교 『역사』(상)의 古代史 서술체계와 내용을 통해 본 韓國古代史像" 동국역사문화연구소 (51) : 1-45, 2011

      10 차영남, "조선력사교수참고서(초급중학교 제1학년)" 교육도서출판사 2013

      1 강종훈, "현행 중등 역사 교과서의 한국 고대사 부분 서술의 문제점과 개선 방안 - 고조선~삼국 시대를 중심으로 -" 역사교육연구회 (148) : 113-154, 2018

      2 하문식, "현행 중·고등학교 역사 교과서의 몇 가지 문제 -선사시대와 국가 성립기를 중심으로-" 한국고대학회 (46) : 5-42, 2015

      3 차미희, "현행 남북한 중학교 국사 교과서의 서술내용 비교" 57 : 1999

      4 김정배, "한국사4(초기국가-고조선·부여·삼한)" 국사편찬위원회 1997

      5 "한국검인정교과서협회"

      6 조원진, "최근 북한 학계의 고조선 연구 동향 - 2000년 이후를 중심으로 -" 고조선단군학회 30 (30): 443-481, 2014

      7 교육과학기술부장관, "초·중등학교교육과정총론(교육과학기술부고시 제2012~31호)"

      8 박현숙, "중학교 국사교과서 고대사 서술에 나타난 日本 表象의 변화 양상" 역사교육연구회 (112) : 31-61, 2009

      9 박현숙, "중학교 『역사』(상)의 古代史 서술체계와 내용을 통해 본 韓國古代史像" 동국역사문화연구소 (51) : 1-45, 2011

      10 차영남, "조선력사교수참고서(초급중학교 제1학년)" 교육도서출판사 2013

      11 차영남, "조선력사(초급중학교1)" 교육도서출판사 2013

      12 전대준, "조선단대사 : 고조선사" 과학백과사전출판사 2010

      13 송호정, "제7차 개정 교육과정 중2 ‘역사’교과서의 ‘문명의 형성과 고조선의 성립’ 서술 내용 검토" 한국고대사학회 (64) : 43-78, 2011

      14 양정현, "역사,무엇을 어떻게 가르칠 것인가" 휴머니스트 2008

      15 강원도교육청, "상호이해를 기반으로 한 남북교육교류 프로그램 개발 최종보고회"

      16 교육인적자원부, "사회과 교육과정(교육인적자원부 고시 제2007-79호)"

      17 교육부, "사회과 교육과정(교육부 고시 제2018-162호)"

      18 교육부, "사회과 교육과정(교육부 고시 제1997-15호)"

      19 교육과학기술부, "사회과 교육과정(교육과학기술부 고시 제2009-41호)"

      20 오강원, "북한의 한국사 연구 동향(1)" 국사편찬위원회 2003

      21 지수걸, "북한의 역사학(1)" 국사편찬위원회 2002

      22 김순자, "북한의 역사학(1)" 국사편찬위원회 2002

      23 하원호, "북한의 역사학(1)" 국사편찬위원회 2002

      24 김한종, "북한의 역사학 (1)" 국사편찬위원회 2002

      25 권오영, "북한의 역사만들기" 푸른역사 2003

      26 정영순, "북한의 역사교육" 한국학중앙연구원출판부 2000

      27 이정빈, "북한의 고조선 교육과 ‘김일성민족’의 단군 -1993년 이후 고등중학교 『조선력사』를 중심으로-" 한국사학사학회 (32) : 75-97, 2015

      28 조법종, "북한의 ‘大同江文化論’과 고조선인식 검토" 한국고대학회 (43) : 39-70, 2015

      29 하문식, "북한 학계의 고조선 연구 경향" 74 : 2006

      30 박재영, "북한 '조선력사'교과서에 나타난 '신라'관련 내용분석" 신라문화연구소 (30) : 301-316, 2007

      31 오영철, "력사(고급1)" 교육도서출판사 2013

      32 하문식, "대동강 문화론에서 본 북한 학계의 연구 경향" 고조선단군학회 14 : 5-34, 2006

      33 정영순, "남북한의 역사인식 비교 연구-역사교과서를 중심으로" 한국사회과교육연구학회 45 (45): 5-36, 2006

      34 배유정, "남북한 중학교 국사 교과서의 고구려사 서술과 인식" 역사교육학회 (40) : 241-275, 2008

      35 김정현, "남북한 역사 교과서의 임진왜란 서술체제와 내용의 비교 분석 : 중학교 「역사」와 고등중학교 「조선력사」를 중심으로" 경북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36 최광식, "남북한 '檀君' 인식의 차이점과 그 극복 방안" 33 : 2000

      37 이서영, "김정은 시대 북한『조선력사』 교과서 구성 분석" 한국사회교과교육학회 25 (25): 103-114, 2018

      38 김용간, "기원전 천년기전반기의 고조선문화" 2 : 1967

      39 이정빈, "국정 역사교과서의 한국고대사 서술과 유사역사 문제" 한국역사교육학회 (31) : 7-37, 2018

      40 전덕재, "고등학교 한국사" 씨마스 2020

      41 권오영, "강상묘와 고조선사회" 9 : 1993

      42 손영종, "≪한4군≫ 문제와 락랑문화의 조선적성격" 사회과학출판사 2010

      43 임기환, "3~7차 교육과정 국정 국사교과서의 고조선, 한군현 관련 서술의 변화" 한국사회과교육연구학회 56 (56): 21-44, 2017

      44 우장문, "2012 개정 중학교 역사 교과서의 내용 분석- 선사 시대~삼한까지를 중심으로 -" 고조선단군학회 30 (30): 253-281, 2014

      45 박현숙, "2009 개정 교육과정 중학교 『역사(1)』 교과서의 백제사 쟁점에 대한 서술 검토" 한국고대학회 (46) : 77-106, 2015

      46 조법종, "2008년 검정 ‘역사’교과서 선사ㆍ고대시기 기준안 검토" 한국고대학회 (31) : 290-317, 2009

      47 박준형, "2000년대 이후 한국학계의 고조선사 연구 동향 검토" 한국고대학회 (54) : 41-62, 2017

      48 오대양, "2000년대 북한학계의 단군·고조선연구 현황 검토" 한국고대학회 (54) : 63-107, 2017

      49 오대양, "2000년 이후 국가별 쟁점과 전망, 고조선사 연구동향" 동북아역사재단 2018

      50 김덕수, "(중학교) 역사 2" 천재교육 2020

      51 김태웅, "(중학교) 역사 2" 미래엔 2020

      52 박근철, "(중학교) 역사 2" 지학사 2020

      53 성철, "(동방의 문명을 불러온)고조선전기문화" 사회과학출판사 2019

      54 노대환, "(고등학교) 한국사" 동아출판 2020

      55 도면회, "(고등학교) 한국사" 비상교육 2020

      56 박중현, "(고등학교) 한국사" 해냄에듀 2020

      57 송호정, "(고등학교) 한국사" 지학사 2020

      58 한철호, "(고등학교) 한국사" 미래엔 2020

      59 최준채, "(고등학교) 한국사" 금성출판사 2020

      60 최병택, "(고등학교) 한국사" 천재교육 2020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11 1.11 1.0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03 1.05 2.153 0.42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