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유고슬라비즘의 헤테로토피아: 포스트-유고슬라비아 메타픽션의 정체성 연구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포스트-유고슬라비아 탈근대 남성작가 연구와 포스트-유고슬라비아 페미니즘 연구에서 도출된 실증적 자료를 기반으로 포스트-유고슬라비아 메타픽션이 노정하는 주요 측면을 ...

      본 연구는 포스트-유고슬라비아 탈근대 남성작가 연구와 포스트-유고슬라비아 페미니즘 연구에서 도출된 실증적 자료를 기반으로 포스트-유고슬라비아 메타픽션이 노정하는 주요 측면을 집중적으로 분석했다. 첫째로는 포스트-유고슬라비아 메타픽션 자체가 표출하는 발화장르적 특성인 발칸 서부 문학의 로컬적인 특성을 분석했다. 구 유고권 1세대 메타픽션의 전통을 이어받아 포스트-유고슬라비아 메타픽션 문학은 발칸 서부지역 주민들이 항구적인 이데올로기적 딜레마, 영구적인 실존적 역설에 붙들려 있음을 폭로하며, 독자적인 문학적 메시지를 표현하기 위해 이런 역설에 내재하는 모순을 전유한다. 포스트-유고슬라비아 메타픽션은 부족 문화 전통과 전근대적 에토스, 지방성 등 발칸 서부지역의 실존적 부조리의 근간이 되는 전근대, 근대, 탈근대의 중층적 개입과 민족적 상상계의 본질을 자기타자화의 방법을 통해 노출시킨다. 둘째로는 구 유고권 메타픽션 1세대 작가들에 대한 이들 신예작가들의 사상적 수용 및 양자의 대화적 관계에 대해 고찰하였다. 이를 통해 ‘가장 유고슬라비아적인 작가들’로 평가됐던 선대의 작가군과 신세대 작가들의 문학적 계보화 및 이런 범주화에 근거해 재편된 새로운 문학사 기술 가능성을 시도해보았다. 셋째로는 구 유고연방의 붕괴와 사회적 소요 등 재난에 대한 글쓰기가 함축하는 포스트모던적 예술로서의 의의를 구명하고자 했다. 민족주의 프로파간다의 주요 채널로 자주 도용돼 온 전통적 서사에 대한 대항 담론으로서 소재와 형식에서 현대적, 비발칸적인 이런 예술적 파격이 지시하는 정치적 의미에 주목할 필요가 있기 때문이다. 넷째이자 결론으로는 메타픽션 장르의 아방가르드적 측면인 바, 대상에 대한 반영과 자기반영(self-reflexivity) 양자의 상호작용을 통해 구현되는 이중인화적 이미지에 내재된 유토피아적 함의를 분석하고자 했다. 이를 통해 포스트-유고슬라비아 메타픽션이 서유럽 사회 및 국제사회의 외부 시선과 민족 집단의 내부 시선을 동시에 다루면서 양자에 비판적으로 개재하여 궁극적으로 제시하고자 하는 미래의 실천적 대안 이념(헤테로토피아)으로서의 '유고슬라비즘'의 정체를 도출하고자 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aim of this research is to analyze the principal aspects of so called "Post-Yugoslav Metafiction" on the base of the empirical data derived from the Post-Yugoslav postmodern writings including works by Post-Yugoslav feminist women writers. Firstly...

      The aim of this research is to analyze the principal aspects of so called "Post-Yugoslav Metafiction" on the base of the empirical data derived from the Post-Yugoslav postmodern writings including works by Post-Yugoslav feminist women writers. Firstly, I analysed the local feature of the literary genres in the Western Balkan metafictions. Being in succession to the legacy of the literary sources of former Yugoslavia, Post-Yugoslav metafictions reveal the constant existential, paradoxical problems and ideological dilemmas in which are seen to be entangled today's Western Balkans, while using those as their own literary materials. The writers of Post-Yugoslav metafictions describe the real face of the national imaginary in that area, and analyze the multilayered structure of the existential absurdity with focus on tribal nationalism, premodern ethos, provincialism through the literary method of self-alienation. Secondly, I inquired into the dialogic connection between the former Yugoslav writers and Post-Yugoslav younger writers. Through this kind of categorization of writers of different generations according to their literary tendencies, I tried to propose the new version of Yugoslav literary history. Thirdly, I tried to study out the significance of the so-called "writing of dis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