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에서는 2013년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북한 초급중학교 『사회주의도덕』 교과서를 분석하여 북한 도덕교육의 변화를 살펴보았다. 크게 형식적인 측면과 내용적인 측면으로 나누어 분...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6615528
2020
Korean
KCI등재
학술저널
83-108(26쪽)
0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2013년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북한 초급중학교 『사회주의도덕』 교과서를 분석하여 북한 도덕교육의 변화를 살펴보았다. 크게 형식적인 측면과 내용적인 측면으로 나누어 분...
본 연구에서는 2013년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북한 초급중학교 『사회주의도덕』 교과서를 분석하여 북한 도덕교육의 변화를 살펴보았다. 크게 형식적인 측면과 내용적인 측면으로 나누어 분석하였는데, 형식적인 측면에서는 단원 구성에 있어 도입, 전개, 정리의 형태를 갖추면서 상급 학년과의 연계성 고려, 학생들의 발달 단계를 고려한 수업 자료 제시, 학생의 주도적 참여와 탐구 및 응용능력을 강조하는 교수방법 추구 등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내용적인 측면에서는 생활영역 확대에 따른 내용 구성, 도덕품성 발달이 고려된 인지, 정서, 행동의 세가지 측면을 중심으로 하는 내용 전개, 보편적인 도덕 가치 포함 등의 변화를 읽을 수 있었다. 그러나 여전히 국가 및 지도자에 대한 충성을 강조하고 사회주의 체제를 유지하기 위한 인간 양성을 목적으로 한다는 점에서 북한 사회의 특수한 도덕교육의 맥락은 유지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북한의 도덕교육이 교육내용 구성 및 전개, 교수학습방법 등에 있어서 일반적인 도덕교육의 방향을 반영하는 방식으로 변화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examined changes in North Korean moral education by analyzing North Korean junior middle school textbook 『Socialist Morality』 revised according to the 2013 revised curriculum. Largely the formal aspects and the content aspects were sepa...
This study examined changes in North Korean moral education by analyzing North Korean junior middle school textbook 『Socialist Morality』 revised according to the 2013 revised curriculum. Largely the formal aspects and the content aspects were separately examined. In the formal aspect, it could be seen that the units were constructed in the form of introduction, development, and conclusion, teaching materials were presented considering connectivity with higher grades and students’ developmental stages, and teaching methods emphasizing students’ active participation and inquiry and application abilities were pursued. In the aspect of contents, changes in the composition of contents in line with the expansion of living areas, changes in the content of teaching centered on three aspects; cognition, emotion, and behavior considering the development of moral characters, and the inclusion of universal moral values in the contents of education could be seen. Nevertheless, the context of special moral education of North Korean society was maintained in that allegiance to the state and the leader is still emphasized and education aims to cultivate humans in order to maintain the socialist system. However, changes in North Korean moral education could be seen in that the direction of general moral education is reflected on the composition and development of educational contents and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지수, "제7차 로동당 대회를 통해 본 북한 김정은 정권의 교육정책" 14 (14): 1-21, 2017
2 오기성, "사회통합의 관점에서 본 김정은 시대 북한 소학교 『사회주의도덕』의 변화와 지속" 교육연구소 25 (25): 623-646, 2019
3 안성, "사회주의도덕 교수참고서 : 초급중학교1" 교육도서출판사 2013
4 안성, "사회주의도덕 : 초급중학교 2" 교육도서출판사 2014
5 안성, "사회주의도덕 : 초급중학교 1" 교육도서출판사 2013
6 통일교육원, "북한이해" 통일교육원 2018
7 김창근, "북한의 소학교용 「공산주의 도덕」 교과서에 나타난 도덕규범의 분석: 통일교육에 주는 시사점을 중심으로*" 한국윤리학회 1 (1): 75-97, 2010
8 오기성, "북한의 소학교 『사회주의도덕(2013)』의 주요 특성 연구" 교육문제연구소 75 : 29-51, 2019
9 오기성, "북한의 도덕과 교육 변화 연구: 공산주의도덕과 사회주의도덕의 비교의 관점에서" 한국초등도덕교육학회 (65) : 147-185, 2019
10 김진숙, "북한의 ‘전반적 12년제 의무교육’에 따른 학제와 교육과정 개정 동향" 3-16, 2016
1 김지수, "제7차 로동당 대회를 통해 본 북한 김정은 정권의 교육정책" 14 (14): 1-21, 2017
2 오기성, "사회통합의 관점에서 본 김정은 시대 북한 소학교 『사회주의도덕』의 변화와 지속" 교육연구소 25 (25): 623-646, 2019
3 안성, "사회주의도덕 교수참고서 : 초급중학교1" 교육도서출판사 2013
4 안성, "사회주의도덕 : 초급중학교 2" 교육도서출판사 2014
5 안성, "사회주의도덕 : 초급중학교 1" 교육도서출판사 2013
6 통일교육원, "북한이해" 통일교육원 2018
7 김창근, "북한의 소학교용 「공산주의 도덕」 교과서에 나타난 도덕규범의 분석: 통일교육에 주는 시사점을 중심으로*" 한국윤리학회 1 (1): 75-97, 2010
8 오기성, "북한의 소학교 『사회주의도덕(2013)』의 주요 특성 연구" 교육문제연구소 75 : 29-51, 2019
9 오기성, "북한의 도덕과 교육 변화 연구: 공산주의도덕과 사회주의도덕의 비교의 관점에서" 한국초등도덕교육학회 (65) : 147-185, 2019
10 김진숙, "북한의 ‘전반적 12년제 의무교육’에 따른 학제와 교육과정 개정 동향" 3-16, 2016
11 유희연, "북한의 2013교육과정 개정 전·후 영어 교과서 구성 체제 비교" 한국콘텐츠학회 18 (18): 412-422, 2018
12 정혜윤, "북한의 2012년 교육과정 개정 전후 수학교과서 분석: 초급중학교 1학년을 중심으로" 대한수학교육학회 18 (18): 143-157, 2016
13 한만길, "북한의 12년 학제 개편을 통한 김정은 정권의 교육정책 분석" 북한연구학회 18 (18): 233-254, 2014
14 이향근, "북한 김정은 체제의 소학교 국어 교과서 단원 구성과 수록 제재의 특성 분석" 교육문제연구소 73 : 23-41, 2018
15 박현주, "북한 김정은 시대의 고급중학교 1 화학 교과서의 탐구 경향성 분석" 대한화학회 63 (63): 266-279, 2019
16 Kurtines, "도덕성의 발달과 심리" 학지사 2004
17 정창우, "도덕교육의 새로운 해법" 교육과학사 2004
18 정창우, "도덕과 교육의 이론과 쟁점" 울력 2013
19 최현호, "남북한 중등 도덕 교과서 비교" 철학과 현실사 2002
20 주재우, "김정은시대의 북한 초급중학교 국어교과서 분석" 한국독서학회 (48) : 133-163, 2018
21 조정아, "김정은시대 북한 교육정책 방향과 중등교육과정 개편" 통일연구원 23 (23): 177-206, 2014
22 차승주, "김정은 시대 북한의 도덕교육" 한국초등도덕교육학회 (65) : 1-27, 2019
23 정채관, "김정은 시대 북한의 교육정책, 교육과정, 교과서" 통일연구원 2015
24 이서영, "김정은 시대 북한『조선력사』 교과서 구성 분석" 한국사회교과교육학회 25 (25): 103-114, 2018
25 이상균, "김정은 시대 북한 지리교과서의 변화 방향과 내용구성 특징"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 25 (25): 85-95, 2017
26 이인정, "김정은 시기 북한의 「교육신문」에 드러난 북한 체제통합 기제로서의 교육제도 연구" 한국초등도덕교육학회 (63) : 1-20, 2019
27 박찬석, "2010년대 북한 소학교 교육의 전개와 특징에 대한 연구" 한국윤리학회 1 (1): 273-299, 2013
교육공동체의 시민적 인성역량과 학업 성취도의 관계에 대한 탐색적 연구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7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4-12-23 | 학회명변경 | 영문명 : The Korean Society For The Study Of Moral Education -> The Korean Society for Moral & Ethics Education | ![]() |
201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6-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5-05-23 | 학술지등록 | 한글명 : 도덕윤리과교육외국어명 : Journal of Moral & Ethics Education | ![]() |
2005-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4-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 ![]() |
2003-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6 | 0.6 | 0.63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59 | 0.57 | 0.961 | 0.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