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찰옥수수 자식계통 식미관련 특성 및 계통 분류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541063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작물과학원에서 육성한 찰옥수수 자식계통을 대상으로 농업적 형질 및 품질관련 특성 등을 분석하여 계통군화 시켜 교배모, 부본의 기초 자료로 이용하고 품질육종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한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작물과학원에서 육성한 찰옥수수 64개 자식계통에 대해서 옥수수 낱알형태를 조사한 결과 백립중은 11.7·37.3 g, 과피두께 11~77 ㎜, 립장 5.8~9.6 ㎜, 립폭 6.5~10.0 ㎜, 립두께 4.1~6.8 ㎜의 분포를 나타내었다.
      2. 이화학적 특성 분석에 있어서는 단백질 함량은 8.7~5.8%, 지방 2.3~5.8%, 유리당 1.1~11.0%, 아밀로펙턴 78.5~93.8%의 다양한 변이분포를 보였다.
      3 아밀로그램을 분석한 결과 초기호화온도는 64.5~79.1℃, 최고점도 14.8~221.8 RVU, 최저점도 12.2~109.6RVU, 최종점도 20.1~212.6 RVU였으며 강하점도는 2.0~112.2 RVU, 치반점도 -81.3~85.3 RVU, 응집점도 7.9~105.0RVU로 나타났다.
      4. Texture 분석을 한 결과 껌성 91~383, 경도 181~394, 씹힘성 73~370의 범위에 속하였다.
      5. 64개 자식계통을 대상으로 단백질 등 14개 형질을 이용하여 주성분 분석을 한 결과 제1주성분은 단백질과 지방 함량이 높고 경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나 주로 저식미 계통군으로 분류되며 백립중과 립장이 부의 값이어서 소립이 형태를 보였으며 제2주성분은 립장, 립폭, 백립중 등이 값을 나타내어 대립의 계통군들이 포함되며 경도와는 부의 상관을 보여 식미가 양호한 계통군으로 분류되었다.
      6. 제1주성분과 제2주성분을 이용하여 군집분석을 한 결과 8개 자식계통군으로 구분할 수 있었으며 scatter diagram에서 제1주성분이 작아지고 제2주성분이 커지는 좌측 상단부에 분포한 Ⅶ,Ⅷ군에 속한 계통들이 주로 식미가 높으며 조숙종보다는 중, 만숙종들이 대부분 이였다.
      번역하기

      작물과학원에서 육성한 찰옥수수 자식계통을 대상으로 농업적 형질 및 품질관련 특성 등을 분석하여 계통군화 시켜 교배모, 부본의 기초 자료로 이용하고 품질육종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한...

      작물과학원에서 육성한 찰옥수수 자식계통을 대상으로 농업적 형질 및 품질관련 특성 등을 분석하여 계통군화 시켜 교배모, 부본의 기초 자료로 이용하고 품질육종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한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작물과학원에서 육성한 찰옥수수 64개 자식계통에 대해서 옥수수 낱알형태를 조사한 결과 백립중은 11.7·37.3 g, 과피두께 11~77 ㎜, 립장 5.8~9.6 ㎜, 립폭 6.5~10.0 ㎜, 립두께 4.1~6.8 ㎜의 분포를 나타내었다.
      2. 이화학적 특성 분석에 있어서는 단백질 함량은 8.7~5.8%, 지방 2.3~5.8%, 유리당 1.1~11.0%, 아밀로펙턴 78.5~93.8%의 다양한 변이분포를 보였다.
      3 아밀로그램을 분석한 결과 초기호화온도는 64.5~79.1℃, 최고점도 14.8~221.8 RVU, 최저점도 12.2~109.6RVU, 최종점도 20.1~212.6 RVU였으며 강하점도는 2.0~112.2 RVU, 치반점도 -81.3~85.3 RVU, 응집점도 7.9~105.0RVU로 나타났다.
      4. Texture 분석을 한 결과 껌성 91~383, 경도 181~394, 씹힘성 73~370의 범위에 속하였다.
      5. 64개 자식계통을 대상으로 단백질 등 14개 형질을 이용하여 주성분 분석을 한 결과 제1주성분은 단백질과 지방 함량이 높고 경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나 주로 저식미 계통군으로 분류되며 백립중과 립장이 부의 값이어서 소립이 형태를 보였으며 제2주성분은 립장, 립폭, 백립중 등이 값을 나타내어 대립의 계통군들이 포함되며 경도와는 부의 상관을 보여 식미가 양호한 계통군으로 분류되었다.
      6. 제1주성분과 제2주성분을 이용하여 군집분석을 한 결과 8개 자식계통군으로 구분할 수 있었으며 scatter diagram에서 제1주성분이 작아지고 제2주성분이 커지는 좌측 상단부에 분포한 Ⅶ,Ⅷ군에 속한 계통들이 주로 식미가 높으며 조숙종보다는 중, 만숙종들이 대부분 이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Objectives of this study were to select inbred lines which have a good eating quality and desirable segregates during inbreeding of waxy corn. The 64 inbred lines showed a large variance in their kernel shape and weight. 100-kernel weight, pericarp thickness, kernel length, kernel width, and kernel thickness ranged 11.7~37.3 g, 11~77 ㎛, 5.8-9.6 ㎜, 6.5-10.0 ㎜, and 4.1-6.8 ㎜, respectively. The physicochemical analysis of 64 waxy corn inbred lines showed crude protein, crude fat, free sugar, and amylopectin content ranging 8.7~15.8%, 2.3~5.8%, 1.1~11.0%, and 78.5~93.8%, respectively. The texture property analysis of 64 inbred lines by texture analyzer showed a big difference. Gumminess, hardness, and chewiness of 64 inbred lines ranged 91~383, 181~394, and 73~370, respectively. The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for 14 characteristics related to kernel quality showed that 73.1 % of the total variation could be attributed to the first five principal components. Biological meaning of the principal component was explained clearly by the correlation coetlicient between principal components and characters. The first principal component appeared to correspond to small kernel and bad eating quality. The second principal component appeared to correspond to large kernel and good eating quality. The 64 inbred lines were classified into 8 groups by the cluster analysis using the first and second principal component. Among the groups, group VII and VIII included inbred lines with good eating quality that had thin pericarp thickness, low protein content, large kernel, and soft tenderness.
      번역하기

      Objectives of this study were to select inbred lines which have a good eating quality and desirable segregates during inbreeding of waxy corn. The 64 inbred lines showed a large variance in their kernel shape and weight. 100-kernel weight, pericarp th...

      Objectives of this study were to select inbred lines which have a good eating quality and desirable segregates during inbreeding of waxy corn. The 64 inbred lines showed a large variance in their kernel shape and weight. 100-kernel weight, pericarp thickness, kernel length, kernel width, and kernel thickness ranged 11.7~37.3 g, 11~77 ㎛, 5.8-9.6 ㎜, 6.5-10.0 ㎜, and 4.1-6.8 ㎜, respectively. The physicochemical analysis of 64 waxy corn inbred lines showed crude protein, crude fat, free sugar, and amylopectin content ranging 8.7~15.8%, 2.3~5.8%, 1.1~11.0%, and 78.5~93.8%, respectively. The texture property analysis of 64 inbred lines by texture analyzer showed a big difference. Gumminess, hardness, and chewiness of 64 inbred lines ranged 91~383, 181~394, and 73~370, respectively. The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for 14 characteristics related to kernel quality showed that 73.1 % of the total variation could be attributed to the first five principal components. Biological meaning of the principal component was explained clearly by the correlation coetlicient between principal components and characters. The first principal component appeared to correspond to small kernel and bad eating quality. The second principal component appeared to correspond to large kernel and good eating quality. The 64 inbred lines were classified into 8 groups by the cluster analysis using the first and second principal component. Among the groups, group VII and VIII included inbred lines with good eating quality that had thin pericarp thickness, low protein content, large kernel, and soft tendernes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ABSTRACT
      • 재료 및 방법
      • 결과 및 고찰
      • 적요
      • 인용문헌
      • ABSTRACT
      • 재료 및 방법
      • 결과 및 고찰
      • 적요
      • 인용문헌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