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만경강유역 점토대토기문화의 유입과 그 변화 = Influx and Changes of Clay-stripe Pottery Culture on the Mangyeong River Basi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93776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만경강유역은 한반도 점토대토기문화가 가장 융성했던 중심지로써 대규모 군집묘와 여러 유형의 분묘가 조사되었고, 다양한 청동유물과 이른 시기의 철기가 출토되었다. 만경강유역 점토대토기는 원형과 삼각형점토대토기가 모두 확인된다. 전주·완주 혁신도시 일대에서는 대규모 군집묘와 함께 祭儀와 관련된 수많은 溝들이 조사되었지만, 생활유적인 취락은 거의 확인되지 않았다.
      점토대토기문화기 분묘가 가장 많이 조사된 전주·완주 혁신도시 일원은 이른 시기의 점토대토기문화는 확인되지만, 만경강유역에서 가장 많은 수를 차지하는 송국리취락은 거의 확인되지 않았는데 이는 송국리문화가 확산될 당시 혁신도시 일원에는 이미 점토대토기문화 집단이 선점하고 있었던 것으로 볼 수 있다.
      만경강유역 점토대토기문화 유입 시기는 방사성탄소연대와 주거지 출토 유물로 볼 때 적어도 기원전 5세기 원형점토대토기가 처음 유입되어 송국리문화와 접촉이 이루어지고 일정기간 공존하다 점토대토기문화가 본격적으로 유입되는 기원전 3세기를 기점으로 원천·조촌천 일대에 대규모 (목관)토광묘가 축조되기 시작하면서 만경강유역의 중심문화가 송국리문화에서 점토대토기문화로 대체된다. 기원전 2세기에는 준왕의 남천을 계기로 철기가 유입되면서 송국리문화는 완전히 소멸하고 기원전 1세기를 전후하여 만경강유역에서 점토대토기문화는 더 이상 발전하지 못하고 그 중심이 서남해안지역과 영산강유역으로 옮겨간 것으로 볼 수 있다
      번역하기

      만경강유역은 한반도 점토대토기문화가 가장 융성했던 중심지로써 대규모 군집묘와 여러 유형의 분묘가 조사되었고, 다양한 청동유물과 이른 시기의 철기가 출토되었다. 만경강유역 점토...

      만경강유역은 한반도 점토대토기문화가 가장 융성했던 중심지로써 대규모 군집묘와 여러 유형의 분묘가 조사되었고, 다양한 청동유물과 이른 시기의 철기가 출토되었다. 만경강유역 점토대토기는 원형과 삼각형점토대토기가 모두 확인된다. 전주·완주 혁신도시 일대에서는 대규모 군집묘와 함께 祭儀와 관련된 수많은 溝들이 조사되었지만, 생활유적인 취락은 거의 확인되지 않았다.
      점토대토기문화기 분묘가 가장 많이 조사된 전주·완주 혁신도시 일원은 이른 시기의 점토대토기문화는 확인되지만, 만경강유역에서 가장 많은 수를 차지하는 송국리취락은 거의 확인되지 않았는데 이는 송국리문화가 확산될 당시 혁신도시 일원에는 이미 점토대토기문화 집단이 선점하고 있었던 것으로 볼 수 있다.
      만경강유역 점토대토기문화 유입 시기는 방사성탄소연대와 주거지 출토 유물로 볼 때 적어도 기원전 5세기 원형점토대토기가 처음 유입되어 송국리문화와 접촉이 이루어지고 일정기간 공존하다 점토대토기문화가 본격적으로 유입되는 기원전 3세기를 기점으로 원천·조촌천 일대에 대규모 (목관)토광묘가 축조되기 시작하면서 만경강유역의 중심문화가 송국리문화에서 점토대토기문화로 대체된다. 기원전 2세기에는 준왕의 남천을 계기로 철기가 유입되면서 송국리문화는 완전히 소멸하고 기원전 1세기를 전후하여 만경강유역에서 점토대토기문화는 더 이상 발전하지 못하고 그 중심이 서남해안지역과 영산강유역으로 옮겨간 것으로 볼 수 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청규, "遼東∙西北韓의 初期鐵器文化와 衛滿朝鮮" 동북아역사재단 (44) : 95-147, 2014

      2 이후석, "遼東~西北韓地域의 細形銅劍文化와 古朝鮮 - 위만조선 물질문화의 형성과정과 관련하여 -" 동북아역사재단 (44) : 149-205, 2014

      3 권혁재, "황해안 간석지 발달과 그 퇴적물의 기원 -금강·동진강 하구간의 간석지를 중심으로-" 대한지리학회지 9 (9): 1-12, 1974

      4 김규정, "호남지역 청동기시대 취락의례의 양상과 특징" 한국상고사학회 95 (95): 21-54, 2017

      5 김훈희, "호남지역 점토대토기시기 분묘 연구" 목포대학교대학원 2016

      6 장지현, "호남지역 점토대토기문화의 전개양상과 특징- 생활유적을 중심으로 -" 호남고고학회 51 : 32-55, 2015

      7 김규정, "호남지역 마한성립기 대외교류" (사)한국문화유산협회 (29) : 5-38, 2017

      8 김승옥, "호남지역 마한과 백제, 그리고 가야의 상호관계" 호남고고학회 63 : 4-34, 2019

      9 김상민, "한반도 남부지역 철기문화의 유입과 전개과정 -연계·한식철기의 유입연대를 중심으로-" 국립중앙박물관 19 : 1-40, 2013

      10 송화섭, "한국의 암각화" 한국역사민속학회·한길사 249-300, 1996

      1 이청규, "遼東∙西北韓의 初期鐵器文化와 衛滿朝鮮" 동북아역사재단 (44) : 95-147, 2014

      2 이후석, "遼東~西北韓地域의 細形銅劍文化와 古朝鮮 - 위만조선 물질문화의 형성과정과 관련하여 -" 동북아역사재단 (44) : 149-205, 2014

      3 권혁재, "황해안 간석지 발달과 그 퇴적물의 기원 -금강·동진강 하구간의 간석지를 중심으로-" 대한지리학회지 9 (9): 1-12, 1974

      4 김규정, "호남지역 청동기시대 취락의례의 양상과 특징" 한국상고사학회 95 (95): 21-54, 2017

      5 김훈희, "호남지역 점토대토기시기 분묘 연구" 목포대학교대학원 2016

      6 장지현, "호남지역 점토대토기문화의 전개양상과 특징- 생활유적을 중심으로 -" 호남고고학회 51 : 32-55, 2015

      7 김규정, "호남지역 마한성립기 대외교류" (사)한국문화유산협회 (29) : 5-38, 2017

      8 김승옥, "호남지역 마한과 백제, 그리고 가야의 상호관계" 호남고고학회 63 : 4-34, 2019

      9 김상민, "한반도 남부지역 철기문화의 유입과 전개과정 -연계·한식철기의 유입연대를 중심으로-" 국립중앙박물관 19 : 1-40, 2013

      10 송화섭, "한국의 암각화" 한국역사민속학회·한길사 249-300, 1996

      11 자원개발연구소, "한국의 광물" 1977

      12 이형원, "충청서해안지역 점토대토기문화 유입과 문화변동, in 점토대토기문화의 기원과 전개" 한국청동기학회 23-39, 2016

      13 한수영, "초기철기문화의 전개양상-전북혁신도시를 중심으로, in 고고학으로 밝혀 낸 전북혁신도시" 호남고고학회 123-136, 2016

      14 강인욱, "청동기시대의 고고학 2 편년" 서경문화사 19-33, 2016

      15 김삼룡, "지정학적인 측면에서 본 익산-수로교통로를 중심으로-" 원광대학교 마한·백제문화연구소 15 : 101-128, 2001

      16 이창희, "점토대토기의 실연대 -세형동검문화의 성립과 철기의 출현연대-" 국립문화재연구소 43 (43): 48-101, 2010

      17 송종열, "점토대토기문화의 정착과정과 사회분화 -전북 서부지역을 중심으로-, In 점토대토기문화의 기원과 전개" 한국청동기학회 87-107, 2015

      18 송종열, "점토대토기문화의 정착과정과 사회분화 - 전북 서부지역 토광묘를 중심으로 -" (사)한국문화유산협회 (26) : 75-103, 2016

      19 김규정, "점토대토기문화기 석재사용 분묘 검토 - 호서·호남지역을 중심으로 -" 한국청동기학회 (20) : 88-121, 2017

      20 김규정, "전북혁신도시 일대 청동기시대 취락, In 고고학으로 밝혀 낸 전북 혁신도시" 호남고고학회 75-100, 2016

      21 한수영, "전북지역 초기철기시대 분묘 연구" 전북대학교대학원 2015

      22 홍금수, "전라북도 연해지역의 간척과 경관변화" 국립민속박물관 1-395, 2008

      23 김원룡, "익산지역의 청동기문화" 원광대학교 마한·백제문화연구소 2 : 25-43, 1977

      24 박승자, "익산 요교제의 역사지리" 한국문화역사지리학회 22 (22): 87-98, 2010

      25 김종혁, "유역권으로 본 문화권" 역사문화학회 9-20, 2009

      26 한수영, "완주 신풍유적을 중심으로 본 초기철기문화의 전개양상" 호남고고학회 56 : 4-23, 2017

      27 정기진, "영산강유역 옹관묘의 변천과 장제" 목포대학교 대학원 2000

      28 이영문, "소위 송국리형 묘제의 형성과 그 특징" 한국문화사학회 (28) : 5-26, 2007

      29 복천박물관, "선사·고대의 패총 인간, 바다, 그리고 삶" 2011

      30 조성욱, "만경강의 역할과 의미 변화" 한국지역지리학회 13 (13): 187-200, 2007

      31 국토해양부 익산지방국토관리청, "만경강유역종합치수계획보고서" 2008

      32 한수영, "만경강유역의 점토대토기문화기 목관묘 연구" 호남고고학회 39 : 5-26, 2011

      33 한수영, "만경강유역 청동기문화의 전개양상, In 만경강유역의 고고학적 성과" 완주군·국립전주박물관·한국청동기학회 45-55, 2019

      34 송종열, "만경강유역 점토대토기문화의 정착 과정" 호남고고학회 50 : 52-69, 2015

      35 김승옥, "만경강유역 점토대토기문화의 전개과정과 특징" 한국고고학회 (99) : 40-77, 2016

      36 조선총독부, "만경강개수계획설명서"

      37 김승옥, "만경강 일대 선사문화의 전개와 성격 -전북혁신도시 지역을 중심으로-" 호남고고학회 55 : 32-59, 2017

      38 최완규, "마한 성립의 고고학적 일고찰" 한국고대사학회 (79) : 47-96, 2015

      39 김상민, "동북아시아 철겸의 변천과 완주 갈동유적 주조철겸의 등장배경" (사)한국문화유산협회 (34) : 5-38, 2019

      40 전영래, "금강유역 청동기문화권 신자료" 원광대학교 마한·백제문화연구소 10 : 73-75, 1987

      41 송종열, "금강유역 원형점토대토기문화 연구" 전북대학교 대학원 2008

      42 김승옥, "금강유역 송국리형 묘제의 연구-석관묘·석개토광묘·옹관묘를 중심으로-" 한국고고학회 45 : 45-74, 2001

      43 윤호필, "고대 동북아시아의 수리와 제사" (재)대한문화유산연구센터 153-, 2011

      44 박진일, "韓半島 粘土帶土器文化 硏究" 부산대학교 대학원 2013

      45 진영민, "粘土帶土器文化의 韓半島 開始年代 再考" 한국청동기학회 (18) : 54-82, 2016

      46 이형원, "粘土帶土器文化 流入期 模倣土器의 社會的 意味" 숭실사학회 (34) : 5-37, 2015

      47 전영래, "益山, 多松里 靑銅遺物 出土墓" 전라북도박물관 5 : 173-177, 1975

      48 김규정, "益山 靑銅器文化圈과 馬韓" 마한백제문화연구소 23 : 25-51, 2014

      49 김규정, "無文土器 甕棺墓 檢討" 한국고대학회 (25) : 457-480, 2006

      50 李東熙, "湖南地方 粘土帶土器文化期의 墓制와 地域性" 한국대학박물관협회 60 : 27-64, 2002

      51 김규정, "湖南地域 靑銅器時代 聚落 硏究" 경상대학교 대학원 2013

      52 全榮來, "完州上林里出土 中國式銅劍에 關하여 -春秋末戰國初, 中國靑銅器文化의 南韓流入問題-" 전주시립박물관 6 : 203-216, 1976

      53 이청규, "『상산 송상규의 금마』도록"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234-239, 2018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계속평가 신청대상 (계속평가)
      2021-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재인증) KCI등재후보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1-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11 1.11 1.1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16 1.16 2.001 0.67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