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청소년의 자아개념, 스트레스, 비행의 관계연구 = (A) Correlation study of self-concept, stress and delinquency in adolescent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998831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청소년의 자아개념, 스트레스, 비행 정도를 살펴보고 자아개념, 스트레스, 비행의 상관관계를 파악하여 청소년 정신건강증진을 위한 간호중재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

      본 연구의 목적은 청소년의 자아개념, 스트레스, 비행 정도를 살펴보고 자아개념, 스트레스, 비행의 상관관계를 파악하여 청소년 정신건강증진을 위한 간호중재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되었다. 연구대상은 전라남도에 소재한 인문계 및 실업계 남·녀 고등학교에 재학중인 학생으로서 자료수집 기간은 2002년 6월 10일부터 6월 29일까지 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총 1,719부였고 이중 부적절한 자료 181부를 제외한 1,538부의 자료가 분석에 이용되었다.
      연구도구는 자아개념 척도(이시형, 1997), 스트레스 척도(김준호, 이동원, 1996), 청소년 비행 척도(김준호, 이동원, 1996)가 사용되었다.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7.5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자아개념, 스트레스, 비행정도는 기술통계를 하였고,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자아개념, 스트레스, 비행정도는 t-test, ANOVA로 분석하였으며, 필요한 경우는 Scheffe 사후검정 방법을 사용하였다. 대상자의 자아개념, 스트레스, 비행정도의 관계는 피어슨 상관관계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상자의 자아개념 점수는 최대 평점 4점 만점에 평균 2.65점으로 중상수준의 자아개념을 나타내었고, 스트레스 점수는 최대 평점 4점 만점에 평균 1.78점으로 낮은 점수를 나타내었으며, 비행 점수는 최대 평점 5점 만점에 평균 1.13점으로 낮게 나타났다.
      둘째,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자아개념, 스트레스, 비행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자아개념은 학년(F=7.03, p=.008), 계열(t=6.82, p=.000), 단짝친구(t=3.00, p=.003), 부모성향(F=8.72, p=.000), 가계수입(F=38.38, p=.000), 부(父)교육수준(F=24.47, p=.000), 부(父)직업(F=6.64, p=.000), 모(母)직업(F=6.08, p=.000), 거주지역(F=4.05, p=.018)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스트레스는 성별(t=4.38, p=.000), 계열(t=6.59, p=.000), 부모성향(F=34.92, p=.000), 가계수입(F=5.21, p=.006), 거주지역(F=7.72, p=.000)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비행은 계열(t=-7.20, p=.000), 가족형태(t=-3.39, p=.000), 부모성향(F=6.32, p=.000), 가계수입(F=13.49, p=.000), 거주지역(F=6.29, p=.002)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셋째, 대상자의 자아개념, 스트레스, 비행의 상관관계를 살펴보면, 자아개념과 스트레스(r=-.283, p=000), 자아개념과 비행(r=-.094, p=000)은 유의한 부적 상관관계가 있고 스트레스와 비행은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r=.215, p=000)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비행은 경제관련 스트레스(r=.256 p=.000), 친구관련 스트레스(r=.209 p=.000), 외모관련 스트레스(r=.177 p=.000), 공부/학교관련 스트레스(r=.066 p=.010) 순으로 상관관계가 높았고, 스트레스는 폭력비행(r=.215 p=.000), 절도비행(r=.202 p=.000), 지위비행(r=.152 p=.000), 도피비행(r=.144 p=.000) 순으로 상관관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로서 청소년의 자아개념, 스트레스, 비행간의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고, 자아개념이 높을수록 스트레스는 낮아지고, 스트레스가 낮을수록 비행정도도 낮아짐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긍정적인 자아개념을 형성하고 스트레스에 대한 대처능력을 높여 청소년 비행을 예방할 수 있는 실질적이고 구체적인 프로그램들의 활성화가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level of Self-concept, Stress and delinquency of adolescents and the correlation of those factors, and to provide the base materials for nursing intervention to improve the mental health of adolescent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level of Self-concept, Stress and delinquency of adolescents and the correlation of those factors, and to provide the base materials for nursing intervention to improve the mental health of adolescents. The subjects were high school students (including general high schools and vocational high schools) located in Jeollanam-do. The materials were collected from June 10 until June 29, 2002. The collected materials totaled 1,719 copies and 1,538 copies were used for analysis, excluding 181 that were incorrectly completed. The tools used were the Self-concept Measurement (Shi-hyeong Lee, 1997), Stress Measurement (Jun-ho Kim, Dong-won Lee, 1996), and adolescents' delinquency Measurement (Jun-ho Kim, Dong-won Lee, 1996). The materials were analyzed using SPSS WIN 7.5. For general characteristics, and the level of self-concept, stress and delinquency, technical statistics were used, and self-concept, stress and misbehavior according to general characteristics were analyzed by the t-test and ANOVA. Scheffe post-verification was used when applicable. The correlation of self-concept, stress and delinquency were analyzed using Pearson's Correlation.
      Following are the study results.
      First, self-concept of the subjects was mid-upper level as 2.65 in 4, stress was low as 1.78 in 4, and the delinquency was low as 1.13 in 5.
      Second, the results of the analysis of self-concept, stress and delinquency according to general characteristics are as follows. The self-concept of the subjects was significantly different according to grade (F=7.03, p= .008), department (t=6.82, p=.000), friends (t=3.00, p=.003), parents' inclination (F=8.72, p=.000), income (F=38.38, p=.000), education of father (F=24.47, p=.000), occupation of father (F=6.64, p=.000), occupation of mother (F=6.08, p=.000), and residence area (F=4.05, p=.018). The stress of the subjects was significantly different according to sex (t=4.38, p= .000), department (t=6.59, p=.000), parents' inclination (F=34.92, p=.000), income (F=5.21, p= .006), and residence area (F=7.72, p=.000). The delinquency of the subjects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according to department (t=-7.20, p=.000), family type (t=-3.39, p=.000), parents' inclination (F=6.32, p=.000), income (F=13.49, p=.000), residence area (F=6.29, p=.002).
      Third, when looking into the correlation of self-concept, stress and delinquency, there was a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the self-concept and the stress of the subjects (r=-.283, p=000), and between the self-concept and the misbehavior (r=-.094, p=000) while there was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the stress and the misbehavior (r=.215, p=000). The delinquency of the subjects had a higher correlation in economy related stress (r=.256 p=.000), friend related stress (r=.209 p=.000), appearance related stress (r=.177 p=.000), and academic record and school related stress (r=.066 p=.010), in that order, and the stress had a higher correlation with violence related delinquency (r=.215 p=.000), theft related delinquency (r=.202 p=.000), status related delinquency (r=.152 p=.000), and refugee related delinquency (r=.144 p=.000), in that order.
      From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is confirmed that there is a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self-concept, stress, and delinquency of adolescents, and that there were a higher self-concept with lower stress, and a lower stress with higher delinquency of adolescents. Therefore, it is expected to activate actual and specific programs to prevent delinquency of adolescents by embodying positive self-concept and developing the ability to cope with the stres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초록 = ⅰ
      • 목차 = ⅲ
      • 표목차 = ⅴ
      • Ⅰ. 서론 = 1
      • 1. 연구의 필요성 = 1
      • 국문초록 = ⅰ
      • 목차 = ⅲ
      • 표목차 = ⅴ
      • Ⅰ. 서론 = 1
      • 1. 연구의 필요성 = 1
      • 2. 연구의 목적 = 4
      • 3. 용어 정의 = 4
      • Ⅱ. 문헌고찰 = 6
      • 1. 청소년의 자아개념 = 6
      • 2. 청소년의 스트레스 = 8
      • 3. 청소년의 비행 = 10
      • Ⅲ. 연구 방법 = 12
      • 1. 연구 설계 = 12
      • 2. 연구 대상 및 자료수집 방법 = 12
      • 3. 연구 도구 = 12
      • 4. 자료 분석 방법 = 15
      • 5. 연구의 제한점 = 15
      • Ⅳ. 연구 결과 및 논의 = 16
      • 1. 대상자의 일반적인 특성 = 16
      • 2. 자아개념, 스트레스, 비행 정도 = 18
      • 3. 일반적 특성에 따른 자아개념, 스트레스, 비행의 차이 = 25
      • 4. 자아개념, 스트레스, 비행의 관계 = 39
      • Ⅵ. 결론 및 제언 = 41
      • 1. 결론 = 41
      • 2. 제언 = 43
      • 참고문헌 = 44
      • 부록 1. 설문지 = 48
      • 영문초록 = 56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