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디지털 패러다임과 문화콘텐츠 연구에 관한 제언 : 디지털 매체의 인터페이스, 기술이미지, 탈경계적 개체를 중심으로 = Proposal on Digital Paradigm and Cultural Contents Research: Focusing on Digital Interface, Digital Technological Image, and Transboundary Entitie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95125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현대사회를 지배하는 디지털 패러다임은 학문의 영역에도 커다란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분과학문 간 경계를 넘나드는 통합연구를 요청하고 있다. 이러한 현상은 융합학문이라는 특성을 지닌 문화콘텐츠학의 정체성에 관한 질문을 제기하며, 디지털 매체와 연동된 문화콘텐츠의 생산⋅전달⋅향유 방식에 주목하게 한다. 이에 본 연구는 매체에 담긴 문화적 내용물을 의미하는 문화콘텐츠의 보편적 정의를 구체화하여, 디지털 매체를 기반으로 하는 문화콘텐츠 연구의 필요성과 구체적인 내용을 제안한다. 본고에서 제안하는 연구내용은 디지털 생태계의 세 가지 구성요소로 설정한 ‘디지털 인터페이’, ‘디지털 기술이미지’, 그리고 ‘탈경계적 디지털 개체’이다. 첫째로 디지털 인터페이스는 단순한 장치로서의 디지털 매개체뿐 아니라 사용자에게 영향을 미치는 디지털 행위자로 간주하는 관점이며, 둘째는 시뮬라크르의 위상을 넘어선 디지털 기술이미지의 새로운 존재론적 위상에 관한 내용이며, 셋째는 디지털 가상세계에서 활동하는 디지털 개체들의 내부적 상호작용을 기술할 것이다. 전술한 내용을 통해 본 연구는 P. 레비의 표현대로, 문화콘텐츠학이 ‘살아있는 현존의 학’으로서 자연 생태계와 디지털 생태계가 얽혀있는 세계의 ‘모든 것’을 탐구하는학문으로 나아가야 함을 논구한 것이다.
      번역하기

      현대사회를 지배하는 디지털 패러다임은 학문의 영역에도 커다란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분과학문 간 경계를 넘나드는 통합연구를 요청하고 있다. 이러한 현상은 융합학문이라는 특성을 지...

      현대사회를 지배하는 디지털 패러다임은 학문의 영역에도 커다란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분과학문 간 경계를 넘나드는 통합연구를 요청하고 있다. 이러한 현상은 융합학문이라는 특성을 지닌 문화콘텐츠학의 정체성에 관한 질문을 제기하며, 디지털 매체와 연동된 문화콘텐츠의 생산⋅전달⋅향유 방식에 주목하게 한다. 이에 본 연구는 매체에 담긴 문화적 내용물을 의미하는 문화콘텐츠의 보편적 정의를 구체화하여, 디지털 매체를 기반으로 하는 문화콘텐츠 연구의 필요성과 구체적인 내용을 제안한다. 본고에서 제안하는 연구내용은 디지털 생태계의 세 가지 구성요소로 설정한 ‘디지털 인터페이’, ‘디지털 기술이미지’, 그리고 ‘탈경계적 디지털 개체’이다. 첫째로 디지털 인터페이스는 단순한 장치로서의 디지털 매개체뿐 아니라 사용자에게 영향을 미치는 디지털 행위자로 간주하는 관점이며, 둘째는 시뮬라크르의 위상을 넘어선 디지털 기술이미지의 새로운 존재론적 위상에 관한 내용이며, 셋째는 디지털 가상세계에서 활동하는 디지털 개체들의 내부적 상호작용을 기술할 것이다. 전술한 내용을 통해 본 연구는 P. 레비의 표현대로, 문화콘텐츠학이 ‘살아있는 현존의 학’으로서 자연 생태계와 디지털 생태계가 얽혀있는 세계의 ‘모든 것’을 탐구하는학문으로 나아가야 함을 논구한 것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digital paradigm that dominates modern society has a great impact on the academic field and calls for integrated research that crosses the boundaries between disciplines. This phenomenon raises questions about the identity of Cultural Contents Studies with the characteristics of convergence studies.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pay attention to the methods of production, delivery, and enjoyment of cultural contents, which are rapidly changing due to the development of digital media. Therefore, this study concretely defines the common definition of cultural contents, which means cultural contents contained in media, and suggests the necessity and specific contents of cultural contents research based on digital media. The research contents are ‘digital interface’, ‘digital technological image’, and ‘transboundary digital entities’, which are set as three components of the digital ecosystem. In other words, it pays attention to the digital interface that is converted from a digital medium as a simple device to a digital agent that affects users, deals with the new ontological status of digital technological images that go beyond the simulacre, and explores the internal interaction of digital entities in the digital virtual world. Cultural contents studies which converges contemporary trends through the above-mentioned research as P. Lévy expressed it as ‘the science of the living existence’, should advance to a study that explores ‘everything’ in the world where natural and digital ecosystems are intertwined.
      번역하기

      The digital paradigm that dominates modern society has a great impact on the academic field and calls for integrated research that crosses the boundaries between disciplines. This phenomenon raises questions about the identity of Cultural Contents Stu...

      The digital paradigm that dominates modern society has a great impact on the academic field and calls for integrated research that crosses the boundaries between disciplines. This phenomenon raises questions about the identity of Cultural Contents Studies with the characteristics of convergence studies.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pay attention to the methods of production, delivery, and enjoyment of cultural contents, which are rapidly changing due to the development of digital media. Therefore, this study concretely defines the common definition of cultural contents, which means cultural contents contained in media, and suggests the necessity and specific contents of cultural contents research based on digital media. The research contents are ‘digital interface’, ‘digital technological image’, and ‘transboundary digital entities’, which are set as three components of the digital ecosystem. In other words, it pays attention to the digital interface that is converted from a digital medium as a simple device to a digital agent that affects users, deals with the new ontological status of digital technological images that go beyond the simulacre, and explores the internal interaction of digital entities in the digital virtual world. Cultural contents studies which converges contemporary trends through the above-mentioned research as P. Lévy expressed it as ‘the science of the living existence’, should advance to a study that explores ‘everything’ in the world where natural and digital ecosystems are intertwined.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1. 머리말 2. 디지털 패러다임과 문화콘텐츠(학)의 향방 3. 디지털 매체 기반의 문화콘텐츠 연구 4. 맺음말 참고문헌
      • 1. 머리말 2. 디지털 패러다임과 문화콘텐츠(학)의 향방 3. 디지털 매체 기반의 문화콘텐츠 연구 4. 맺음말 참고문헌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캐런 바라드, "행위적 실재론 – 과학실천 이해에 대한 여성주의적 개입" 문화과학사 (57) : 2009

      2 박치완, "키워드 100으로 읽는 문화콘텐츠 입문사전" 꿈꿀권리 2013

      3 Lévy, Pierre, "지능의 테크놀로지 - 정보화 시대의 사고의 미래" 철학과현실사 2000

      4 박해천, "인터페이스 연대기 - 인간, 디자인, 테크놀로지" 디자인플럭스 2009

      5 이화인문과학원, "인터-페이스와 다매체 미학" 이화여자대학교출판부 2010

      6 임대근, "문화콘텐츠 연구" 한음출판 2021

      7 Peter Hinssen, "뉴 노멀 - 디지털 혁명 제2막의 시작" 흐름출판 2014

      8 박상우, "기술이미지, 디지털 사유, 디지털 패러다임 : 빌렘 플루서의 미디어 철학을 중심으로" 한국미학회 87 (87): 35-69, 2021

      9 Lévy, Pierre, "World Philosophie" Éditions Odile Jacob 2000

      10 Goffman, Erving, "The Presentation of Self in Everyday Life" Anchor Books 1959

      1 캐런 바라드, "행위적 실재론 – 과학실천 이해에 대한 여성주의적 개입" 문화과학사 (57) : 2009

      2 박치완, "키워드 100으로 읽는 문화콘텐츠 입문사전" 꿈꿀권리 2013

      3 Lévy, Pierre, "지능의 테크놀로지 - 정보화 시대의 사고의 미래" 철학과현실사 2000

      4 박해천, "인터페이스 연대기 - 인간, 디자인, 테크놀로지" 디자인플럭스 2009

      5 이화인문과학원, "인터-페이스와 다매체 미학" 이화여자대학교출판부 2010

      6 임대근, "문화콘텐츠 연구" 한음출판 2021

      7 Peter Hinssen, "뉴 노멀 - 디지털 혁명 제2막의 시작" 흐름출판 2014

      8 박상우, "기술이미지, 디지털 사유, 디지털 패러다임 : 빌렘 플루서의 미디어 철학을 중심으로" 한국미학회 87 (87): 35-69, 2021

      9 Lévy, Pierre, "World Philosophie" Éditions Odile Jacob 2000

      10 Goffman, Erving, "The Presentation of Self in Everyday Life" Anchor Books 1959

      11 Castells, Manuel, "The Network society: A Cross-cultrual perspective" Edward Elgar Publishing 2004

      12 Heim, Michael, "The Metaphysics of Virtual Reality" Oxford University Press 1993

      13 Mirsky, Yisroel, "The Creation and Detection of Deepfakes: A Survey" 54 (54): 2020

      14 Latour, Bruno, "On actor-network theory: A few clarifications" 47 : 1996

      15 Morin, Edgar, "On Complexity" Hampton Press 2008

      16 Karen, Barad, "Meeting the University Halfway: Quantum Physics and the Entanglement of Matter and Meaning" Duke University Press 2007

      17 Vilém, Flusser, "Into the Universe of Technical Images" University of Minnesota Press 2011

      18 Li, Wenbin, "Digital ecosystems: Challenges and prospects" 2012

      19 Luis F, Nicolas-Alonso, "Brain Computer Interfaces, a Review" 2012

      20 Nicholas, Negroponte, "Being Digital" Hodder & Stoughton 1995

      21 Bohr, Niels, "Atomic Physics and Human Knowledge" Dover Publications, INC 2010

      22 현대원, "AI의 도전 - 인공지능의 위협과 공존 그리고 기회" 나남출판 2021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93 0.93 0.97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96 0.9 1.289 0.4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