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한국의 냉전문화 형성과 문화대혁명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G376370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aims to reveal the perception about China among Koreans and to conduct in-depth studies on the history of Cold War by examining the Korean’s viewpoint toward the Cultural Revolution during the Cold War. With a purpose of conducting effect...

      This study aims to reveal the perception about China among Koreans and to conduct in-depth studies on the history of Cold War by examining the Korean’s viewpoint toward the Cultural Revolution during the Cold War. With a purpose of conducting effective research, this study made an analysis of daily papers such as 『Chosun Ilbo』, 『Donga Ilbo』, 『Kyounghyang News Paper』and 『Hankook Ilbo』, along with magazines such as 『Sasanggye』, 『Saedae』, 『Chungmek』, 『Shindonga』and 『Chungkyoungyoungu』. Second, the study focused on the American cultural policy toward Korea and it conducts the comparison study between Korean and Taiwanese cases. The research results so far can be summarized into the following two : data collection and processing and related research.
      (1) Data collection and processing : Articles and papers regarding the Cultural Revolution and 'the Communist China' were thoroughly collected. An analysis on the collected data yielded the outcomes as follows. Most of the daily papers viewed the Revolution as a power struggle inside 'the Communist China'. Despite the involved storyline of the event, all the daily papers covered the Revolution as it progresses sharing a common view about the Revolution with a description as a power struggle. The articles mainly focused on the criticism about the leaders in the party and their loss of position, emphasizing that the core of the Revolution was the power struggle within the party. Those daily papers predicted that the 'Communist China' will continue to pursue a hard-line policy against America even after the death of Mao. All of the daily papers described the Red Guardism as negative, e.g., destruction of civilization and tradition, demolition of morality, contempt of human life, bloodshed and riot, and extreme anti-foreign ideas. They argued that the appearance of the Red Guards will put 'the Communist China' in panic, isolating the nation diplomatically. Moreover, the papers predicted that the victory of Lin Biao in a power struggle will ignite the aggressive movement of the nation toward neighboring countries. However, the Chosun Ilbo took different position in reporting the early situation of the Revolution. As the paper follows historic and cultural background of the Revolution, it shed light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revolution and the establishment of communism society.
      (2) Understanding of the Revolution among Korean intellects and the network about Cold War literature : As an expert of 'the Communist China' in Korea, I published a paper about the case of Kim Jun-yop before. Considering the integrity of the final paper, I summarize his case as follows. First, he understood the Revolution as a kind of power struggle. When the Revolution broke, he viewed the revolution as an ideology alteration to build a communist society, rather than a simple power struggle. However, he said that the nature of the Revolution became tarnished as it progresses eventually becoming power struggle. Second, he regarded 'the Communist China' as a threatening existence and an opponent to watch out, since he thought the Chinese diplomatic policy is not only hegemonic, but also is likely to intrude Korea. My understanding is that such his belief is due to his own experience in the Korean War and his interpretation about the Chinese modernization based on the Modernization Theory. Third, his activities are located in an academic network during the Cold War. Receiving financial aid from the Ford Foundation, his research was greatly affected by the American cultural policy toward Korea and East Asia. The Ford Foundation supported the area studies in the East Asian region by providing large amount of research subsidy to Korea and Taiwan making the countries the center of East Asian area studie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냉전기 한국인의 文革에 대한 시선을 검토하여 冷戰時期 한국인의 중국인식의 내용을 드러내는 한편 최근 새로이 주목받고 있는 냉전(사)연구를 심화시키고자 했다. 효과적인 연...

      본 연구는 냉전기 한국인의 文革에 대한 시선을 검토하여 冷戰時期 한국인의 중국인식의 내용을 드러내는 한편 최근 새로이 주목받고 있는 냉전(사)연구를 심화시키고자 했다. 효과적인 연구진행을 위해 본 연구는 첫째, 『조선일보』, 『동아일보』,『경향신문』, 『한국일보』등 일간지는 물론 『사상계』, 『세대』, 『청맥』, 『신동아』, 『정경연구』등 잡지 등을 분석대상으로 삼았다. 둘째, 본 연구는 미국의 한국에 대한 문화정책에 주목했으며, 한국의 사례를 타이완과 비교하고자 하였다. 현재까지 수행된 연구 결과는, 첫째 자료 수집과 정리, 둘째 관련 연구 수행 등으로 대별된다.
      1. 자료 수집과 정리 : 일간지와 잡지를 모두 검토하여 문화대혁명과 그 외 ‘中共’ 관련 기사와 논문을 완벽하게 수집했다. 수집된 자료에 대한 분석을 통해 현재 필자는 아래와 같은 성과를 거두었다. 일간지 대부분은, 문혁을 毛澤東의 사후 후계자 문제를 둘러싼 ‘中共’내 권력투쟁으로 보았다. 일간지들은 비록 문혁을 복잡한 사정이 엉킨 사건으로 보았지만, 文革의 진행에 따라 예외 없이 권력투쟁으로 크게 보도했다. 일간지들은 당지도부 인사의 잇따른 자아비판과 그에 따른 실각을 주된 기사거리로 다룸으로써 문혁의 핵심은 당내 권력투쟁에 있다는 점을 강조했다. 그리고 일간지들은 모택동이 사망한 이후에도 ‘中共’은 여전히 강경한 對美 외교노선을 추구해 나아갈 것으로 전망했다. 紅衛兵의 활동에 대해서는 모든 일간지는 ‘문명과 전통의 파괴’, ‘인륜 파괴’, ‘인명 경시’, ‘유혈과 폭동’, ‘극단적 배외주의’ 등과 함께 ‘狂風’, ‘亂動’, ‘狂亂’ 등으로 보도했다. 일간지들은 홍위병의 출현으로 ‘中共’은 혼란에 빠져들었을 뿐만 아니라 외교적으로 더더욱 고립될 것으로 보았다. 그리고 일간지들은 권력투쟁에서 승리한 林彪가 등장하여 주변국에게 더욱 공세적으로 나올 것이라고 전망했다. 그런데 문혁 초기 상황을 보도한 『조선일보』의 태도는 좀 달랐다. 문화대혁명의 역사적, 문화적 배경을 추적하면서 문화대혁명은 사회주의 사회의 건설과 어떻게 관련되는지를 보도했다. 게다가 홍위병끼리의 유혈사태도 ‘현실을 반영하지 않은 과장된 것’이라고 보도하기도 했다.
      2. 한국 지식인의 문화대혁명 이해와 냉전 학문의 네트워크 : 한국의 ‘中共’ 전문가 중 필자는 이미 김준엽의 사례를 정리하여 논문으로 발표했다. 결과보고서의 완결성을 고려하여 김준엽의 사례를 아래와 같이 정리하고자 한다. 첫째, 그는 문화대혁명을 ‘권력투쟁’의 일환으로 파악했다. 문화대혁명이 발생했을 때 그는 문혁을 단순한 권력투쟁이 아니라 사회주의 사회를 건설하기 위한 사상개조이었다고 보았다. 그러나 그는 문화대혁명이 전개되는 과정을 보면서 결국 권력투쟁으로 변질되고 말았다고 주장했다. 둘째, 그는 ‘中共’을 위협적인 존재이자 경계의 대상으로 보았다. ‘중공’의 외교정책은 패권주의적 일뿐만 아니라 한국을 대상으로 팽창할 가능성까지 크다고 생각했기 때문이었다. 그의 이러한 생각은, ① 한국전쟁의 경험 ② 근대화론에 입각한 중국근대화 해석에서 비롯된 것으로 필자는 해석했다. 셋째, 그의 학문 활동은 냉전의 학문적 네트워크에 위치했다. 포드재단의 연구비를 받음으로써 그의 연구 활동은 미국의 한국, 동아시아에 대한 ‘냉전문화정치’의 자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