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V.S. 나이폴의 1970년대 정치소설에 나타난 신식민주의 양상 = Neo-colonial aspects in V.S. Naipaul's 1970s political novel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5498451

      • 저자
      • 발행사항

        서울 : 명지대학교, 2020

      •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박사) -- 명지대학교 대학원 , 영어영문학과 , 2020

      • 발행연도

        2020

      • 작성언어

        한국어

      • KDC

        840 판사항(6)

      • DDC

        820 판사항(23)

      • 발행국(도시)

        서울

      • 형태사항

        iv, 109 p. ; 30 cm

      • 일반주기명

        지도교수: 김순식
        참고문헌 수록

      • 소장기관
        • 국립중앙도서관 국립중앙도서관 우편복사 서비스
        • 명지대학교 인문캠퍼스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V. S. 나이폴의 1970년대 정치소설에 나타난 신식민주의 양상 문성배 명지대학교 대학원 영어영문학과 ...

      V. S. 나이폴의 1970년대 정치소설에 나타난 신식민주의 양상

      문성배
      명지대학교 대학원 영어영문학과 지도교수 김순식
      이 연구는 V. S. 나이폴(V. S. Naipaul)의 1970년대 정치소설에 관한 고찰이다. V. S. 나이폴이 1970년대에 쓴 이 소설들은 그가 1957년과 1967년 사이에 쓴 다른 작품들과는 그 양상이 확연히 다르다. 본고에서 다루고 있는 신식민주의의 개념은 신생 독립국이 외적으로 독립은 쟁취했지만 내적으로는 여전히 식민지의 상황이 지속되고 있는 것을 의미한다. 많은 비평가들, 특히 에드워드 사이드(Edward Said)나 치누아 아체베(Chinua Achebe)와 같은 제3세계 지성들은 V. S. 나이폴에 대하여 평가하기를 다른 인종에 비해 백인종이 우월하다는 백인 신화에 대한 선입견을 존중하거나 지지하는 작가라고 전제하며 냉정하게 평가한다. 이에 반해 필자는 V. S. 나이폴이 겉으로는 서방의 문화를 칭찬하는 듯하지만, 구체적인 소설의 내용면에서 살펴보면 등장인물인 백인 캐릭터들을 통해서 오히려 서방의 문화를 조롱하거나 비난하려는 경향이 있다고 생각한다. 그래서 이 논문에서는 V. S. 나이폴의 1970년대에 쓴 세 작품인 『자유국가에서』(In a Free State),『게릴라들』(Guerrillas),『강의 한 굽이』(A Bend in the River)등에 대해 다루면서 이러한 정치 소설적 경향을 밝혀보고자 한다. 1971년 작품인 『자유국가에서』에서는 화자의 「프롤로그」로 시작한 다음, 두 편의단편소설인「여러 명 중의 한 명」과 「누구를 죽일까 말해줘」로 이어지며, 또 한 편의 중편소설인「자유국가에서」에 이어 마지막에 화자의「에필로그」로 끝난다. 두 편의 단편소설은 화자 개인의 성공에 대한 서사인데 환상, 좌절 그리고 희생에 대한 모호함을 다루고 있는 것이 주목된다. 하지만 표제작인「자유국가에서」는 나이폴의 초기 소설의 경향인 서방 문화나 개인적 성취와 갈망에 대한 주제에서 정치적 주제로 전환하고 있다. 이 소설에서는 영국에서 옥스포드 대학을 중퇴하고 공무원이 된 중심인물 백인 바비(Bobby)를 통해 신생 아프리카 독립국에서의 혼란과 폭력 그리고 내전과 같은 상황을 조명하고 있다. 이 나라는 외적으로 정치적 독립은 얻었지만, 내부적으로는 여전히 예전의 제국주의 국가의 영향력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는 신식민주의의 상황을 보여 준다. 특히 백인 바비가 아프리카 흑인들에 의해 폭행당하거나 무시당하고, 그리고 모욕당하는 과정을 생생하게 형상화한다. 이를 통해 작가는 그동안 백인이 흑인들 앞에서 군림하는 백인/흑인의 이항대립의 관계를 전복시켜, 반대로 흑인이 백인을 지배하는 흑인/백인의 이항대립의 관계로 전환을 시도하고 있다. 1975년 작품 『게릴라들』에서도 카리브해에 있는 섬나라에 대한 신식민주의의 상황을 다룬다. 이 섬의 원주민들은 자신들의 역할을 섬의 주요 자원인 보크사이트를 외국 회사가 편안하게 훔쳐가도록 돕는 것이라고 폄하하며, 이 섬에서의 삶이 희망이 없다고 말한다. 더구나 보크사이트를 훔쳐가는 회사는 이 섬의 슬픈 역사인 노예 무역을 비열한 방법으로 시행하여 부를 축적한 회사이기 때문이다. 이렇듯 이 소설은 이미 독립국인 섬나라가 여전히 백인들의 권력에 의해 조종되는 상황을 조명하며, 그 아픈 역사는 지속되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특히 세 명의 독특한 캐릭터들을 통해 작가는 백인의 문화와 제3세계의 문화의 갈등을 형상화하고 있다. 이를 통해 백인의 문화를 흠모하기도 증오하기도 하는 아프리카/동양의 혼혈 남성 캐릭터에 의해 백인 여성은 ‘들쥐’(the rat)까지 폄하되고 있다. 1979년 작품인 『강의 한 굽이』는 V. S. 나이폴의 최고 걸작이라고 평가되는 작품이다. 이 소설에서도 콰메 은크루마(Kwame Nkruma)가 주장하는 신식민주의에 대한 상황이 끊임없이 제기된다. 이 작품의 화자 살림(Salim)은 이 소설의 시작부터 이 나라에서 일어나고 있는 부정부패, 치안 부재, 폭력, 반란, 외국인들의 재산에 대한 국유화와 같은 정치적 사안들을 다루고 있다. 독립 이후의 사회가 오히려 식민시대보다 더 혼란스럽다는 점을 조명하는 것이다. 결국 화자 살림은 이 나라의 실권자인 빅맨의 진보 정책의 여파로 다른 외국인들처럼 자신의 사업을 뺏기게 되며, 몰래 감추어둔 상아까지 적발된다. V. S. 나이폴의 1970년대 정치소설인 『자유국가에서』,『게릴라들』그리고 『강의 한 굽이』는 가장 전성기 때 작품이라 평가되며, 세 작품은 모두 독립을 얻었지만 여전히 보이지 않는 권력에 의해 조종되고 있는 신식민주의상황을 조명하고 있다. 본고에서 다룰 신식민주의(neo-colonialism)는 탈식민주의(Post-Colonialism)와는 다른 개념이다. 탈식민주의는 독립을 얻은 후 민족 고유의 정체성을 회복하고 각 나라의 발전을 도모할 수 있는 상태를 의미한다. 이에 비해, 신식민주의란 독립을 얻었지만 외부 권력에 의해 조종되는 정치 상황이 여전히 지속되고 있는 비관적 상태이다. 본고에서는 나이폴의 1970년대 정치소설들을 분석하는 자료로써 에드워드 사이드(Edward Said)의『오리엔탈리즘』, 호미 K. 바바(Homi K. Bhabha)의 『문화의 위치』 그리고 콰메 은크루마(Kwame Nkrumah)의 『신식민주의: 제국주의의 마지막 단계』에서 이항대립과 문화의 혼성성 그리고 신식민주의의 메커니즘에 관한 사안들을 중점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V. S. 나이폴의 1970년대 등장하는 대부분의 인물들은 대체적으로 뒤틀린 성품들인데, 그렇게 성품이 뒤틀린 이유와 그들의 성장 배경, 정치적, 문화적 환경의 연관성에 대해서도 살펴보겠다. 그리고 백인 등장인물들은 아프리카 흑인이나 아프리카아시아계 사람에 의해 폭행당하거나, 심하게 모욕을 당하고 있다. 이러한 폭력들 속에 타인종에 대한 정형화가 어떻게 계의 질서 체계에 대한 전복이나 해체가 시도되는 양상, 그리고 문화의 혼성성이 드러나는 바를 연구하고자 한다.













      주제어: V. S. 나이폴, 신식민주의, 『자유국가에서』, 『게릴라들』, 『강의 한 굽이』, 콰메 은크루마, 에드워드 사이드, 호미 K. 바바,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Neo-colonial Aspects in V. S. Naipaul’s 1970s Political Novels Moon Sungbae Department of English Language and Literature ...

      Neo-colonial Aspects in V. S. Naipaul’s 1970s Political Novels
      Moon Sungbae
      Department of English Language and Literature Graduate School, Myongji University Directed by Professor Kim Soonsik
      This is a study of V. S. Naipaul’s 1970s Political Novels, in a Free State(1971), Guerrillas(1975) and A Bend in the River(1979). These works deal with social and political issues in some of the new countries, into which this study delves with the neo-colonial perspectives. Many critics, especially by Third World intellects such as Edward Said and Chinua Achebe, coldly evaluate V. S. Naipaul as a writer who supports, respects the ideas and the myths of ‘White West’. However, this study views V. S. Naipaul not the one ostensively praising Western culture, but as a critic who sarcastically disparage Western culture through his portrayals of main white characters. In a Free State has a framed narrative which starts with the “prologue”, and ends with “epilogue.” And three short stories, “One out of Many”, “Tell Me Who to Kill” and “In a Free State”, are in between. The two short stories deal with ambivalent aspects of individual success involving the idea of aspiration, frustration or sacrifice. However, “In a Free State” somewhat differs from themes such as personal achievement and admiration of White culture, which are trends in early novels of V. S. Naipaul. This story covers political themes. The novel sheds light on the chaos, assault and civil war in an emerging African country through the protagonist White Bobby, a dropout from Oxford University in England. This country has gained independence but is yet to break away from the former imperialistic control. And with the process of a white male Bobby being assaulted, ignored and insulted by Africans, the author attempts to subvert the power structure imbedded in White/Black binary opposition. In Guerrillas(1975), V. S. Naipual deals with the neo-colonial situations in a nation in the Caribbean islands. The indigenous people of the island say that jobs are limited only to help foreign companies to steal the island’s main resource, bauxite easily. And they say their lives in the island are hopeless. The neo-colonial aspect is obvious that the bauxite company is actually the same company which has grown to a millionaire by implementing slave trade to the island in a mean way. The recent political independence does not mean to have economic independence. Three unique characters represent White culture and Third World culture accordingly. Eventually, a White woman, Jane is degraded as a “rat” by a mixed race man, Jimmy who adores as well as hates White culture. A Bend in the River is considered as the best work of Naipaul’s. In this novel, the situations about neo-colonialism that kwame Nkruma discusses are comprehensively revealed. The narrator Salim is keen to observe political and social corruption as well as personal one. The social crisis or chaos arise from the lack of security, rampant violences, rebellions and nationalization of foreigner’s property, and so on. In the turmoils of Big Man’s radical politics, the narrator Salim is in absolute crisis stripped of his business and imprisoned for the discovery of his illegally smuggled ivory. V. S. Naipual’s three 1970s works, In a Free State, Guerrillas and A Bend in the River, are considered as Naipual’s heyday works, all deal with neo-colonial situations in newly independent countries. The neo-colonialism dealt with in this thesis is different from the concept of Post-Colonialism. The neo-colonialism is pessimistic state in a sense that the political independence does not mean it can sever from the control by the external, usually ex-colonial power. To discuss neo-colonial aspects in Naipaul’s 1970s Political Novels, this thesis appropriates Edward Said’s Orientalism, Homi K. Bhabha’s The Location of Culture and Kwame Nkruma’s Neo-colonialism: the Last Stage of Imperialism in order to look into the issues of binarism, cultural hybridity and neo-colonial mechanism. Most of the main characters in V. S. Naipaul’s 1970s Political Novels are unconventional and somewhat twisted, so this study looks into the reasons why they are so distorted and in regard to their childhood background along with political and cultural environments they are in. Where white characters are assaulted by Africans or African-Asian people, called as a ‘rat’, or being spat on their faces, Naipaul attempts to subvert or break up from the existing binary oppositions such as White /Colored and First World/Third World, and deals with the hybridity of cultures.


      Key Words: V. S. Naipual, neo-colonialism, In a Free State, The Guerrillas,
      A Bend in the River, Kwame Nkrumah, Edward Said, Homi K. Bhabha,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초록 ⅱ
      • 제 1 장 서론 1
      • 제 2 장 본론 20
      • 국문초록 ⅱ
      • 제 1 장 서론 1
      • 제 2 장 본론 20
      • 제 1 절 V. S. 나이폴의 1970년대 정치소설의 경향 . 20
      • 제 2 절 자유국가에서(In a Free State)를 통해 살펴 본 정체성의 문제와 정치 의식 26
      • 제 3 절 게릴라들(Guerrillas)을 통해 살펴본 권력의 부조화 50
      • 제 4 절 강의 한 굽이(A Bend in the River)를 통해 살펴본 신식민주의와 뒤틀린 폭력의 상징성 71
      • 제 3 장 결론 94
      • 참고 문헌 101
      • Abstract 107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