素荃 孫在馨은 20세기 근현대 한국 서단을 대표하는 書畫家이면서 敎育者, 政治家, 收藏家, 鑑定家, 藝術行政家 등과 같이 다양한 방면에서 활동한 인물이다. <이충무공벽파진전첩비문>...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8559878
2023
-
소전 손재형 ; 이충무공벽파진전첩비문 ; 이기위정 ; 구응원융 ; 서체호통 ; Sojeon Son Jaehyeong ; <Inscription of the Monument for Lee Chungmugong’s Victory at Byeokpajin Battle> ; Taking the Abnormality as the Rightness ; Making the Whole Harmonious through the Response of Front and Back Strokes ; Fusing Various Calligraphic Styles
640
KCI등재
학술저널
75-96(22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素荃 孫在馨은 20세기 근현대 한국 서단을 대표하는 書畫家이면서 敎育者, 政治家, 收藏家, 鑑定家, 藝術行政家 등과 같이 다양한 방면에서 활동한 인물이다. <이충무공벽파진전첩비문>...
素荃 孫在馨은 20세기 근현대 한국 서단을 대표하는 書畫家이면서 敎育者, 政治家, 收藏家, 鑑定家, 藝術行政家 등과 같이 다양한 방면에서 활동한 인물이다. <이충무공벽파진전첩비문>는 1956년 8월 29일 鷺山 李殷相이 국한문 혼용으로 지은 것을 손재형이 쓴 것이다. 손재형의 한글서예의 창조성은 한문의 篆·隸體와, 唐楷, 청대의 비학파의 조형성과 필법을 한글작품에 응용한 것에 있다. 손재형은 한문서체를 한글서체에 적용한 창조적 길을 모색했는데, 그의 한국 현대 서예사에서의 공은 ‘法奴’ 차원에서 벗어나 자신만의 서예창작 세계를 펼쳐냈다는 것에 있다. <이충무공벽파진전첩비문>의 字體와 章法은 이런 점을 가장 잘 보여주는 작품이다. 손재형의 <이충무공벽파진전첩비문>은 우리나라 근현대 서예사에서 기존의 형식을 뛰어넘는 창의성을 보여주는 작품이다. <이충무공벽파진전첩비문>에는 한문서예의 고법에 대한 穿鑿과 전통적인 한글서예를 통해 손재형만의 현대적 조형 감각을 통해 표현한 아름다움이 담겨 있다. 이런 아름다움은 구체적으로 ‘以奇爲正’의 조형 특징과 ‘救應圓融’의 조형 특징으로 표현되고 있다. ‘以奇爲正’의 조형 특징은 字體와 章法에 나타난 전예해의 심미관으로 전개되었고, ‘救應圓融’은 한글 古體의 조형성과 필획을 자신만의 개성이 담긴 작품으로 體化한 것으로 전개되었다. 이 같은 書體互通에 대한 심미관을 통해 손재형의 <이충무공벽파진전첩비문>에는 창조적 융합을 지향한 서예정신이 담겨 있음을 알 수 있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Sojeon Son Jaehyeong(素荃 孫在馨) is a representative calligrapher in the modern and contemporary Korean calligraphy field in the 20th century, as well as an educator, politician, collector, connoisseur, art administrator, etc. The contents of th...
Sojeon Son Jaehyeong(素荃 孫在馨) is a representative calligrapher in the modern and contemporary Korean calligraphy field in the 20th century, as well as an educator, politician, collector, connoisseur, art administrator, etc. The contents of the <Inscription of the Monument for Lee Chungmugong’s Victory at Byeokpajin Battle> was composed on August 29, 1956, by Nosan Lee Eunsang in Hangeul mixed with classical Chinese characters, and Son Jaehyeong inscribed it with a brush. Son Jaehyeong's creativity in Hangeul calligraphy lies in applying the formativeness and calligraphic method of seal script, clerical script, regular script of the Tang Dynasty, and the school of learning from the stela of the Qing Dynasty to Hangeul calligraphy works. Son Jaehyeong searched for a creative way to apply the classical Chinese calligraphy style to the Hangeul calligraphy style, and his contribution to the history of modern and contemporary Korean calligraphy lies in that he opened up his world of calligraphy creation by breaking away from the level of imitating the old blindly. The character structure and disposition of the <Inscription of the Monument for Lee Chungmugong’s Victory at Byeokpajin Battle> are the best examples of this. It is a work that shows creativity that goes beyond conventional forms in the history of modern and contemporary Korean calligraphy. It also contains the beauty of Son Jaehyeong's unique modern formative sense, which he achieved through research on the traditional Hangeul calligraphy and obsession with the ancient methods of classical Chinese calligraphy. This beauty emerges concretely in terms of the formative features of taking the abnormality as the rightness(以奇爲正) and making the whole harmonious through the response of front and back strokes(救應圓融). The formative characteristics of taking the abnormality as the rightness developed into the aesthetics of seal script, clerical script, and regular script expressed in the character structure and disposition, and the features of making the whole harmonious through the response of before and after strokes transformed the formativeness and strokes of the ancient Hangeul calligraphic style into work with his individuality. In conclusion, I found that Son Jaehyeong's <Inscription of the Monument for Lee Chungmugong’s Victory at Byeokpajin Battle> contains the spirit of calligraphy aimed at creative fusion based on the aesthetic view of fusing various calligraphic styles.
목차 (Table of Contents)
조선시대 18세기 한글 간본문헌의 서체특징과 서예사적 의의
조선시대 18세기 한글 간본문헌의 서체특징과 서예사적 의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