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에서는 산림에 대한 기능을 공익적 기능과 경제적 기능으로 구분하여 의사결정의 구조를 응용한 계층분석법(AHP)을 통해 전문가들을 대상으로 산림가치의 중요도 및 우선순위에 대한...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60195332
2010
-
산림기능 ; 산림가치 ; 계층분석법 ; Forest Values ; Performance of Forests ; AHP
350
KCI등재후보
학술저널
301-317(17쪽)
10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산림에 대한 기능을 공익적 기능과 경제적 기능으로 구분하여 의사결정의 구조를 응용한 계층분석법(AHP)을 통해 전문가들을 대상으로 산림가치의 중요도 및 우선순위에 대한...
본 연구에서는 산림에 대한 기능을 공익적 기능과 경제적 기능으로 구분하여 의사결정의 구조를 응용한 계층분석법(AHP)을 통해 전문가들을 대상으로 산림가치의 중요도 및 우선순위에 대한 분석을 시도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산림기능의 1차적 수준인 공익적 기능과 경제적 기능의 1단계 분석에서는 공익적 기능이 경제적 기능보다 더욱 중요한 것으로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산림기능의 가치에서 2차 수준에 대한 2단계 분석에서는 공익적 기능은 환경보전기능, 경제적 기능은 산림소득기능이 더욱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산림기능의 가치에서 3차 수준으로 3단계 분석에서는 환경보전기능은 자연환경보전기능, 산림서비스기능은 산림레저기능이 더욱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산림소득기능은 임업경제기능, 지역경제활성화기능은 지역소득창출기능이 더욱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산림기능에 대한 종합중요도 및 우선순위에 대한 종합분석에서는 자연환경보전기능이 가장 높은 중요도를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다음으로 전체 측정요소의 중요도가 ‘자연환경보전기능 → 산림레저기능 → 생물환경보전기능 → 건강증진기능 → 임업경제기능 → 지역소득창출기능 → 산림권리기능 → 일자리창출기능’의 순으로 나타났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research divided the performance of forests into a public group and an economic group. The research analyzed the importance and priority of forest values through AHP based on the structure of decision-making, conducting a survey of experts in rela...
The research divided the performance of forests into a public group and an economic group. The research analyzed the importance and priority of forest values through AHP based on the structure of decision-making, conducting a survey of experts in related fields. First, the first stage of the analysis of the first level of the public performance and economic performance of forest values revealed that the former is considered more valuable than the latter. Second, during the second stage of analysis of the second level of forest values, environmental conservation and forest income turned out to be meaningful for public performance and economic performance, respectively. Third, the third stage of the analysis of the third level of forest values reported that environmental conservation performance values nature conservation while forest income performance regards forest leisure performance as important. Added to this, forest income again considers forestry economic performance significant while the revival of the regional economy believes regional income creation to be important. Lastly, the synthetic analysis of the importance and the priority of forest performance showed that nature conservation performance is the highest priority followed by forest leisure performance, bioenvironmental conservation, health improvement, forestry economy, regional income creation, forest rights, and job creation.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재준, "환경재로서 변산반도 국립공원의 사용가치 추정" 전북대학교 2001
2 이우균, "지속가능한 산림경영을 위한 시공간 기술" 숲의 철학 165-186, 2005
3 우종춘, "지속가능한 산림경영을 위한 기준 및 지표의 산림기능구분에 대한 적용성 연구" 1-15, 2005
4 윤여창, "임업의 공익적 기능 평가 방법 개발 및 내부화 방안연구. 농림부 연구부고서" 2005
5 이주희, "여행비용법에 의한 가야산 국립공원의 휴양수요" 7 (7): 35-40, 2003
6 임도빈, "시간길이와 부처조직운영에 관한 연구: 정통부와 농림부의 비교" 한국행정학회 37 (37): 79-101, 2003
7 김용하, "새로운 자원관리 및 환경 패러다임에 대한 산림정책 이해관계자 집단의 태도" 한국임학회 97 (97): 374-384, 2008
8 "산림청. (2002, 2009, 2010). 내부자료"
9 삼성경제연구소, "산림청 경영진단보고서" 1999
10 채경진, "산림정책의 전략 우선순위 분석에 관한 연구" 2 (2): 109-126, 2010
1 김재준, "환경재로서 변산반도 국립공원의 사용가치 추정" 전북대학교 2001
2 이우균, "지속가능한 산림경영을 위한 시공간 기술" 숲의 철학 165-186, 2005
3 우종춘, "지속가능한 산림경영을 위한 기준 및 지표의 산림기능구분에 대한 적용성 연구" 1-15, 2005
4 윤여창, "임업의 공익적 기능 평가 방법 개발 및 내부화 방안연구. 농림부 연구부고서" 2005
5 이주희, "여행비용법에 의한 가야산 국립공원의 휴양수요" 7 (7): 35-40, 2003
6 임도빈, "시간길이와 부처조직운영에 관한 연구: 정통부와 농림부의 비교" 한국행정학회 37 (37): 79-101, 2003
7 김용하, "새로운 자원관리 및 환경 패러다임에 대한 산림정책 이해관계자 집단의 태도" 한국임학회 97 (97): 374-384, 2008
8 "산림청. (2002, 2009, 2010). 내부자료"
9 삼성경제연구소, "산림청 경영진단보고서" 1999
10 채경진, "산림정책의 전략 우선순위 분석에 관한 연구" 2 (2): 109-126, 2010
11 윤여창, "산림자원의 휴양가치 산출을 위한 경제적 평가 방법론" 1 (1): 155-183, 1992
12 박석희, "산림의 관광위락가치 추정에 관한 연구-설악산 및 속리산국립공원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1985
13 김재준, "산림의 공익적 기능의 계량화" 2 (2): 127-139, 1994
14 산림청, "산림의 공익적 가치와 환원방안에 관한 연구" 2006
15 김종호, "산림의 공익기능 평가" 10 (10): 7-15, 2006
16 산림청, "산림의 공익기능" 2008
17 이성태, "대구 팔공산 자연공원의 편익가치 측정" 7 (7): 211-228, 1998
18 한승준, "국유림 관리・경영조직의 효율화 방안 연구. 산림청 연구보고서" 2009
19 장은영, "국유림 관리정책의 효과성 분석" 서울대학교 2002
20 김사헌, "관광연구방법강론" 백산출판사 2003
21 김사헌, "관광경제학" 백산출판사 1997
22 김재민, "관광경제학" 백산출판사 2003
23 허중욱, "공공재 관광자원의 가치측정에 관한 연구: CVM을 이용한 경포도립공원의 WTP추정" 경기대학교 2004
24 남성현, "LISREL모형을 활용한 산림자원 육성정책의 평가" 한국임학회 97 (97): 255-265, 2008
25 Bernhard, W, "Evaluating sustainable forest management strategies with the Analytic Network Process in a Pressure-State-Response framework" 88 (88): 2008
26 Harper, C, "Environment and Society: Human Perspectives on Environmental Issues" Prentice-Hall 2003
27 Kula, E, "Economics of Natural Resources. The Environment and Politics" Chapman & Hill 1997
28 Saaty, Thomas L, "Decision Making for Leader: The AHP for Decisions in a Complex World" Wadsworth 1982
29 이준미, "CVM과 TCM에 의한 도시생태공원의 가치평가에 관한 연구" 한양대학교 1998
30 Saaty, Thomas L, "Analytical Planning: The Organization of Systems" Pergamon Press, Inc 1985
31 최종천, "21세기 산림정책의 목표와 기본과제" (34) : 1999
성과급에 대한 공정성 인식이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2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1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 ![]() |
2017-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2015-12-01 | 평가 | 등재후보 탈락 (기타) | |
2013-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 ![]() |
2012-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11-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2차) | ![]() |
2010-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8-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