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한자음을 통하여 본 국어 음운사의 과제 및 이에 관한 접근 방안 모색 = A study on the tasks of Korean historical phonology and finding an approach method to it through Sino-Korean and Chinese phonem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89968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 글은 한자음을 통하여 본 국어 음운사 과제와 이 과제를 어떻게 접근하여 볼 수 있는지 살펴보려는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①차자 표기 자료의 해독, ②훈민정음 중성 체계에 관한 이해, ...

      이 글은 한자음을 통하여 본 국어 음운사 과제와 이 과제를 어떻게 접근하여 볼 수 있는지 살펴보려는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①차자 표기 자료의 해독, ②훈민정음 중성 체계에 관한 이해, ③중세 국어 이중 모음의 성격 이해, ④한어의 음을 통한 전사 자료의 해독에 관하여 살펴보았다. ①과 관련해서는 차자의 중세 국어 한자음이나 한어의 음으로는 원만히 해독하기 어려운 斯盧>新羅에서 보이는 ‘新’의 ‘*시’란 독법을 살피고 ‘*시’는 성부 ‘亲’나 의부 ‘斤’을 지닌 한자의 음에 止攝에 해당하는 것이 있음을 참고할 필요가 있음을 다루었다. 또한 여러 예에서 ‘留’가 중세 국어 한자음과 달리 ‘루’를 보이는 것을 국어의 이중 모음의 발달 과정을 살피는 데에 중시해야 함을 斯盧>新羅>薛羅에서 볼 수 있는 ‘*시>*샤~셔’의 변화와 연관 지어 살폈다. ②와 관련하여 훈민정음에서 ‘ㅛ, ㅑ, ㅠ, ㅕ’가 중성 11자에 포함된 것은 정음의 창제가 고유어, 한자음, 외국어를 두루 적고자 한 문자 제정과 관련되며, 성운학에 언어학적 근거를 두고 있다는 점을 고려하여 중성 11자는 개구(ㆍ, ㅡ, ㅣ, ㅏ, ㅓ), 합구(ㅗ, ㅜ), 제치(ㅑ, ㅕ), 촬구(ㅛ, ㅠ)를 체계적으로 나타내려 한 결과로 살폈다. ③과 관련하여 ‘-디>-디위’에서 보이는 /β/>/w/와 방언에서의 ‘뼈다귀→뼈다기~뼈다기’를 이해하려면 /wi/의 존재를 설정해야 하는데, 止攝의 한자음에서 보이는 ‘ㅢ’, ‘ㅚ’, ‘ㅟ’를 주모음을 선행하는 /ㅡ/, /ㅗ/, /ㅜ/가 아니라 후행하는 /ㅣ/로 보아야 체계적으로 이해가 된다는 분석 근거를 바탕으로 상향 이중 모음인 /ㅢ/, /ㅚ/, /ㅟ/가 실재하였음을 확인하여 고유어에서도 /wi/를 설정할 수 있음을 보였다. ④와 관련하여 󰡔鷄林類事󰡕와 같이 훈민정음 창제 이전의 자료를 전사 경향에 따라 살펴보면 전기 중세 국어와 후기 중세 국어 사이에 있었을 것으로 보이는 음운 변화와 이와 연관되어 일어난 형태 변화를 어떻게 이해할 수 있을지를 ‘나모’와 관련되는 항목 등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article aims to examine the tasks of Korean historical phonology seen through Sino-Korean and how they can be approached. Specifically, I examine to ①decoding borrowed Chinese characters materials of Korean-language, ②the understanding of the...

      This article aims to examine the tasks of Korean historical phonology seen through Sino-Korean and how they can be approached. Specifically, I examine to ①decoding borrowed Chinese characters materials of Korean-language, ②the understanding of the Hunminjeongeum vowel system, ③the nature of the Middle-Korean diphthong, and ④the decoding of Korean transcribed materials using Chinese phonemes. Regarding ①, I dealt with the problem of those that are difficult to decipher smoothly with the Middle Sino-Korean and Chinese phoneme in the borrowed Chinese characters materials of Korean-language. In addition, I dealt with Korean diphthong appear as monophthong in various borrowed Chinese characters materials of Korean-language which are different from Middle Sino-Korean which should be emphasized in examining the development process of diphthong in Korean. Regarding ②, I dealt with the inclusion of ‘ㅛ(yo)’, ‘ㅑ(ya)’, ‘ㅠ(yu)’, ‘ㅕ(yə)’ in the 11 medial in Hunminjeongeum as in monophthong. In considering it, it was important that the creation of Hunminjeongeum is related to the enactment of characters to write down native, Chinese, and foreign languages, and has a linguistic basis on Chinese phonology. Regarding ③, I looked at the presence of /wi/ in order to understand the change of /β/>/w/ and the replacement in the dialect. To this end, phonological analysis of ‘ㅢ’, ‘ㅚ’ and ‘ㅟ’ shown in the Middle Sino-Korean notation of Jiseop(止攝) confirmed that upward diphthong /ㅢ/, /ㅚ/ and /ㅟ/ existed. Regarding ④, I looked at the data before Hunminjeongeum creation, transcription data such as Gyerimyusa(鷄林類事), according to the transcriptional trend, focusing on the items related to ‘Namo’ on how to understand the phonological change that appears to have been between the early and late Middle-Korean language.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1. 들어가며 2. 차자 표기 자료의 해독과 한자음 3. 훈민정음 중성 체계의 이해와 한자음 4. 이중 모음의 구조와 한자음 5. 한어음을 통한 국어 음운사 및 형태사의 이해 6. 나오며
      • 1. 들어가며 2. 차자 표기 자료의 해독과 한자음 3. 훈민정음 중성 체계의 이해와 한자음 4. 이중 모음의 구조와 한자음 5. 한어음을 통한 국어 음운사 및 형태사의 이해 6. 나오며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박지용, "향가 해독 자료집" 서울대 대학원 국어연구회 2012

      2 이돈주, "한자학총론" 박영사 1992

      3 이돈주, "한자 음운학의 이해" 탑출판사 1995

      4 강신항, "한국의 운서" 태학사 51-84, 2000

      5 김무림, "한국 한자음의 근대성(1): 반영 양상의 종합" 한국어학회 30 : 89-132, 2006

      6 차재은, "중세국어의 하향이중모음과 음절구조에 대하여" 한국어학회 2 : 431-445, 1995

      7 박종희, "중세국어 이중모음의 통시적 발달" 국어학회 26 : 263-291, 1995

      8 강신항, "중국자음의 對音으로 본 국어모음체계" 국어학회 7 : 1-21, 1978

      9 남광우, "일석 이희승 선생 송수기념 논총" 1993

      10 신승용, "이중모음의 정의와 이중모음에서의 분절음 탈락 - ‘wi → i ~ u’, ‘ɨy → ɨ ~ i’를 중심으로-" 배달말학회 (50) : 37-59, 2012

      1 박지용, "향가 해독 자료집" 서울대 대학원 국어연구회 2012

      2 이돈주, "한자학총론" 박영사 1992

      3 이돈주, "한자 음운학의 이해" 탑출판사 1995

      4 강신항, "한국의 운서" 태학사 51-84, 2000

      5 김무림, "한국 한자음의 근대성(1): 반영 양상의 종합" 한국어학회 30 : 89-132, 2006

      6 차재은, "중세국어의 하향이중모음과 음절구조에 대하여" 한국어학회 2 : 431-445, 1995

      7 박종희, "중세국어 이중모음의 통시적 발달" 국어학회 26 : 263-291, 1995

      8 강신항, "중국자음의 對音으로 본 국어모음체계" 국어학회 7 : 1-21, 1978

      9 남광우, "일석 이희승 선생 송수기념 논총" 1993

      10 신승용, "이중모음의 정의와 이중모음에서의 분절음 탈락 - ‘wi → i ~ u’, ‘ɨy → ɨ ~ i’를 중심으로-" 배달말학회 (50) : 37-59, 2012

      11 김영일, "어형 '나무[木]'의 원형과 형태 변화-『계림유사』의 표기를 중심으로-" 한글학회 (264) : 5-24, 2004

      12 정연식, "신라의 초기 국호 사라벌[徐羅伐]과 시라[斯盧]의 뜻" 동아시아문화연구소 (72) : 13-50, 2018

      13 임홍빈, "신라의 국호에 대하여" 언어정보연구소 38 : 171-211, 2019

      14 권인한, "신라국호 이표기와 한국한자음의 관계" 울산대국어국문학부 15 : 117-132, 2001

      15 채미하, "신라 국호의 양상과 ‘계림’" 신라사학회 (37) : 1-32, 2016

      16 김완진, "다시 β>w를 찾아서" 서울대 언어교육원 8 (8): 51-62, 1972

      17 김성규, "국어의 시대별 변천·실태 연구 1-중세 국어-" 국립국어연구원 7-55, 1996

      18 권인한, "국어사와 한자음" 박이정 57-94, 2006

      19 이기문, "국어사개설" 태학사 1998

      20 권인한, "국어사 연구" 태학사 283-344, 1997

      21 김무림, "국어 한자음의 체계적 근대성" 한국어학회 34 : 113-139, 2007

      22 이기문, "국어 음운사 연구" 탑출판사 1982

      23 이혁화, "국어 음운론의 용어 ‘반모음, 이중모음, 중성’에 대한 검토" 한글학회 (296) : 5-39, 2012

      24 황선엽, "국어 연결어미의 통시적 연구 : 한글 창제 이전 차자표기 자료를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2

      25 박창원, "고대국어 음운(1)" 태학사 2002

      26 권인한, "고대 한국한자음에 관한 몇 가지 생각-"斯"의 고대 한국한자음 문제를 중심으로-" 구결학회 19-26, 2003

      27 정재영, "鷄林類事의 高麗方言에 나타난 文法形態에 대한 硏究" 구결학회 (12) : 99-132, 2004

      28 최영선, "鷄林類事의 음운론적 연구" 전남대 2015

      29 이기동, "鷄林類事의 轉寫字에 대하여" 민족어문학회 25 : 351-366, 1985

      30 이기문, "鷄林類事의 再檢討-주로 音韻史의 觀點에서" 서울대동아문화연구소 8 : 205-248, 1968

      31 前間恭作, "鷄林類事麗言攷(東洋文庫論叢 3)" 東洋文庫 1925

      32 강신항, "鷄林類事 高麗方言 硏究" 성균관대 출판부 1980

      33 진태하, "鷄林類事 硏究" 탑출판사 1975

      34 大野透, "萬葉假名の研究" 明治書院 1962

      35 이돈주, "止」攝 漢字音과 /ㆍ/音의 反映" 173․174 : 247-265, 1987

      36 河野六郞, "朝鮮漢字音の硏究" 天理時報社 1968

      37 伊藤智ゆき, "朝鮮漢字音の硏究" 東京大學 2002

      38 김대식, "新羅語 *sär[新]의 變遷과 그 表記-‘元曉’와 新羅國號의 起源과 관련하여-" 성균관대 대동문화연구원 20 : 25-44, 1986

      39 권인한, "新羅國號 異表記와 古代韓國語 音韻現象의 展開" 구결학회 (20) : 179-212, 2008

      40 高田時雄, "敦煌資料による中国語史の研究-9․10世紀河西方言" 創文社 1998

      41 有坂秀世, "國語音韻史の硏究" 三省堂 1936

      42 有坂秀世, "國語音韻史の硏究" 三省堂 327-357, 1957

      43 陸志韋, "古音說略" 學生書局 1971

      44 김종규, "二重母音의 音韻論的 性格에 對하여" 한국어문교육연구회 38 (38): 35-66, 2010

      45 정인호, "下降 二重母音과 浮動 二重母音의 音變化" 한국어문교육연구회 32 (32): 119-143, 2004

      46 김주필, "ㅸ의 ‘순음성’ 관련 현상과 ɦ로의 약화" 국어학회 38 : 27-54, 2001

      47 이준환, "『鷄林類事 高麗方言』 전사 양상의 음운론적 접근" 국어사학회 (31) : 7-46, 2020

      48 권인한, "『三國志』・魏書・東夷傳의 固有名詞 表記字 分析" 구결학회 (27) : 217-242, 2011

      49 권인한, "『三國史記』·『三國遺事』 자료 연구의 방법과 실제 ― 고유명사 異表記에 의한 고대 한국한자음 연구를 중심으로 ―" 규장각한국학연구원 (42) : 253-275, 2008

      50 이지수, "「신라(新羅·シラギ)」의 이표기(異表記)와 그 지명어원(地名語源)에 대하여" 동아시아일본학회 (16) : 205-221, 2005

      51 이동석, "‘ㅸ’의 음가론" 국어사학회 (17) : 71-118, 2013

      52 김경아, "β>w에 대하여" 규장각한국학연구원 (17) : 17-42, 1996

      53 김영선, "j계 하향이중모음 ‘의’의 단모음화 연구" 동남어문학회 23 : 5-27, 2007

      54 丁邦新(Ting, Pang-hsin), "Chinese Phonology of Wei-Chin period:Reconstruction of the finals as reflected in poetry" Institute of History and Philology Academia Sinica 1975

      55 김경아, "15세기 이중모음 체계와 순경음의 변화" 한국어교육학회 (168) : 117-149, 2020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3-11-29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Urimal KCI등재
      2013-11-29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Urimal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신청제한 (등재후보2차)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08 1.08 0.9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87 0.87 1.448 0.38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