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Students' Attitude Towards the Use of Instructional Technology in the Classroom = ICT가 수업에서 학생들의 학습 태도에 끼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548362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 this study, we examined the effects of instructional technologies on NamSeoul University undergraduate and graduate students’ attitudes towards Instructional technology. Furthermore, we looked into the relationships between importance of technolo...

      In this study, we examined the effects of instructional technologies on NamSeoul University undergraduate and graduate students’ attitudes towards Instructional technology. Furthermore, we looked into the relationships between importance of technology devices, students’ usage frequencies of technology and students’ attitudes towards technology. Finally, we examined the differences between students’ gender, age, nationality, department and educational level regarding technology.
      The purpose of educational technologies usage in schools is to change the traditional, passive way of learning into a more engaging and interactive type. IT makes education less time-consuming, more diverse, eco-friendly in some aspects. The focuses of this study were (1) to identify a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student gender and importance of technology, (2) to determine significant correlations among importance of technology, usage frequency of technology, positive attitudes towards technology and negative attitudes towards technology, (3) to find out the main effects and interaction effects between key variables towards four dependent variables.
      Hypothesis 1, which there is a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student gender and importance of technology, was rejected. In other hand, the hypothesis 2, which there is a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importance of technology, usage frequency of technology and attitudes towards technology, was accepted. Moreover, hypothesis 3, which there i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bachelor and master degree students on importance of technology, was accepted as hypothesis 4, which there i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different ages of students on usage frequency of technology, was accepted. Hypothesis 5, which there is an interaction effect between the two independent variables of nationality and department on positive attitudes towards technology, was rejected. Hypothesis 6, which there is an interaction effect between the two independent variables of nationality and department on negative attitudes towards technology, was not accepted.
      In conclusion, this study shows to have two important points. The first one is that there is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undergraduate and graduate students towards importance of technology. The second one is that different age of students have a significant difference while using technology.

      Keywords: Instructional Technologies on education, importance of technology, usage frequency of technology, positive attitudes towards technology, negative attitudes towards technology, internet, technology device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에서 남서울대학교 수업에서 ICT가 학부생과 대학원생의 학습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했다. 테크놀로지 장치에 대한 중요도 및 학생들의 테크놀로지 활용 빈도와 학생들의 테크놀...

      본 연구에서 남서울대학교 수업에서 ICT가 학부생과 대학원생의 학습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했다. 테크놀로지 장치에 대한 중요도 및 학생들의 테크놀로지 활용 빈도와 학생들의 테크놀로지에 대한 태도 사이의 관계를 연구했다. 끝으로 우리는 학생들의 성별, 나이, 국적, 학과 및 테크놀로지에 대한 교육 수준에 대한 차이들을 연구했다.
      학교에서의 ICT 활용목적은 전통적이고 수동적인 교육방식을 더욱 적극적이고 상호작용을 하는 교육방식으로 바꾸는 것이다. IT는 자연친화적이며, 교육현장에서 시간낭비를 줄여주고, 교육의 다양성을 제공해준다. 본 연구는 (1) 학생의 성별과 테크놀로지의 중요도 사이의 중대한 관계를 규명하는 것, (2) 테크놀로지의 중요도 활용빈도, 테크놀로지에 대한 긍정적인 태도와 부정적인 태도 간의 중대한 상관관계를 알아내는 것, (3) 네 개의 종속변수에 대한 주요 변수들 사이의 주 효과와 상호작용 효과를 찾아내는 것에 초점을 맞추었다.
      학생들의 성별과 테크놀로지의 중요도에 대한 인식 사이의 관계가 있다는 가설 1은 검증되지 못했다. 반면에, 테크놀로지의 중요도, 활용빈도, 테크놀로지에 대한 태도 사이의 상관관계가 있다는 가설 2는 검증되었다. 또한, 학부생과 대학원생이 인식하는 테크놀로지의 중요도에 차이점이 있다는 가설 3은 테크놀로지 활용 빈도에 따른 학생의 연령별 차이가 있다는 가설 4와 마찬가지로 검증되었다. 테크놀로지에 대한 긍정적인 태도에 관련된 2개의 독립변수인 국가와 학과 간의 상호작용이 있다는 가설 5는 검증되지 못했다. 가설 5와 같이 테크놀로지에 대한 부정적인 태도에 대하여 2개의 독립변수인 국가와 학과 사이의 상호작용이 있다는 가설 6도 검증되지 않았다.
      본 연구는 두 가지의 중요한 결론을 보여준다. 첫 번째는 학부생과 대학원생이 인식하는 테크놀로지의 중요도에 차이가 있다는 것이다. 두 번째는 테크놀로지 활용에 있어서 학생들이 연령별로 큰 차이를 보인다는 것이다.

      키워드: ICT, 학습에 관한 교육의 영향, 테크놀로지의 중요도, 테크놀로지의 활용 빈도, 테크놀로지에 대한 긍정적인 태도, 테크놀로지에 대한 부정적인 태도, 인터넷, 테크놀로지 장치.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Chapter 1: Introduction 1
      • 1.1 Background 1
      • 1.2 Problem Statement 2
      • 1.3 Theoretical and Conceptual Framework 3
      • 1.4 Relevance and Significance 8
      • Chapter 1: Introduction 1
      • 1.1 Background 1
      • 1.2 Problem Statement 2
      • 1.3 Theoretical and Conceptual Framework 3
      • 1.4 Relevance and Significance 8
      • 1.5 Purpose Statement 8
      • 1.6 Research Questions 9
      • 1.7 Research Hypotheses 10
      • 1.8 Definitions of Terms 11
      • 1.9 Delimitation of the study 13
      • Chapter 2: Review of the Literature 14
      • 2.1 Technology in Education 14
      • 2.2 Students Attitudes towards Technology 16
      • 2.3 The Impact of New Technologies on the Characteristics of Higher Education Students 19
      • Chapter 3: Methodology 23
      • 3.1 Introduction 23
      • 3.2 Research Methodology 23
      • 3.2.1 Data Collection 23
      • 3.2.2 Participants 23
      • 3.2.3 Questionnaire Design 24
      • 3.2.4 Measurement 25
      • 3.2.5 Statistical Method 25
      • 3.3 Human Recourses 26
      • Chapter 4: Results 28
      • 4.1 Introduction 28
      • 4.2 Descriptive Statistics 28
      • 4.2.1 Importance of Technology 29
      • 4.2.2 Usage Frequency of Technology 33
      • 4.2.3 Attitude Towards Technology 37
      • 4.2.4 Demographics: Gender, Age, Nationality and Student Level 44
      • 4.3 Correlation Analysis 51
      • 4.4 Two-Way ANOVA Results 55
      • 4.4.1 Importance of Technology as Dependent Variable 55
      • 4.4.2 Usage Frequency of Technology as Dependent Variable 56
      • 4.4.3 Positive Attitudes towards Technology as Dependent Variable 58
      • 4.4.4 Negative Attitudes towards Technology as Dependent Variable 59
      • 4.5 Summary 61
      • Chapter 5: Discussion 62
      • 5.1 Introduction 62
      • 5.2 Interpretation and Implication of the Findings 62
      • 5.2.1 A Discussion on Significant Correlations 63
      • 5.2.2 A Discussion on ANOVA results 69
      • 5.3 Hypotheses testing 73
      • 5.3.1 Hypothesis 1 73
      • 5.3.2 Hypothesis 2 73
      • 5.3.3 Hypotheses 3-6 75
      • 5.4 Recommendations 79
      • 5.5 Summary and Conclusion 81
      • References 83
      • Appendix 1: University Student Technology Survey 89
      • Appendix 2: Factor Analysis; extracting two components 92
      • Abstract 93
      • 국문초록 96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