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가구구조와 소득불평등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 논문은 가구의 속성이 소득불평등에 미치는 영향을 논의하고, 한국노동연구원이 수집한 한국노동패널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이를 실증적으로 분석한다. 가구소득은 개인의 임금과 근로소득과는 달리 가구의 변화에 따라서 크게 영향을 받는다. 인구고령화와 가족의 변화는 가구소득 불평등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가구의 속성은 노동시장의 변화나 경제활동의 변화와는 독립적으로 가구소득 불평등에 영향을 미친다. 이 논문은 가구의 속성(가구형태, 경제활동에 참여하는 가구원 수, 주당 가구 총 근로시간, 부부 총 교육연수)이 얼마나 가구소득 불평등에 기여하는지를 회귀분석에 기초한 불평등 분해 방법을 이용하여 2007년과 2017년 한국노동패널조사 자료를 바탕으로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가구의 속성(가구형태, 경제활동에 참여하는 가구원 수, 부부의 총교육연수와 부부의 총노동시간)이 가구주의 종사상 지위와 직업보다 더 크게 가구소득 불평등에 영향을 미쳤다. 2007년과 2017년 자료를 비교한 결과 경제활동에 참여하는 가구원 수와 가구형태가 가구소득 불평등에 미치는 효과는 감소하였으나, 부부의 총교육연수와 부부의 총노동시간의 효과는 증가하여, 가구의 속성이 가구소득 불평등에 미치는 효과는 전체적으로 크게 달라지지는 않았다. 이러한 결과는 가구구조가 가구소득 불평등 이해에 핵심적이라는 점을 보여준다.
      번역하기

      이 논문은 가구의 속성이 소득불평등에 미치는 영향을 논의하고, 한국노동연구원이 수집한 한국노동패널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이를 실증적으로 분석한다. 가구소득은 개인의 임금과 근로...

      이 논문은 가구의 속성이 소득불평등에 미치는 영향을 논의하고, 한국노동연구원이 수집한 한국노동패널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이를 실증적으로 분석한다. 가구소득은 개인의 임금과 근로소득과는 달리 가구의 변화에 따라서 크게 영향을 받는다. 인구고령화와 가족의 변화는 가구소득 불평등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가구의 속성은 노동시장의 변화나 경제활동의 변화와는 독립적으로 가구소득 불평등에 영향을 미친다. 이 논문은 가구의 속성(가구형태, 경제활동에 참여하는 가구원 수, 주당 가구 총 근로시간, 부부 총 교육연수)이 얼마나 가구소득 불평등에 기여하는지를 회귀분석에 기초한 불평등 분해 방법을 이용하여 2007년과 2017년 한국노동패널조사 자료를 바탕으로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가구의 속성(가구형태, 경제활동에 참여하는 가구원 수, 부부의 총교육연수와 부부의 총노동시간)이 가구주의 종사상 지위와 직업보다 더 크게 가구소득 불평등에 영향을 미쳤다. 2007년과 2017년 자료를 비교한 결과 경제활동에 참여하는 가구원 수와 가구형태가 가구소득 불평등에 미치는 효과는 감소하였으나, 부부의 총교육연수와 부부의 총노동시간의 효과는 증가하여, 가구의 속성이 가구소득 불평등에 미치는 효과는 전체적으로 크게 달라지지는 않았다. 이러한 결과는 가구구조가 가구소득 불평등 이해에 핵심적이라는 점을 보여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paper attempts to explore the effect of the structure of households on income inequality, applying the regression-based inequality decomposition method to the Korea Labor Income Panel Survey in 2007 and 2017. It shows that household income is significantly affected by the changing household characteristics such as the rise of single households and the elderly households, independent of the changes in the labor market and the world of work. Specifically, this paper tests the effects of household characteristics such as household form, number of working household members, combined years of education by couples, and combined working hours by couples, confirming the independent effects of household characteristics on household income inequality. While the effects of household type and the number of working household members on household income inequality decreased, the effects of the combined years of education by couples and the combined working hours by couples on household income inequality increased. It has exerted the strong influence of household characteristics on household income inequality between 2007 and 2017.
      번역하기

      This paper attempts to explore the effect of the structure of households on income inequality, applying the regression-based inequality decomposition method to the Korea Labor Income Panel Survey in 2007 and 2017. It shows that household income is sig...

      This paper attempts to explore the effect of the structure of households on income inequality, applying the regression-based inequality decomposition method to the Korea Labor Income Panel Survey in 2007 and 2017. It shows that household income is significantly affected by the changing household characteristics such as the rise of single households and the elderly households, independent of the changes in the labor market and the world of work. Specifically, this paper tests the effects of household characteristics such as household form, number of working household members, combined years of education by couples, and combined working hours by couples, confirming the independent effects of household characteristics on household income inequality. While the effects of household type and the number of working household members on household income inequality decreased, the effects of the combined years of education by couples and the combined working hours by couples on household income inequality increased. It has exerted the strong influence of household characteristics on household income inequality between 2007 and 2017.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문제제기
      • Ⅱ. 이론적 배경 및 선행연구
      • Ⅲ. 자료 및 분석 방법
      • Ⅳ. 분석결과
      • Ⅴ. 결론
      • Ⅰ. 문제제기
      • Ⅱ. 이론적 배경 및 선행연구
      • Ⅲ. 자료 및 분석 방법
      • Ⅳ. 분석결과
      • Ⅴ. 결론
      • 참고문헌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공주, "한국의 소득불평등에 관한 새로운 접근" 한국산업노동학회 24 (24): 1-34, 2018

      2 신광영, "한국의 성별 임금격차: 차이와 차별" 한국사회학회 45 (45): 97-127, 2011

      3 김유선, "한국의 노동 2016" 한국노동사회연구소 1-92, 2016

      4 공주, "한국과 일본의 불평등 비교연구" 중앙대학교 2018

      5 정이환, "한국 임금불평등 구조의 특성: 국제비교를 중심으로" 한국사회학회 49 (49): 65-100, 2015

      6 김철식, "하도급 구조와 노동시장 불평등에 관한 연구 : 제5차 사업체패널자료분석을 중심으로" 한국사회학회 45 (45): 1-24, 2011

      7 성재민, "임금불평등에 대한 연구동향" 13 (13): 66-77, 2015

      8 성명재, "인구ㆍ가구특성의 변화가 소득분배구조에 미치는 영향 분석 연구: 무직가구, 부녀자가구 특성 및 인구고령화를 중심으로" 사회과학연구원 22 (22): 215-236, 2015

      9 계봉오, "인구 고령화, 사회경제적 발전, 사회불평등의 관계" 비판사회학회 (106) : 41-72, 2015

      10 이병훈, "위기의 노동" 후마니타스 275-299, 2005

      1 공주, "한국의 소득불평등에 관한 새로운 접근" 한국산업노동학회 24 (24): 1-34, 2018

      2 신광영, "한국의 성별 임금격차: 차이와 차별" 한국사회학회 45 (45): 97-127, 2011

      3 김유선, "한국의 노동 2016" 한국노동사회연구소 1-92, 2016

      4 공주, "한국과 일본의 불평등 비교연구" 중앙대학교 2018

      5 정이환, "한국 임금불평등 구조의 특성: 국제비교를 중심으로" 한국사회학회 49 (49): 65-100, 2015

      6 김철식, "하도급 구조와 노동시장 불평등에 관한 연구 : 제5차 사업체패널자료분석을 중심으로" 한국사회학회 45 (45): 1-24, 2011

      7 성재민, "임금불평등에 대한 연구동향" 13 (13): 66-77, 2015

      8 성명재, "인구ㆍ가구특성의 변화가 소득분배구조에 미치는 영향 분석 연구: 무직가구, 부녀자가구 특성 및 인구고령화를 중심으로" 사회과학연구원 22 (22): 215-236, 2015

      9 계봉오, "인구 고령화, 사회경제적 발전, 사회불평등의 관계" 비판사회학회 (106) : 41-72, 2015

      10 이병훈, "위기의 노동" 후마니타스 275-299, 2005

      11 전병유, "우리나라 노동시장 분절화의 구조와 시사점" 168 : 21-35, 2018

      12 반정호, "우리나라 가구 유형별 소득불평등 추이" 11 : 15-17, 2008

      13 신광영, "세대, 계급과 불평등" 비판사회학회 (81) : 35-60, 2009

      14 김영미, "분절 노동시장에서의 젠더 불평등의 복합성: 중심부와 주변부에서 나타나는 여성차별의 차이" 비판사회학회 (106) : 205-237, 2015

      15 박경숙, "노인 가구형태의 변화가 노인 빈곤율 변화에 미친 영향" 한국사회학회 50 (50): 221-253, 2016

      16 정이환, "노동시장 불평등과 조직내 불평등: 1990년대 임금불평등 추세 연구" 한국사회학회 36 (36): 1-22, 2002

      17 이병훈, "노동생활 질의 양극화에 관한 연구 -정규,비정규의 분절성을 중심으로-" 비판사회학회 60 : 129-149, 2003

      18 김영미, "기혼여성 노동시장의 양극화와 가구소득 불평등의 변화" 비판사회학회 (77) : 79-106, 2008

      19 김혜연, "기초연금 도입이 성별 빈곤 및 소득불평등에미치는 효과" 비판과 대안을 위한 사회복지학회/ 건강정책학회 (54) : 120-159, 2017

      20 정이환, "기업규모인가 고용형태인가" 비판사회학회 (73) : 332-355, 2007

      21 김영미, "금융위기 이후 한국 소득불평등구조의 변화:소득불평등 분해, 1998~2005" 한국사회학회 41 (41): 35-63, 2007

      22 김창환, "경력단절 이전 여성은 차별받지 않는가?: 대졸 20대 청년층의 졸업 직후 성별 소득격차 분석" 한국사회학회 53 (53): 167-204, 2019

      23 이철승, "결합노동시장지위와 임금불평등의 확대(2004∼2015년)" 비판사회학회 (115) : 103-144, 2017

      24 Alvaredo, F., "World Inequality Report 2018" World Inequality Lab 2018

      25 Hyslop, D. R., "Understanding New Zealand's Changing Income Distribution, 1983-1998 : A Semi-Parametric Analysis" 72 (72): 469-495, 2005

      26 Wright, E. O., "The Status of the Political in the Concept of Class Structure" 11 (11): 321-341, 1982

      27 Zaidi, B., "The Second Demographic Transition Theory : A Review and Appraisal" 43 : 473-492, 2017

      28 Burtless, G., "The Oxford Handbook of Economic Inequality" Oxford University Press 435-454, 2009

      29 OECD, "The Future of Families to 2030: A Synthesis Report" OECD 2011

      30 Atkinson, A. B., "The Changing Distribution of Earnings in OECD Countries" Oxford University Press 2008

      31 Esping-Andersen, G., "Sociological Explanations of Changing Income Distributions" 50 (50): 639-658, 2007

      32 Wodtke, G. T., "Social Class and Income Inequality in the United States : Ownership, Authority, and Personal Income Distribution from 1980 to 2010" 121 (121): 375-415, 2016

      33 Card, D., "Skill-Based Technological Change and Rising Wage Inequality: Some Problems and Puzzles" 20 (20): 733-783, 2002

      34 Hwang, S. J., "Public Pensions as the Great Equalizer? Decomposition of Old-Age Income Inequality in South Korea, 1998–2010" 28 (28): 81-97, 2016

      35 Erikson, R., "Intergenerational Inequality : A Sociological Perspective" 16 (16): 31-44, 2002

      36 Kenworthy, L., "Inequality and Sociology" 50 (50): 584-605, 2007

      37 Shorrocks, A. F., "Inequality Decomposition by Factor Components" 50 (50): 193-201, 1982

      38 Brandolini, A, "Household Structure and Income Inequality" LIS 2001

      39 Katz, L., "Handbook of Labor Economics, Ch. 16" Elsvier 1463-1555, 1999

      40 England, P., "Gender Inequality in Labor Markets : The Role of Motherhood and Segregation" 12 (12): 264-288, 2005

      41 Blau, F. D., "Gender Differences in Pay" 14 (14): 75-99, 2000

      42 McLanahan, S., "Family Structure and the Reproduction of Inequalities" 34 : 257-276, 2008

      43 Cherlin, A. J., "Family Complexity, the Family Safety Net, and Public Policy" 654 : 231-239, 2014

      44 Albertini, M., "Equalizing or Not? The Effect of Changing Household Characteristics on Income Inequality" 24 (24): 285-298, 2008

      45 Chu, C. Y. Cyruss, "Demographic Transition, Family Structure, and Income Inequality" 79 (79): 665-669, 1997

      46 Gottschalk, P., "Cross-national Comparisons of Earnings and Income Inequality" 35 (35): 633-687, 1997

      47 Piketty, T., "Capital in the Twenty-First Century" Harvard University Press 2013

      48 Fields, G. S., "Accounting for Income Inequality and Its Change : A New Method with Application to the Distribution of Earnings in the United States" 22 : 1-38, 2003

      49 노동연구원, "2019 한국노동패널조사 Data Workshop 자료"

      50 정준호, "1990년대 이후 소득 불평등 변화 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사회복지정책학회 44 (44): 29-53, 2017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1-07-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199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34 1.34 1.65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86 2.07 2.564 0.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