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근대일본 법화계(法華系) 신종교의 역사적 성립과 발전-본문불립강(本門佛立講), 영우회(靈友會)의 역사적 전개와 교의(敎義)에 대한 일고- = The Historical Formation and Growth of New Religions for Lotus-Sutra Group in Modern Japan -A study on the Historical Development of Honmon butsuruyukou(本門佛立講) and Reiyukai(靈友會)-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19616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research looked into the Honmon butsuruyukou(本門佛立講) and Reiyukai(靈友會) affiliated to new religions for Lotus-Sutra group in modern Japan. Now Japanese new religions are estimated to be above two thousand, the believers in new relig...

      This research looked into the Honmon butsuruyukou(本門佛立講) and Reiyukai(靈友會) affiliated to new religions for Lotus-Sutra group in modern Japan. Now Japanese new religions are estimated to be above two thousand, the believers in new religion reach 10-20 percent of entire population in Japan and a half of them are believers of Lotus-Sutra group. Therefore, Japanese new religions, especially Lotus-Sutra group is the section which should be studied in order to understand the existing state of Japanese religions. And the Honmon butsuruyuko and Reiyukai were representative of Lotus-Sutra group in the period of Japanese new religions’ appearing and booming. The Honmon butsuruyukou succeeded to Happhong school(八品派) or Nichiruyu(日隆)’s followers, and Soka Gakkai(創價學會) which prospered in the postwar era succeeded to Hugi school(富士派) or Nikko(日興)’s followers.
      The Honmon butsuruyukou(本門佛立講) was founded by Nagamachi nissen(長松日扇) in 1857, worshiping Nichiren(日蓮) as the founder of Nichirensyu(日蓮宗) and Nichiruyu(日隆) as the founder of Happhong school. Nagamachi nissen leaving the Happhong school’s priesthood tried to return the former state of the faith in Lotus-Sutra and reform the religious body through the Honmon butsuruyukou. Because the Honmon butsuruyukou emphasized profits showing in this world, it asserted that diseases could be cured and poverty overcame only by reciting Namumyouhorengekyou(南無妙法蓮華經). And stressing on profits showing in this world, it refused the authority of priests who attached to importance to afterlife, and asserted a religious body managed by general believers.
      The Reiyukai(靈友會) was founded by Kubo kakutaro(久保角太郞) and Kotani kimi(小谷喜美) in 1924. Kakutaro, a believer in the Sutra of Lotus, tried to realize the ideal world, establishing the creative belief which combined Shamanism with the faith in the Sutra of Lotus. And Kimi(喜美) who became the Shaman after extreme asceticism devoted herself to the propagation of the Reiyukai depending on spiritual skill. The Reiyukai flatly denied the priests’ existence, and asserted that family and nation would enjoy happiness only by taking care of ancestors. It also have tried to realize the ideal world of the Sutra of Lotus by general believers’ taking care of ancestors, and put great stress on believers’ being engaged in missionary work, and made them execute ethical norms, Seikou(正行).
      Though the Honmon butsuruyukou and Reiyukai was all new religions for Lotus-Sutra group by general believers, the one headed toward moderate reformation as a pioneer and the other was very aggressive in pursuing the propagation, taking a reformer stand.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고는 일본 신종교의 한 부류인 법화계 신종교에 속하는 본문불립강과 영우회를 고찰한 글이다. 현재 일본의 신종교 교단은 2,000여개 이상으로 추정되고, 신자수는 일본 전체 인구의 10∼20%...

      본고는 일본 신종교의 한 부류인 법화계 신종교에 속하는 본문불립강과 영우회를 고찰한 글이다. 현재 일본의 신종교 교단은 2,000여개 이상으로 추정되고, 신자수는 일본 전체 인구의 10∼20%에 이르며, 또 그 절반 이상이 법화계 신종교의 신자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일본의 종교상황을 이해하기 위해 신종교 특히 법화계 신종교는 반드시 연구되어야 할 분야이다. ‘법화계 신종교’란 법화경의 신앙전통과 그것을 재해석한 니치렌(日蓮)의 사상을 계승한 신종교의 한 부류를 말하는 것으로서 본문불립강과 영우회는 신종교의 발생과 붐이 일던 시기(幕末∼昭和前期)에 법화계 신종교를 대표하는 교단으로서 본문불립강은 니치류 문류(日隆門流)인 팔품파(八品派)를 계승하고 있다. 또한 전후(戰後)에 크게 발전한 창가학회는 닛코 문류(日興門流)인 부사파(富士派)를 계승한 일련정종(日蓮正宗)의 재가단체이다.
      본문불립강(후에 本門佛立宗)은 니치렌을 종조로 하고, 니치류를 문조(門祖)로 하여 나가마츠 닛센(長松日扇)이 1857년 쿄토(京都)에서 창시한 재가신도 모임(講)이었다. 팔품파(本門法華宗)의 승려였던 닛센은 환속 후 본문불립강을 열어 법화신앙의 본 정신으로 돌아가 타락한 교단을 개혁하고자 했다. 본문불립강에서는 현증이익(現證利益)을 강조하여 나무묘호렌게쿄(南無妙法蓮華經)를 암송함으로써 질병을 다스리고, 가난에서 벗어날 수 있다고 가르친다. 본문불립강의 현증이익의 강조는 내세의 가치를 중시하는 승려의 권위를 부정하고 재가자 중심의 신앙활동을 주장하게 된다.
      영우회는 1924년에 쿠보 카쿠다로(久保角太郞)와 코타니 키미(小谷喜美)가 창시한 법화계의 재가교단이었다. 법화신자인 카쿠다로는 법화신앙과 샤머니즘적인 전통을 결합한 독자적인 신앙을 확립하여 『법화경』의 이상세계를 실현하고자 하였다. 혹독한 수행을 거친 후 영능자(靈能者)가 된 키미는 영술(靈術)을 이용해 포교활동을 적극 펴나갔다. 영우회는 승려의 존재를 부정하며 각 개인이 가정에서 선조공양을 행함으로써 가정과 국가가 행복을 얻을 수 있다고 한다. 재가자의 선조공양을 통해 법화경의 이상세계를 실현하고자 하는 영우회는 신자의 포교활동을 중시하여 가정모임의 성격인 법좌(法座)활동을 펴고, 윤리규범인 정행(正行)을 준수하도록 한다. 본문불립강과 영우회는 모두 니치렌의 사상을 계승한 혁신적인 법화계 재가교단이지만, 본문불립강이 선구적인 위치에서 온건한 개혁을 지향했다면, 영우회는 보다 개혁적인 입장에서 적극적인 포교활동을 전개한 교단이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白水寬子, "靈友會系諸敎團の發生に關する一考察" 日本宗敎學會 (250) : 1982

      2 靈友會史編纂委員會, "靈友會史 下卷" 靈友會 1996

      3 梅津札司, "靈又會系新宗敎運動の發生-その思想的側面を中心に-" 雄山閣出版株式會社 9 : 1988

      4 시마조노 스스무, "현대일본 종교문화의 이해" 청년사 1997

      5 이원범, "한국속 일본계 종교의 현황" 大旺社 2008

      6 박승길, "한국 속의 일본 신종교" 西江大學校 宗敎神學硏究所 9 : 1996

      7 무라카미 시게요시, "일본의 종교" 지만지 2008

      8 카시와하라 유센, "일본불교사 근대" 동국대학교 출판부 2008

      9 박승길, "일본 신종교의 이해, in : 현대종교의 이해"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94

      10 박규태, "불교와 민족주의-일본불교와 일련주의를 중심으로-, in : 종교와 민족-보편과 특수의 상관성을 중심으로-" 한국정신문화연구원 2001

      1 白水寬子, "靈友會系諸敎團の發生に關する一考察" 日本宗敎學會 (250) : 1982

      2 靈友會史編纂委員會, "靈友會史 下卷" 靈友會 1996

      3 梅津札司, "靈又會系新宗敎運動の發生-その思想的側面を中心に-" 雄山閣出版株式會社 9 : 1988

      4 시마조노 스스무, "현대일본 종교문화의 이해" 청년사 1997

      5 이원범, "한국속 일본계 종교의 현황" 大旺社 2008

      6 박승길, "한국 속의 일본 신종교" 西江大學校 宗敎神學硏究所 9 : 1996

      7 무라카미 시게요시, "일본의 종교" 지만지 2008

      8 카시와하라 유센, "일본불교사 근대" 동국대학교 출판부 2008

      9 박승길, "일본 신종교의 이해, in : 현대종교의 이해"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94

      10 박규태, "불교와 민족주의-일본불교와 일련주의를 중심으로-, in : 종교와 민족-보편과 특수의 상관성을 중심으로-" 한국정신문화연구원 2001

      11 武田悟一, "長松日扇傳の一考察" 立正大學日蓮敎學硏究所 33 : 2006

      12 島園進, "現代救濟宗敎論" 靑弓社 1995

      13 執行海秀, "本門佛立宗敎學の硏究" 立正大學佛敎學會 97 : 1950

      14 小松邦彰, "日蓮宗小事典" 法藏館 2003

      15 村上重良, "日本の宗敎: 日本史⋅倫理社會の理解に" 岩波書店 1981

      16 日扇, "日扇聖人全集 10卷" 日扇聖人全集刊行會 1963

      17 松野純孝, "新宗敎辭典" 東京堂出版 1987

      18 井上順孝, "新宗敎辭典" 弘文堂 1990

      19 新宗敎硏究會, "新宗敎ガイドブック" ストブック 1990

      20 淸水雅人, "新宗敎の世界Ⅱ-新宗敎의 諸問題-" 大藏出版社 1983

      21 박승길, "創價學會의 國內 成長과 그 意義" 韓國宗敎學會 10 : 1994

      22 박규태, "創價學會에 대한 일고찰" 서울대 종교학연구회 20 : 2001

      23 海津禮司, "初期靈友會の思想基盤について" 日本宗敎學會 255 : 1983

      24 福岡良樹, "佛立開導日扇師における日隆敎學の受容と展開" 立正大學宗敎硏究所 163 : 2007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9-07-30 학회명변경 영문명 : Korean Association For The New Religions -> The Korean Academy of New Religions KCI등재후보
      2009-07-01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Journal of New Religions ->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New Religions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6-21 학회명변경 영문명 : The Association For Korean New Religions -> Korean Association For The New Religions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27 0.27 0.32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29 0.29 0.596 0.06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