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랜 예술 표현양식인 시는 시대의 변화와 함께 고대 양식으로부터 진화를 거듭하면서 지속적으로 발전해 왔다. 특히 인간의 창의성과 시대환경에 대한 적극적인 해석과 개입은 시를 통해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국문 초록 (Abstract)
오랜 예술 표현양식인 시는 시대의 변화와 함께 고대 양식으로부터 진화를 거듭하면서 지속적으로 발전해 왔다. 특히 인간의 창의성과 시대환경에 대한 적극적인 해석과 개입은 시를 통해 ...
오랜 예술 표현양식인 시는 시대의 변화와 함께 고대 양식으로부터 진화를 거듭하면서 지속적으로 발전해 왔다. 특히 인간의 창의성과 시대환경에 대한 적극적인 해석과 개입은 시를 통해 독자들에게 전달했고 점차 그 스펙트럼을 넓혀가며 오늘날에 이르렀다. 이런 시는 본격적인 영상시대가 도래하면서 점차 독자들과 사회로부터 외면당해 왔지만 본격적인 AI 시대를 맞이하면서 인간과 기계의 상호작용을 통해 영상과의 손쉬운 조우가 가능해졌음을 계기로 다시금 이전의 예술적 기능과 사회참여 역할로의 부활을 모색할 시점에 이르렀다. 본고는 이런 점을 견지하면서 AI를 통해 시의 본래 역할과 기능을 회복함은 물론이고 대중들에게 다가갈 수 있는 도구로서 AI의 활용가능성을 모색함과 동시에 시대환경에 걸맞는 시문학의 확장가능성에 대해 논의를 시작했다. 그 결과 본고는 시와 직접 관련된 세 주체에 대해 AI활용을 모색할 수 있었는데 먼저 시인은 AI 를 통해 창의적 아이디어를 직접적으로 도움을 받을 수 있음과 동시에 시청각콘텐츠를 제작해 봄으로써 시의 운율, 음률, 이미지 등을 영상과 음악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는 점을 밝혔다. 출판사는 AI를 활용해서 책의 표지 디자인, 윤문, 편집 등을 손쉽게 할 수 있어 소규모 출판사에는 직접적으로 도움이 될 수 있다는 점과 출판할 시집과 관련한 시청각콘텐츠 제작 같은 홍보활동에 도움을 받을 수 있다는 점을 제시했다. 문학관이나 문학 동호회 같은 문학단체에서는 프로그램기획과 운영, 그리고 시작품을 소재로 한 다양한 시청각콘텐츠제작을 통해 본연의 친목활동, 선양활동 등을 손쉽게 할 수 있다는 점을 주장할 수 있었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Poetry, a long-standing form of artistic expression, has continued to develop, evolving from ancient forms along with the changes of the times. In particular, human creativity and active interpretation and intervention in the environment of the times ...
Poetry, a long-standing form of artistic expression, has continued to develop, evolving from ancient forms along with the changes of the times. In particular, human creativity and active interpretation and intervention in the environment of the times were conveyed to readers through poetry, and the spectrum gradually expanded to the present day. With the advent of the full-fledged video era, poetry like this has gradually been neglected by readers and society, but with the full-fledged AI era, easy encounters with video have become possible through the interaction between humans and machines, allowing them to regain their former artistic function and social participation. It has reached a point where it is seeking to revive its role. In keeping with this point, this study not only restores the original role and function of poetry through AI, but also explores the possibility of using AI as a tool to reach the public, and at the same time explores the possibility of expanding poetry appropriate to the environment of the times. started discussing about it. As a result, this paper was able to explore the use of AI for three entities directly related to poetry. First, poets can receive direct help with creative ideas through AI, and at the same time, by producing audio-visual content, the poem's rhyme, melody, It was revealed that images, etc. can be confirmed through video and music. Publishers can use AI to easily design book covers, edit, edit, etc., which can be of direct help to small publishers, and can help with promotional activities such as producing audio-visual content related to poetry collections to be published. presented. Literary organizations such as literature museums and literature clubs were able to claim that they could easily carry out their natural social activities and promotion activities through program planning and operation, and the production of various audio-visual contents based on prototypes.
러시아 문화정책을 통해 살펴보는 러시아 정체성 : 러시아연방 영화진흥법 및 러시아 영화의 해를 중심으로
돈 들릴로의 『바디아티스트』 읽기 : 인지 동물행동학과 동물의 마음
게이미피케이션을 활용한 문화예술 디지털아카이브 플랫폼 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