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경주지역 원삼국시대 분묘의 철기부장유형과 위계 = Ironware Burial Patterns and the Hierarchy of the Proto-Three Kingdoms Period Tombs of Gyeongju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68807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Studies on Proto-Three Kingdoms Period ironware, which have been carriedout on the entire Yeongnam region, have been aimed at clarifying the genealogyand cultural features of the iron artifacts, but they have not paid any attention tothe ideological a...

      Studies on Proto-Three Kingdoms Period ironware, which have been carriedout on the entire Yeongnam region, have been aimed at clarifying the genealogyand cultural features of the iron artifacts, but they have not paid any attention tothe ideological and economical contexts within which the ironware was buriedwith the dead. Accordingly, in recognizing this issue, this study has focused onthe fact that ironware grave goods were objects used in burial ceremonies, inorder to consider the social meanings that its use had in the Gyeongju region,which was the center of iron production. Various features of the ironware buriedwithin these tombs were analyzed in order to deduce patterns that could beused in the restoration of the burial rituals of the time.
      The burial pattern of ironware observed limitedly in the Gyeongju areaseems to have been established based on the foundation of certain burial ritualsthat emerged as a result of the ironware being regarded as social propertyin this locale which was a center of ironware production. The tumuli groupof the Gyeongju area is assumed to have actively expressed the identity ofthe deceased through the use of ironware as grave goods – this practice isthought to have developed into a burial ritual, unique to the Gyoungju area,that reflected the social hierarchy of the time. In other words, the mediumof ‘iron’, which can be regarded as the social property of that area, wasstrategically combined with burial rituals so that the a unique economical andideological hierarchial structure might be formed within society. This enablesthe assumption that the social and political consolidation of power was ideallyenhanced through such burial practices.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희준, "죽음의 고고학" 사회평론 2009

      2 申東昭, "영남지방 원삼국시대 철부와 철모의 분포정형 연구" 慶北大學校 2007

      3 尹溫植, "영남 지방 원삼국시대 土器「樣式」論의 제기" 영남고고학회 31 : 30-82, 2002

      4 최병현, "신라 조기양식토기의 설정과 편년" 영남고고학회 (63) : 105-156, 2012

      5 류위남, "삼한시대 영남지역 출토 주조철부와 판상철부 연구" 영남고고학회 (51) : 61-108, 2009

      6 李熙濬, "삼한 소국 형성과정에 대한 고고학적 접근의 틀—취락 분포정형을 중심으로" 43 : 2000

      7 李在興, "목관계목곽묘의 등장과 배경" 14 : 2001

      8 洪潽植, "농기구와 부장유형" 44 : 2001

      9 우병철, "궐수형철기를 통해 본 진·변한 정치체의 상호작용 – 대등 정치체 상호작용 모델(peer polity interaction model)의 적용 -" 한국상고사학회 65 (65): 75-105, 2009

      10 장기명, "경주지역 원삼국시대 분묘의 철기 부장유형과 위계" 경북대학교 대학원 2014

      1 이희준, "죽음의 고고학" 사회평론 2009

      2 申東昭, "영남지방 원삼국시대 철부와 철모의 분포정형 연구" 慶北大學校 2007

      3 尹溫植, "영남 지방 원삼국시대 土器「樣式」論의 제기" 영남고고학회 31 : 30-82, 2002

      4 최병현, "신라 조기양식토기의 설정과 편년" 영남고고학회 (63) : 105-156, 2012

      5 류위남, "삼한시대 영남지역 출토 주조철부와 판상철부 연구" 영남고고학회 (51) : 61-108, 2009

      6 李熙濬, "삼한 소국 형성과정에 대한 고고학적 접근의 틀—취락 분포정형을 중심으로" 43 : 2000

      7 李在興, "목관계목곽묘의 등장과 배경" 14 : 2001

      8 洪潽植, "농기구와 부장유형" 44 : 2001

      9 우병철, "궐수형철기를 통해 본 진·변한 정치체의 상호작용 – 대등 정치체 상호작용 모델(peer polity interaction model)의 적용 -" 한국상고사학회 65 (65): 75-105, 2009

      10 장기명, "경주지역 원삼국시대 분묘의 철기 부장유형과 위계" 경북대학교 대학원 2014

      11 이희준, "경주 황성동유적으로 본 서기전 1세기~서기 3세기 사로국" 신라문화연구소 38 : 137-186, 2011

      12 李 熙 濬, "경산 지역 고대 정치체의 성립과 변천" 영남고고학회 (34) : 2004

      13 이원태, "경북 지역 전기 와질토기의 변천과 지역성" 한국고고학회 (86) : 42-75, 2013

      14 李南珪, "韓半島 初期鐵器文化의 流入과 普及, 전환기의 고고학II" 1999

      15 李盛周, "辰·弁韓地域 墳墓 出土 1~4세기 土器의 編年" 24 : 1999

      16 孫明助, "辰·弁韓 鐵器의 初現과 展開, 辰·弁韓의 世界" 1998

      17 李盛周, "木棺墓에서 木槨墓로—蔚山 中山里遺蹟과 茶雲洞遺蹟에 대한 檢討—" 14 : 1997

      18 李在興, "慶州地域 木槨墓 硏究" 慶北大學校 2006

      19 安在皓, "慶州 隍城洞古墳群에 대하여—슬라이드 자료를 중심으로—" 12 : 1996

      20 宋桂鉉, "嶺南地域 初期鐵器文化의 受容과 展開, 영남지방의 초기철기문화" 2002

      21 權五榮, "三韓의 「國」에 대한 硏究" 서울大學校 1996

      22 Vandkilde, Helle, "Culture and change in central european prehistory" Aarhus university press 2007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3 평가예정 계속평가 신청대상 (등재유지)
      2018-01-01 평가 우수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1-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49 1.49 1.2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32 1.4 2.51 0.36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