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韓) 또는 마한(馬韓) 형성기 경기지역(서울 및 인천 포함)의 문화 양상을 검토하기 위해서는이보다 앞선 시기의 고조선 문화권(古朝鮮 文化圈)에 대해서 알아야 한다. 기원전 5~4세기의 원...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8428577
이형원 (한신대학교)
2022
Korean
마한 ; 삼한 ; 고조선 ; 점토대토기문화 ; 경기지역 ; 물질자료 ; 문헌 ; Mahan ; Samhan ; Gojoseon ; Clay-Stripe Pottery Culture ; Gyeonggi region ; Material culture ; Literature
KCI등재
학술저널
5-29(25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한(韓) 또는 마한(馬韓) 형성기 경기지역(서울 및 인천 포함)의 문화 양상을 검토하기 위해서는이보다 앞선 시기의 고조선 문화권(古朝鮮 文化圈)에 대해서 알아야 한다. 기원전 5~4세기의 원...
한(韓) 또는 마한(馬韓) 형성기 경기지역(서울 및 인천 포함)의 문화 양상을 검토하기 위해서는이보다 앞선 시기의 고조선 문화권(古朝鮮 文化圈)에 대해서 알아야 한다. 기원전 5~4세기의 원형점토대토기 시기인 청동기시대 후기는 고조선의 청동기문화와 밀접하게 관련된다. 이 시기의 남한지역은 고조선 문화권에 속하며 충청 및 전라지역은 청동 무기(武器)류와 의기(儀器)류를 무덤에부장하는 장제 문화를 통해서 수장 권력의 상징성이 확인되며, 경기지역은 종교적 의례공간인 환구의 축조 및 운영을 통해 수장(首長)의 권력이 발현되었다. 권력과 종교적 제의를 행사하는 방식에서 지역성이 반영된 것이다. 이 시기를 문헌상의 한이나 마한과 직접 연결시킬만한 근거를 찾기는어렵다.
기원전 3세기가 되면 경기지역을 비롯한 남한지역에 철기가 등장한다. 철기가 유입되는 시기부터원삼국시대 이전까지를 초기철기시대로 보는 입장에서는 원형점토대토기의 늦은 단계부터 삼각형점토대토기가 중심을 이루는 시기에 해당한다. 경기지역에서는 주조철기(鑄造鐵器)가 부장된 인천당하동유적을 비롯하여 인천 검암동, 평택 율북리, 평택 화양리유적 등에서 초기철기시대 분묘가확인되었다. 당하동의 경우는 원형점토대토기가, 검암동의 경우는 삼각형점토대토기가 공반되었으며, 오산 탑동과 김포 운양동유적에는 삼각형점토대토기 옹관묘가 존재한다. 생활유구는 수원 고색동, 서울 가락동, 천왕동, 화성 도이리, 이천 이치리 유적 등에서 주거지나 수혈, 구상유구 등이있다. 남한지역은 기원전 3~2세기에 고조선과 관련한 연계(燕系) 철기문화가 꽃을 피운다. 문헌에 등장하는 기원전 2~1세기의 마한과 삼한(三韓)의 물질문화는 기원전 3세기부터 시작되므로 이때를 마한 형성기로 볼 수 있다. 이 시기의 중심지는 완주 신풍유적과 갈동유적 등이 위치한 전라지역의 만경강유역이며, 중국 요령 및 서북한지역 철기문화의 남하 루트에서 가장 가까운 경기지역에 상대적으로 이른 시기의 철기문화가 정착했을 가능성이 높다. 경기 및 남한지역의 원형점토대토기와 삼각형점토대토기의 분포를 비교하면, 전자가 남한 전역에 분포하는 반면에 후자인 삼각형점토대토기는 강원을 제외한 경기·충청·전라·경상지역에서 확인된다. 남한에서 마한과 진한변한으로 구성된 삼한의 영역에 해당한다고 볼 수 있다. 한편 문헌사료(기원전 2~1세기)와 고고학 물질자료(기원전 3세기)의 접목을 통해서 볼 때 한 또는 마한의 형성기는 기원전 3~2세기대에 해당할 가능성이 높지만, 이 보다 앞선 기원전 5~4세기 단계를 어떻게 볼 것인지도 신중한 검토가 필요하다. 원형점토대토기문화에서 삼각형점토대토기문화로의 전환과정, 청동기문화에서 철기문화로의 전환과정, 고조선 중심지와 고조선문화권에 속하는 남한지역의 시기별 상호작용에 대한 진전된 연구를 통해서 이에 대한 해답을 찾을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