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북제 향당산석굴 불상대좌 연구(1) = On the Study of the Pedestals of the Buddha Statues of the North and South Xiangtangshan Caves in the Northern Qi Dynasty(1)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06743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paper focuses on the pedestals of Buddha statues, which, despite being the prerequisite element that constitutes a Buddha statue, did not receive the attention it deserved. It is an introductory type discussion that examines pedestals of Buddha statues and, through such examination, approaches the nature of culture that helped to create them, thus stressing the need for diverse ways of looking at Buddha statues. The study was conducted on a total of 171 pedestals inside the 10 caves of the North and South Xiangtangshan Caves, which consisted of the pedestals of 76 large statues residing in the innermost space and pedestals of 95 small statues residing in the space made on the inner/outside walls. In Chapter 2, the types of pedestals were categorized and analyzed. In order to study diversity of the types of pedestals, the kinds of styles used with addition of decorative elements, and the relationship that existed between the pedestals in the North Xiangtangshan caves, which was built first, and the pedestals in the South Xiangtangshan caves, which was built later, the shape of flat side, the method of combining the styles of early/middle/later period, the presence of lotus flower pattern, an the location and the number of support were used as a standard criteria and, moreover, the focus was in general placed on identifying overall structure and type of the pedestals. In chapter 3, based on the result of such analysis, the characteristics of the pedestals of the Xiangtangshan caves were studied.
      First, the share of round pedestals was higher than directional pedestal. Flat surface division gives more visual stability than directional shape and covers greater range of vision, making more surfaces to decorate available and, therefore, decoration becomes be more effective. Second, there is a more variety of number, types and locations in the round shape pedestals’ support.
      This is probably due to an attempt to amplify the grandeur of the buddha, which is mostly in sitting position, in a cave room with limited physical area. Third, diverse cultural elements exists in the atlas that support the upper structure and lotus flower pattern that belongs to the genus of Nymphaea, etc. The results suggested and confirmed another possibility for discussing Buddha statue. Although research on analysis of volume, posture and clothes wearing pattern is important, it is not the only way of understanding Buddha statue and,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broaden the horizon of looking at Buddha statue.
      번역하기

      This paper focuses on the pedestals of Buddha statues, which, despite being the prerequisite element that constitutes a Buddha statue, did not receive the attention it deserved. It is an introductory type discussion that examines pedestals of Buddha s...

      This paper focuses on the pedestals of Buddha statues, which, despite being the prerequisite element that constitutes a Buddha statue, did not receive the attention it deserved. It is an introductory type discussion that examines pedestals of Buddha statues and, through such examination, approaches the nature of culture that helped to create them, thus stressing the need for diverse ways of looking at Buddha statues. The study was conducted on a total of 171 pedestals inside the 10 caves of the North and South Xiangtangshan Caves, which consisted of the pedestals of 76 large statues residing in the innermost space and pedestals of 95 small statues residing in the space made on the inner/outside walls. In Chapter 2, the types of pedestals were categorized and analyzed. In order to study diversity of the types of pedestals, the kinds of styles used with addition of decorative elements, and the relationship that existed between the pedestals in the North Xiangtangshan caves, which was built first, and the pedestals in the South Xiangtangshan caves, which was built later, the shape of flat side, the method of combining the styles of early/middle/later period, the presence of lotus flower pattern, an the location and the number of support were used as a standard criteria and, moreover, the focus was in general placed on identifying overall structure and type of the pedestals. In chapter 3, based on the result of such analysis, the characteristics of the pedestals of the Xiangtangshan caves were studied.
      First, the share of round pedestals was higher than directional pedestal. Flat surface division gives more visual stability than directional shape and covers greater range of vision, making more surfaces to decorate available and, therefore, decoration becomes be more effective. Second, there is a more variety of number, types and locations in the round shape pedestals’ support.
      This is probably due to an attempt to amplify the grandeur of the buddha, which is mostly in sitting position, in a cave room with limited physical area. Third, diverse cultural elements exists in the atlas that support the upper structure and lotus flower pattern that belongs to the genus of Nymphaea, etc. The results suggested and confirmed another possibility for discussing Buddha statue. Although research on analysis of volume, posture and clothes wearing pattern is important, it is not the only way of understanding Buddha statue and,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broaden the horizon of looking at Buddha statue.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이 글은 불상의 필수 구성 요소임에도 불구하고 그 중요성에 비해 관심의 대상이 아니었던 대좌에 주목했다. 대좌 연구를 통해 불상 및 그것을 조성한 문화의 성격에 접근함으로써 궁극적으로는 불상을 바라보는 다양한 관점의 중요성을 강조하고자 한다. 연구대상은 남·북 향당산석굴의 10개 굴실 내 감실에 안치된 대형존상의 대좌 76점과 굴실 내외벽의 소감실에 안치된 소형상의 대좌 95점, 총 171점의 대좌이다. 2장에서는 향당산석굴 대좌를 분류·분석했다. 그 기준은 평면 형태, 상·중·하대의 조합 방식, 연화문의 유무, 받침이 표현되는 위치 및 개수이다. 문양은 종류나 조식된 위치 위주로 살펴 전체적인 구조·형식 파악에 초점을 맞췄다. 이러한 분석을 바탕으로 3장에서는 향당산석굴 대좌의 특징을 논구했는데, 첫째, 방형대좌보다 원형 대좌의 비중이 높다. 이런 경향은 원형이 방형보다 평면 분할에서 시각적인 안정감을 주고, 시야에 포착되는 범위가 방형보다 넓어 장식할 수 있는 面이 상대적으로 많고, 그로인해 같은 장식을 하더라도 더 효과적이기 때문이라 생각된다. 이러한 맥락에서 원형 대좌가 선호되는 가운데 둘째, 원형대좌에 층단형 받침이 다양하게 나타난다. 이것은 면적이 제한된 굴실에서 대부분 좌상인 불상을 높이 올려 위엄을 드높이기 위해 강구된 방책으로 보인다. 셋째, 상부 구조를 받치는 아틀라스, 睡蓮界 연화문 등에서 국제성이 확인된다. 특히 아틀라스와관련하여 간다라 불교미술에 나타나는 아틀라스의 실체를 실마리 삼아 그 연원에 접근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했다. 이러한 국제성은 한 가지 시각적 특징으로 계통화 할 수 없는 북제양식의 특성과 궤를 같이하는 것으로보여, 대좌를 통해서도 불상에 접근할 수 있는 가능성을 엿볼 수 있다.
      번역하기

      이 글은 불상의 필수 구성 요소임에도 불구하고 그 중요성에 비해 관심의 대상이 아니었던 대좌에 주목했다. 대좌 연구를 통해 불상 및 그것을 조성한 문화의 성격에 접근함으로써 궁극적으...

      이 글은 불상의 필수 구성 요소임에도 불구하고 그 중요성에 비해 관심의 대상이 아니었던 대좌에 주목했다. 대좌 연구를 통해 불상 및 그것을 조성한 문화의 성격에 접근함으로써 궁극적으로는 불상을 바라보는 다양한 관점의 중요성을 강조하고자 한다. 연구대상은 남·북 향당산석굴의 10개 굴실 내 감실에 안치된 대형존상의 대좌 76점과 굴실 내외벽의 소감실에 안치된 소형상의 대좌 95점, 총 171점의 대좌이다. 2장에서는 향당산석굴 대좌를 분류·분석했다. 그 기준은 평면 형태, 상·중·하대의 조합 방식, 연화문의 유무, 받침이 표현되는 위치 및 개수이다. 문양은 종류나 조식된 위치 위주로 살펴 전체적인 구조·형식 파악에 초점을 맞췄다. 이러한 분석을 바탕으로 3장에서는 향당산석굴 대좌의 특징을 논구했는데, 첫째, 방형대좌보다 원형 대좌의 비중이 높다. 이런 경향은 원형이 방형보다 평면 분할에서 시각적인 안정감을 주고, 시야에 포착되는 범위가 방형보다 넓어 장식할 수 있는 面이 상대적으로 많고, 그로인해 같은 장식을 하더라도 더 효과적이기 때문이라 생각된다. 이러한 맥락에서 원형 대좌가 선호되는 가운데 둘째, 원형대좌에 층단형 받침이 다양하게 나타난다. 이것은 면적이 제한된 굴실에서 대부분 좌상인 불상을 높이 올려 위엄을 드높이기 위해 강구된 방책으로 보인다. 셋째, 상부 구조를 받치는 아틀라스, 睡蓮界 연화문 등에서 국제성이 확인된다. 특히 아틀라스와관련하여 간다라 불교미술에 나타나는 아틀라스의 실체를 실마리 삼아 그 연원에 접근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했다. 이러한 국제성은 한 가지 시각적 특징으로 계통화 할 수 없는 북제양식의 특성과 궤를 같이하는 것으로보여, 대좌를 통해서도 불상에 접근할 수 있는 가능성을 엿볼 수 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조충현, "후한대 불탑 인식과 기원 문제" 단국대학교 2011

      2 김형효, "한국사상산고" 일지사 1976

      3 김화영, "한국불상 대좌형식의 연구Ⅱ: 석조대좌" 4 : 1970

      4 문명대, "천룡산석굴의 현황과 불상 양식의 연구" 197 : 1993

      5 정예경, "중국 불교조각사 연구" 혜안 1998

      6 김화영, "이홍직박사회갑기념한국사논총" 신구문화사 1969

      7 문명대, "원음과 고전미: 통일신라 불교조각사 연구 상" 예경 2003

      8 이해주, "삼국시대 불상의 미의식 연구" 학연문화사 2013

      9 소현숙, "북향당석굴 보주문 연구: 珠柱를 중심으로" 4 : 2006

      10 소현숙, "북향당 석굴 북동의 전륜성왕 상징" 한국미술사학회 255 (255): 126-133, 2007

      1 조충현, "후한대 불탑 인식과 기원 문제" 단국대학교 2011

      2 김형효, "한국사상산고" 일지사 1976

      3 김화영, "한국불상 대좌형식의 연구Ⅱ: 석조대좌" 4 : 1970

      4 문명대, "천룡산석굴의 현황과 불상 양식의 연구" 197 : 1993

      5 정예경, "중국 불교조각사 연구" 혜안 1998

      6 김화영, "이홍직박사회갑기념한국사논총" 신구문화사 1969

      7 문명대, "원음과 고전미: 통일신라 불교조각사 연구 상" 예경 2003

      8 이해주, "삼국시대 불상의 미의식 연구" 학연문화사 2013

      9 소현숙, "북향당석굴 보주문 연구: 珠柱를 중심으로" 4 : 2006

      10 소현숙, "북향당 석굴 북동의 전륜성왕 상징" 한국미술사학회 255 (255): 126-133, 2007

      11 A.야페, "미술과 상징" 열화당 1979

      12 임영애, "고대 불교조각의 生靈座, 형상과 그 의미" 중앙아시아학회 19 (19): 35-59, 2014

      13 이송란, "고구려 집안지역 묘주도 의자의 계보와 전개" 한국고대학회 (23) : 97-126, 2005

      14 曾布川寬, "響堂山石窟考" 62 : 1990

      15 문명대, "鞏縣·龍門石窟" 동국대학교불교학연구소 2001

      16 천득염, "雲岡石窟에 나타난 초기 중국불탑의 특징과 유형" 대한건축학회 22 (22): 103-110, 2006

      17 박경식, "隋·唐代의 佛塔硏究(Ⅱ)–亭閣型 塼造塔婆" 동양학연구원 53 (53): 145-169, 2013

      18 홍대한, "統一新羅 石佛臺座의 造形硏究 Ⅱ" 한국문화사학회 21 (21): 479-518, 2004

      19 주수완, "楊平출토 金銅佛立像 연구- 삼국시대 巨大佛像의 殘影들" 한국고대사탐구학회 (6) : 155-199, 2010

      20 劉建華, "四門塔阿閦佛興山同佛像藝術硏究" 中國文史出版社 2005

      21 岡田健, "北齊樣式の成立とその特徵" 159 : 1985

      22 소현숙, "北齊 皇室石窟과 睡蓮系 蓮花文 -北響堂石窟 北洞과 中洞 蓮花文의 淵源과 그 意味" 중국사학회 (79) : 1-33, 2012

      23 解金昌, "北魏王朝與雲岡石窟" 坪城北朝硏究會 1996

      24 李華春, "佛敎植物散策" 佛敎專業書局 1991

      25 長廣敏雄, "中國美術論集" 講談社 1984

      26 배진달, "中國石窟과 文化藝術 下" 경인문화사 1996

      27 龍門文物保管所, "中國石窟 龍門石窟 一·二" 文物出版社 2012

      28 張馭寰, "中國佛塔史" 科學出版社 2006

      29 水野淸一, "中國の彫刻"" 日本經濟新聞社 1959

      30 소현숙, "中國 南北朝時代 寶珠文 연구墓葬美術을 중심으로" 한국미술연구소 (24) : 63-95, 2007

      31 임영애, "‘삼단팔각’ 연화대좌의 통일신라 수용과 전개" 신라문화연구소 38 : 279-306, 2011

      32 Osvald Siren, "hinese Sculpture" Hacker Art Book 1925

      33 William Willetts, "The Foundations of Chinese Art" Thames and Hudson 1956

      34 Kurt A. Behrendt, "The Buddhist Architecture of Gandhara" Brill Academic Pub 2003

      35 Michael Sullivan, "The Art of China" California University Press 1984

      36 Laurence Sickman, "The Art and Architecture of China" The Pelican History of Art 1957

      37 Alexander Soper, "Imperial Cave-Capels of the Northern Dynasties: Donors, Beneficiaries, Dates" 28 (28): 1996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3-06-12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The Oriental Studies KCI등재
      2013-03-13 학회명변경 한글명 : 동양학연구소 -> 동양학연구원
      영문명 : Dankook University Institute of Oriental Studies -> Academy of Asian Studies, Dankook University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1-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7 0.7 0.6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64 0.63 1.457 0.16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