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대면.비대면 블렌디드 음악 학습에 대한 고등학생의 만족도와 인식 = A Study on the Satisfaction and Perception of High School Students on Blended Music Learning in Face-to-Face and Non-Face-to-Fac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86256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목적 본 연구는 코로나-19로 인한 대면⋅비대면 교육 환경에서 온⋅오프라인으로 혼합된 블렌디드 음악 학습에 대한 고등학생의 만족도와 인식을 알아보는 데 목적을 두었다. 방법 2020...

      목적 본 연구는 코로나-19로 인한 대면⋅비대면 교육 환경에서 온⋅오프라인으로 혼합된 블렌디드 음악 학습에 대한 고등학생의 만족도와 인식을 알아보는 데 목적을 두었다. 방법 2020학년도 1, 2학기 동안 블렌디드 음악 수업에 참여한 서울 소재 A고등학교 1학년 학생 143명을 대상으로 블렌디드 음악 학습에 대한 만족도 및 인식을 조사하였다. 만족도는 리커르트 척도의 7개 문항에 대해 문항별 응답수와 응답률을 분석하였고, 인식조사는 서술식 2개의 문항에 대한 응답을 귀납적 분석법에 따라 긍정적⋅부정적 인식으로 나누어 개념화한 후, 이를 학습 영역에 따라 범주화한 결과를 토대로 비교 분석하였다. 결과 블렌디드 음악 학습에 대한 학생 만족도는 대체로 높았으나, 상대적으로 대면⋅비대면의 혼합 등교 방식에 따른 수업 운영에 대한 만족도는 낮았다. 인식조사 결과는 음악 지식의 폭 확대, 다양한 음악 활동 유형, 자기 주도적 학습, 온라인 학습 환경 조성 등에 긍정적 인식을 보였다. 반면에, 학생 간 학습 공감대 형성의 어려움, 온라인 학습 도구 사용의 미숙함, 교사와의 소통과 피드백 문제 등에 관한 부정적 인식을 드러냈다. 결론 블렌디드 음악 학습에서는 학생과 학생, 학생과 교사 간의 원활한 피드백과 적극적인 소통이 요구되며, 블렌디드 음악 학습의 긍정적 효과를 활성화하고, 효율적인 블렌디드 음악 학습 방법을 모색함으로써 미래 음악 교육으로 성장해가는 토대를 마련해 나가야 할 것이다. 이 연구의 결과가 코로나-19 이후 효과적인 블렌디드 음악 교수학습 방안 개발과 적용에 관한 기초자료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satisfaction and perception of high school students for blended music learning mixed online and offline in face-to-face and non-face-to-face educational environments due to COVID-19. Methods ...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satisfaction and perception of high school students for blended music learning mixed online and offline in face-to-face and non-face-to-face educational environments due to COVID-19. Methods A satisfaction and perception survey was conducted on 143 first-year high school students in Seoul who participated in blended music classes in the first and second semesters of the 2020 academic year. The seven items of the Likert scale for the satisfaction survey were analyzed by the number of responses and the response rate for each item. In the perception survey of two descriptive items, the concepts of positive and negative perceptions were extracted according to an inductive method, and then comparatively analyzed based on the results of categorizing them into learning areas. Results As a result, student satisfaction with blended music learning was high, satisfaction with the operation of classes following face-to-face and non-face-to-face attendance was relatively low. In addition, as a result of the students perception on blended music learning, positive perceptions were shown by the expansion of music knowledge, diversification of music activity, self-directed learning, and online learning environment. On the other hand, it was found to have negative perceptions such as non-formation of learning consensus among students, immaturity in using online learning tools, and problems with communication and feedback with teachers. Conclusions Blended music learning requires smoother feedback and communication between students and students and between students and teachers. By activating the positive effects of blended music learning and finding an efficient blended music learning method, it is necessary to lay the foundation for future music education that will grow. It is expected that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be used as basic data for the development and effective application of blended music learning methods in high schools after COVID-19.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유수연, "효과적인 블렌디드 러닝을 위한 교사의 자질" 한국독일언어문학회 (87) : 91-110, 2020

      2 박주만, "코로나19에 따른 비대면 원격 음악수업에서 초등교사들이 겪은 어려움과 지원방안" 미래음악교육학회 6 (6): 91-112, 2021

      3 홍선주, "코로나19 이후 블렌디드 교육으로의 전환을 위한 기반 탐색: 교사 요구를 중심으로 [2020 KICE 이슈 페이퍼]"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20

      4 교육부, "코로나19 대응을 위한 2021학년도 원격수업 및 등교수업 출결⋅평가⋅기록 가이드라인(안)"

      5 이보경, "코로나 19로 인한 비대면 교양영어 수업의 학습자 반응에 관한 연구" 한국교양교육학회 14 (14): 97-112, 2020

      6 최은아, "초등학생을 위한 리코더 원격수업 방안" 한국음악교육공학회 (45) : 21-39, 2020

      7 김은주, "초등학교 음악 수업과 과정중심평가를 위한 블렌디드 러닝(Blended Learning) 수업 모형 개발" 한국음악교육공학회 (47) : 103-126, 2021

      8 김지현, "초등음악교사의 블렌디드 러닝(blended learning) 인식과 실행에 관한 사례 연구" 한국음악교육공학회 (46) : 153-168, 2021

      9 교육정책네트워크 정보센터, "원격수업과 학습격차 관련 통계"

      10 Graham, C. R, "온라인과 대면학습의 블렌디드 러닝-예비교사와 현직 교사를 위한 혼합수업 안내서" 내하출판사

      1 유수연, "효과적인 블렌디드 러닝을 위한 교사의 자질" 한국독일언어문학회 (87) : 91-110, 2020

      2 박주만, "코로나19에 따른 비대면 원격 음악수업에서 초등교사들이 겪은 어려움과 지원방안" 미래음악교육학회 6 (6): 91-112, 2021

      3 홍선주, "코로나19 이후 블렌디드 교육으로의 전환을 위한 기반 탐색: 교사 요구를 중심으로 [2020 KICE 이슈 페이퍼]"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20

      4 교육부, "코로나19 대응을 위한 2021학년도 원격수업 및 등교수업 출결⋅평가⋅기록 가이드라인(안)"

      5 이보경, "코로나 19로 인한 비대면 교양영어 수업의 학습자 반응에 관한 연구" 한국교양교육학회 14 (14): 97-112, 2020

      6 최은아, "초등학생을 위한 리코더 원격수업 방안" 한국음악교육공학회 (45) : 21-39, 2020

      7 김은주, "초등학교 음악 수업과 과정중심평가를 위한 블렌디드 러닝(Blended Learning) 수업 모형 개발" 한국음악교육공학회 (47) : 103-126, 2021

      8 김지현, "초등음악교사의 블렌디드 러닝(blended learning) 인식과 실행에 관한 사례 연구" 한국음악교육공학회 (46) : 153-168, 2021

      9 교육정책네트워크 정보센터, "원격수업과 학습격차 관련 통계"

      10 Graham, C. R, "온라인과 대면학습의 블렌디드 러닝-예비교사와 현직 교사를 위한 혼합수업 안내서" 내하출판사

      11 박영기, "순환 신경망 기반 언어 모델을 활용한 초등 영어 글쓰기 자동 평가" 한국정보교육학회 21 (21): 183-190, 2017

      12 송영수, "새로운 인재양성 패러다임과 Blended Learning 의 등장" 164 : 17-21, 2003

      13 임은정, "비대면 음악 온라인 원격 수업 실태 연구" 한국예술교육학회 18 (18): 165-184, 2020

      14 김하영, "비대면 음악 실기수업의 교육만족에 관한 연구" 한국문화융합학회 43 (43): 647-671, 2021

      15 강선영, "블렌디드 러닝을 적용한 고등학교 음악 감상 수업 설계: 클래식라이브쇼 프로젝트를 중심으로" 미래음악교육학회 6 (6): 137-159, 2021

      16 Stein, J., "블렌디드 러닝 : 이론과 실제" 한국문화사 2016

      17 Thorne, K., "블렌디드 러닝 : 온라인과 오프라인을 통합한 혼합교육" 학지사 2005

      18 김진영, "블렌디드 e- Education 수업에 대한 학습자와 교수들의 인식유형 비교: 학습문화형성 기여를 위한 탐색적 연구" 한국문화산업학회 11 (11): 191-211, 2011

      19 Staker, H., "블렌디드 : 학교 교육의 효과를 극대화하는온⋅오프라인의 결합" 에듀니티 2017

      20 Hatch, J. A, "교육 상황에서 질적 연구수행하기" 학지사 2008

      21 Montgomery, A. P., "Using learning analytics to explore self-regulated learning in flipped blended learning music teacher education" 50 (50): 114-127, 2019

      22 Hash, P. M., "Remote learning in school bands during the COVID-19 shutdown" 68 (68): 381-397, 2021

      23 Staker, H., "Classifying K-12 blended learning"

      24 김태영, "Changes in Learner (De)Motivation and Confidence: A Longitudinal Analysis of an Online-offline Blended English Program" 아시아테플 17 (17): 1236-1251, 2020

      25 계보경, "COVID-19에 따른 초중등학교 원격교육 경험 및 인식분석: 기초 통계 결과를 중심으로" 한국교육학술정보원 2020

      26 Clayton Christensen Institute, "Blended learning models"

      27 Solihati, N., "A Hybrid Classroom Instruction in Second Language Teacher Education(SLTE) : A Critical Reflection of Teacher Educators" 12 (12): 169-180, 2017

      28 교육부, "2021학년도 학사 및 교육과정 운영 지원방안"

      29 교육부 사이트, "2020년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 결과 및 학습 지원 강화를 위한 대응 전략 발표"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1-06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 The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29 1.29 1.3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37 1.42 1.436 0.3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