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한국인의 차별표현에 대한 인지도 변화 양상 = A Study on Changes in Koreans’ Awareness of Discriminatory Expression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974335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는 지난 14년간(2010년∼2024년) 한국어 화자들의 차별표현에 대한 인식이 어떻게 변화하였는지를 살펴본 것이다. 2010년에 실시한 선행 조사를 바탕으로 동일한 방법론을 적용하여, 대학생들이 일상적으로 사용되는 차별적 표현 10 개에 대해 어느 정도 차별성을 인지하고 있는지를 조사하였다. 해당 표현들은 성차별, 장애인 차별, 인종차별, 사회적 가치 차별의 네 범주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그 결과, ‘여승무원’, ‘장님’과 같은 성차별 및 장애인 차별표현에 대한 인식은 유의미하게 향상된 반면, ‘혼혈가수’, ‘결손가정’ 등 인종 및 사회 가치 관련 표현에 대한 인식은 미미하거나 오히려 낮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공적 담론과 정책적노력이 일부 영역에서는 성과를 거두었으나, 사회적 관심이나 저항이 부족한 영역에서는 여전히 개선이 더딘 현실을 반영한다. 본 연구는 특히 사회적 가시성이 낮은 차별표현에 대해 균형 잡힌 개선 노력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번역하기

      이 연구는 지난 14년간(2010년∼2024년) 한국어 화자들의 차별표현에 대한 인식이 어떻게 변화하였는지를 살펴본 것이다. 2010년에 실시한 선행 조사를 바탕으로 동일한 방법론을 적용하여, 대...

      이 연구는 지난 14년간(2010년∼2024년) 한국어 화자들의 차별표현에 대한 인식이 어떻게 변화하였는지를 살펴본 것이다. 2010년에 실시한 선행 조사를 바탕으로 동일한 방법론을 적용하여, 대학생들이 일상적으로 사용되는 차별적 표현 10 개에 대해 어느 정도 차별성을 인지하고 있는지를 조사하였다. 해당 표현들은 성차별, 장애인 차별, 인종차별, 사회적 가치 차별의 네 범주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그 결과, ‘여승무원’, ‘장님’과 같은 성차별 및 장애인 차별표현에 대한 인식은 유의미하게 향상된 반면, ‘혼혈가수’, ‘결손가정’ 등 인종 및 사회 가치 관련 표현에 대한 인식은 미미하거나 오히려 낮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공적 담론과 정책적노력이 일부 영역에서는 성과를 거두었으나, 사회적 관심이나 저항이 부족한 영역에서는 여전히 개선이 더딘 현실을 반영한다. 본 연구는 특히 사회적 가시성이 낮은 차별표현에 대해 균형 잡힌 개선 노력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examines the changes in Korean speakers’ awareness of discriminatory expressions over the past decade (2014–2024). Building upon a previous survey conducted in 2010, the research replicates the same methodology to assess current perceptions among university students regarding ten expressions commonly identified as discriminatory. The expressions are categorized into four areas: gender, disability, race, and social value discrimination. The findings reveal a significant increase in awareness of gender and disability-related discriminatory language, such as “female attendant” and “blind,” while expressions related to race and social values, such as “mixed-blood singer” and “broken family,” show either minimal change or decreased awareness. These results suggest that although public discourse and policy efforts have heightened sensitivity in certain areas, broader societal acceptance and resistance to change in others continue to limit progress. The study underscores the need for more balanced and inclusive education on discriminatory language, especially in areas lacking strong advocacy or social visibility.
      번역하기

      This study examines the changes in Korean speakers’ awareness of discriminatory expressions over the past decade (2014–2024). Building upon a previous survey conducted in 2010, the research replicates the same methodology to assess current percept...

      This study examines the changes in Korean speakers’ awareness of discriminatory expressions over the past decade (2014–2024). Building upon a previous survey conducted in 2010, the research replicates the same methodology to assess current perceptions among university students regarding ten expressions commonly identified as discriminatory. The expressions are categorized into four areas: gender, disability, race, and social value discrimination. The findings reveal a significant increase in awareness of gender and disability-related discriminatory language, such as “female attendant” and “blind,” while expressions related to race and social values, such as “mixed-blood singer” and “broken family,” show either minimal change or decreased awareness. These results suggest that although public discourse and policy efforts have heightened sensitivity in certain areas, broader societal acceptance and resistance to change in others continue to limit progress. The study underscores the need for more balanced and inclusive education on discriminatory language, especially in areas lacking strong advocacy or social visibility.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