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대학생의 진로자기이해, 진로자기효능감, 진로낙관성에 따른 잠재 프로파일 유형별 진로탐색행동과 진로준비행동의 차이 = Examining Differences in College Students' Career Behaviors Based on Career Self-Understanding, Self-Efficacy, and Optimism: A Latent Profile Analysi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923672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대학생의 진로자기이해, 진로자기효능감, 진로낙관성에 따른 잠재집단을 확인하고, 각 집단에 따라 진로탐색행동과 진로준비행동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

      본 연구는 대학생의 진로자기이해, 진로자기효능감, 진로낙관성에 따른 잠재집단을 확인하고, 각 집단에 따라 진로탐색행동과 진로준비행동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국내 4년제 대학교에 재학 중인 대학생 1,101명을 대상으로 잠재 프로파일 분석(LPA)을 실시한 결과, 총 4개의 집단이 도출되었다. 모든 영역에서 낮은 수준을 보인 ‘정체 집단’(3.9%), 모든 영역에서 보통 수준을 보인 ‘보통 집단’(34.5%), 모든 영역에서 보통 수준 중 높은 점수를 차지한 ‘성장 집단’(48.4%), 모든 영역에서 높은 수준을 보인 ‘선두 집단’(13.2%)으로 구분되었다. 이러한 잠재집단에 성별이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선두 집단’은 진로탐색행동과 진로준비행동의 모든 하위 영역에서 가장 높은 점수를 보였고 ‘성장 집단’, ‘보통 집단’, ‘정체 집단’ 순으로 높은 점수를 보였다. 마지막으로 집단 간 가장 큰 차이를 보이는 변인이 진로자기효능감이라는 결과는 대학생들의 진로탐색 및 진로준비행동을 촉진하기 위해 진로자기효능감이 중요하게 다루어져야 함을 시사한다. 본 연구는 진로자기이해, 진로낙관성, 진로자기효능감을 통합적으로 고려하여 집단 간 양상을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진로탐색행동과 진로준비행동 간의 관계를 파악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이러한 연구는 진로 행동 영역에 대한 후속 연구의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latent groups of university students based on career self-understanding, self-efficacy, and optimism, and to examine whether significant differences in career exploration and preparation behaviors exist across these groups...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latent groups of university students based on career self-understanding, self-efficacy, and optimism, and to examine whether significant differences in career exploration and preparation behaviors exist across these groups. A total of 1,101 students enrolled in four-year universities were recruited, and four groups were identified through latent profile analysis (LPA). The 'Stagnant Group' (3.9%) showed low levels across all areas, the 'Moderate Group' (34.5%) exhibited moderate levels, the 'Developmental Group' (48.4%) had higher-than-moderate levels, and the 'Leading Group' (13.2%) showed high levels in all areas. Gender was found to significantly influence membership in these latent groups. The 'Leading Group' had the highest scores in all sub-domains of career exploration and preparation behaviors, followed by the 'Developmental Group,' 'Moderate Group,' and 'Stagnant Group.' Finally, the results showed that career self-efficacy accounted for the largest differences among the groups, suggesting that interventions targeting career self efficacy could enhance career exploration and preparation behaviors among university students. This study is significant as it integrates career self-understanding, self-efficacy, and optimism to analyze group patterns and identify relationships between career exploration and preparation behaviors. It can serve as foundational data for future research on career behaviors.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