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권순구, "학습자의 학업성취, 동기, 수업참여에 대한 예측요인으로서의 교사-학생관계 교사효능감" 안암교육학회 22 (22): 265-299, 2016
2 김태연, "학생의 학업성취 관련 학교변인에 대한 메타분석" 17 (17): 44-65, 2013
3 임현정, "학생 학업성취 변화의 영향요인 탐색: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 세 시점 연계자료 분석" 한국교육평가학회 29 (29): 123-145, 2016
4 김미림, "학생 및 학교 수준 요인들이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교사의 지원 및 헌신이 관련 변수와 갖는 관계를 중심으로" 한국교육평가학회 28 (28): 1357-1380, 2015
5 김성식, "학교특성에 따른 사교육 참여와 효과 차이 분석" 한국교육평가학회 26 (26): 1187-1215, 2013
6 김석우, "학교장의 학교운영이 학업성취도 및 학교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분석" 한국교육평가학회 28 (28): 141-162, 2015
7 정예화, "초·중·고등학생의 학업성취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한국교육행정학회 35 (35): 1-20, 2017
8 박선화, "초·중·고등학교 학생의 수학에 대한 태도 특성 및 영향 요인" 대한수학교육학회 13 (13): 697-716, 2011
9 박소영, "청소년의 학업성취와 삶의 만족도 잠재프로파일 유형 분류 및 영향요인 검증" 한국열린교육학회 28 (28): 47-72, 2020
10 신현숙, "중, 고등학교 교사가 지각한 학교상담 실태와 학교심리학 서비스의 필요성" 1 (1): 53-77, 2004
1 권순구, "학습자의 학업성취, 동기, 수업참여에 대한 예측요인으로서의 교사-학생관계 교사효능감" 안암교육학회 22 (22): 265-299, 2016
2 김태연, "학생의 학업성취 관련 학교변인에 대한 메타분석" 17 (17): 44-65, 2013
3 임현정, "학생 학업성취 변화의 영향요인 탐색: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 세 시점 연계자료 분석" 한국교육평가학회 29 (29): 123-145, 2016
4 김미림, "학생 및 학교 수준 요인들이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교사의 지원 및 헌신이 관련 변수와 갖는 관계를 중심으로" 한국교육평가학회 28 (28): 1357-1380, 2015
5 김성식, "학교특성에 따른 사교육 참여와 효과 차이 분석" 한국교육평가학회 26 (26): 1187-1215, 2013
6 김석우, "학교장의 학교운영이 학업성취도 및 학교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분석" 한국교육평가학회 28 (28): 141-162, 2015
7 정예화, "초·중·고등학생의 학업성취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한국교육행정학회 35 (35): 1-20, 2017
8 박선화, "초·중·고등학교 학생의 수학에 대한 태도 특성 및 영향 요인" 대한수학교육학회 13 (13): 697-716, 2011
9 박소영, "청소년의 학업성취와 삶의 만족도 잠재프로파일 유형 분류 및 영향요인 검증" 한국열린교육학회 28 (28): 47-72, 2020
10 신현숙, "중, 고등학교 교사가 지각한 학교상담 실태와 학교심리학 서비스의 필요성" 1 (1): 53-77, 2004
11 이금주, "자녀교육에 대한 학부모의 목표지향성과 자녀의 학업소진의 관계: 자녀의 내․외재적 동기의 매개효과" 한국교육학회 54 (54): 151-176, 2016
12 박성익, "자기조절학습능력 수준별 및 문제해결학습단계별 자기조절학습전략 활용행태 분석" 교육연구소 6 (6): 129-159, 2005
13 한정윤, "온라인 소프트웨어 교육에서 학습자의 자기조절학습 관련 특성에 기반한 온라인 학습 유형 분석: 계층적 군집 분석 기법을 활용하여" 한국컴퓨터교육학회 22 (22): 51-65, 2019
14 정혜경, "영어 사교육 정도가 성취도에 미치는 인과효과 추정 연구" 한국교육개발원 44 (44): 123-146, 2017
15 김경근, "서울시 중고등학생의 학업성취 영향요인 및 그 함의" 한국교육사회학회 24 (24): 1-29, 2014
16 홍순상, "사교육 경험과 EBS 방송 시청이 수학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실증연구" 한국학교수학회 19 (19): 123-151, 2016
17 홍순상, "사교육 경험과 EBS 방송 시청이 수학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실증연구" 공주대학교 대학원 2016
18 김태은, "느린 학습자 선별을 위한 체크리스트 개발"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20
19 임현정,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 종단자료에 기반한 학업성취 변화 유형의 판별요인 탐색" 한국교육평가학회 30 (30): 1-27, 2017
20 시기자,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 결과에 기반한 학교 향상도 변화 추이" 한국교육과정평가원 19 (19): 199-220, 2016
21 임의진,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 결과에 기반한 고등학생 학업성취도 영향요인 및 격차 탐색" 한국교육평가학회 31 (31): 125-153, 2018
22 남창우, "고등학생의 학업성취도에 영향을 미치는 학교 교육 활동 변인 탐색" 한국열린교육학회 23 (23): 1-18, 2015
23 길혜지, "고등학생의 EBS 수능강의 수강 효과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2014
24 Van Buuren, S., "mice : Multivariate imputation by chained equations in R" 45 (45): 1-67, 2011
25 Pedregosa, F., "Scikit-learn: Machine Learning in Python" 12 : 2825-2830, 2011
26 Breiman, L., "Random forests" 45 (45): 5-32, 2001
27 구자옥, "PISA 2012 상위국 남녀학생의 과학 성취에 미치는 교육맥락변인 영향력 분석" 한국교육평가학회 28 (28): 1381-1400, 2015
28 송미영, "PISA 2012 결과에 나타난 성별에 따른 학업성취 영향요인 비교" 교육과학연구소 46 (46): 99-122, 2015
29 Mohammadpour, E., "Multilevel modeling of science achievement in the TIMSS participating countries" 108 (108): 449-464, 2015
30 Hajjem, A., "Mixed-effects random forest for clustered data" 84 (84): 1313-1328, 2014
31 백순근, "EBS 강의가 고등학생의 교과별 사교육비와 영역별 수능 성적에 미치는 영향" 교육연구소 14 (14): 137-162, 2013
32 Beese, J., "Do resources matter? PISA science achievement comparisons between students in the United States, Canada and Finland" 13 (13): 266-279, 2010
33 Lehmann, T., "Cognitive, metacognitive and motivational perspectives on preflection in self-regulated online learning" 32 : 313-323, 2014
34 Liaw, A., "Classification and regression by randomForest" 2 (2): 18-22, 2002
35 통계청, "2020년 초중고사교육비조사 결과"
36 교육부, "2020년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 결과 및 학습 지원 강화를 위한 대응 전략 발표"
37 서민희, "2019년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 결과"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20
38 교육부, "2018년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 결과 발표보도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