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치매노인을 돌보는 주가족 간호자의 부담감과 간호만족감: 문화적, 비문화적 요인 = The Burden and Caregiving Satisfaction of Primary Family Caregivers of Older Adults with Dementia: Cultural and Non-Cultural Predictor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23726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burden and caregiving satisfaction of primary family caregivers of older adults with dementia, and to identify cultural predictors and non-cultural predictors of burden and caregiving satisfaction. This study included 112 primary family caregivers of community-dwelling older adults with dementia who utilized 13 dementia day care centers in Seoul or Gyeonggi-do. Data were collected by survey questionnaires. The majority of the primary caregivers were female (81%) and daughters-in-law (46%). The mean burden score was 49.4 and the mean caregiving safisfaction score was 42.3. Regression analyses revealed that the significant predictors of primary caregivers' burden were the non-cultural factors of caregiver's perceived health (β= .421, p= .049) and care recipient's memory and behavioral problems (β= .183, p= .041). The cultural factor of familism (β= .466, p= .005) was the only significant predictor of caregiving satisfaction. There is more need to develop programs which improve caregiver's burden and caregiving satisfaction. Strategies to increase caregiver's utilization of the programs also need to be developed.
      번역하기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burden and caregiving satisfaction of primary family caregivers of older adults with dementia, and to identify cultural predictors and non-cultural predictors of burden and caregiving satisfaction. This stu...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burden and caregiving satisfaction of primary family caregivers of older adults with dementia, and to identify cultural predictors and non-cultural predictors of burden and caregiving satisfaction. This study included 112 primary family caregivers of community-dwelling older adults with dementia who utilized 13 dementia day care centers in Seoul or Gyeonggi-do. Data were collected by survey questionnaires. The majority of the primary caregivers were female (81%) and daughters-in-law (46%). The mean burden score was 49.4 and the mean caregiving safisfaction score was 42.3. Regression analyses revealed that the significant predictors of primary caregivers' burden were the non-cultural factors of caregiver's perceived health (β= .421, p= .049) and care recipient's memory and behavioral problems (β= .183, p= .041). The cultural factor of familism (β= .466, p= .005) was the only significant predictor of caregiving satisfaction. There is more need to develop programs which improve caregiver's burden and caregiving satisfaction. Strategies to increase caregiver's utilization of the programs also need to be developed.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치매노인을 돌보는 주가족 간호자의 부담감과 간호만족감 정도를 파악하고, 부담감과 간호만족감에 영향을 미치는 문화적, 비문화적 요인을 규명하는 것이다. 본 연구의 대상자는 서울 및 경기도 소재 13개 치매주간보호센터를 이용하는 치매노인을 가정에서 돌보고 있는 주가족 간호자 112명 이었으며, 설문지 조사를 통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주가족 간호자의 81%가 여성이었고, 관계별로는 며느리(46%)가 가장 많았다. 주가족 간호자가 느끼는 부담감 평균점수는 49.4 이었으며, 간호만족감 평균점수는 42.3 이었다. 주가족 간호자의 부담감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비문화적 요인들인 간호자의 건강상태(β= .421, p= .049)와 치매노인의 기억 및 행동문제(β= .183, p= .041)로 나타났다. 간호만족감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문화적 요인인 가족주의(β= .466, p= .005)로 나타났다. 치매노인 가족 간호자들의 부담감을 감소시키고 간호만족감을 증진시키기 위한 서비스 프로그램들의 개발과 활용 방안이 마련될 필요가 있다.
      번역하기

      본 연구의 목적은 치매노인을 돌보는 주가족 간호자의 부담감과 간호만족감 정도를 파악하고, 부담감과 간호만족감에 영향을 미치는 문화적, 비문화적 요인을 규명하는 것이다. 본 연구의 ...

      본 연구의 목적은 치매노인을 돌보는 주가족 간호자의 부담감과 간호만족감 정도를 파악하고, 부담감과 간호만족감에 영향을 미치는 문화적, 비문화적 요인을 규명하는 것이다. 본 연구의 대상자는 서울 및 경기도 소재 13개 치매주간보호센터를 이용하는 치매노인을 가정에서 돌보고 있는 주가족 간호자 112명 이었으며, 설문지 조사를 통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주가족 간호자의 81%가 여성이었고, 관계별로는 며느리(46%)가 가장 많았다. 주가족 간호자가 느끼는 부담감 평균점수는 49.4 이었으며, 간호만족감 평균점수는 42.3 이었다. 주가족 간호자의 부담감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비문화적 요인들인 간호자의 건강상태(β= .421, p= .049)와 치매노인의 기억 및 행동문제(β= .183, p= .041)로 나타났다. 간호만족감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문화적 요인인 가족주의(β= .466, p= .005)로 나타났다. 치매노인 가족 간호자들의 부담감을 감소시키고 간호만족감을 증진시키기 위한 서비스 프로그램들의 개발과 활용 방안이 마련될 필요가 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민홍, ""한국형 기억 및 행동문제 개정점검표(Korean Version of the Revised Memory and Behavioral Problems Checklist: K-RMBPC)”의 타당화를 위한 탐색적 연구" 한국사회복지학회 59 (59): 65-88, 2007

      2 김재민, "치매환자 부양자의 부양부담 결정인자" 대한신경정신의학회 40 (40): 1106-1113, 2001

      3 김윤정, "치매노인의 장애기간과 부양자의 대처자원이 부양자의 부담 및 부양만족감에 미치는 영향" 13 (13): 63-83, 1993

      4 정은주, "치매노인 주부양자에 대한 사회적 지지가 부양부담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2002

      5 박의현, "치매노인 주부양자가 인식하는 가족 건강성이 부양부담에 미치는 영향" 충남대학교 대학원 2005

      6 길연주, "치매노인 재가복지서비스 이용 주부양자의 부양부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2004

      7 이애숙, "치매노인 부양자의 부양부담에 관한 인식 및 태도" 영남대학교 환경대학원 2003

      8 마범순, "치매노인 부양자의 부양부담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1999

      9 이윤로, "치매노인 부양부담에 영향을 주는 요인에 관한 연구" 2 : 108-124, 1995

      10 조명희, "치매노인 부양가족의 부양부담과 개선방안" 9 : 33-65, 2000

      1 이민홍, ""한국형 기억 및 행동문제 개정점검표(Korean Version of the Revised Memory and Behavioral Problems Checklist: K-RMBPC)”의 타당화를 위한 탐색적 연구" 한국사회복지학회 59 (59): 65-88, 2007

      2 김재민, "치매환자 부양자의 부양부담 결정인자" 대한신경정신의학회 40 (40): 1106-1113, 2001

      3 김윤정, "치매노인의 장애기간과 부양자의 대처자원이 부양자의 부담 및 부양만족감에 미치는 영향" 13 (13): 63-83, 1993

      4 정은주, "치매노인 주부양자에 대한 사회적 지지가 부양부담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2002

      5 박의현, "치매노인 주부양자가 인식하는 가족 건강성이 부양부담에 미치는 영향" 충남대학교 대학원 2005

      6 길연주, "치매노인 재가복지서비스 이용 주부양자의 부양부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2004

      7 이애숙, "치매노인 부양자의 부양부담에 관한 인식 및 태도" 영남대학교 환경대학원 2003

      8 마범순, "치매노인 부양자의 부양부담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1999

      9 이윤로, "치매노인 부양부담에 영향을 주는 요인에 관한 연구" 2 : 108-124, 1995

      10 조명희, "치매노인 부양가족의 부양부담과 개선방안" 9 : 33-65, 2000

      11 이은희, "치매노인 부양가족원의 부양부담에 관한 연구" 1 (1): 211-239, 1998

      12 김희경, "치매노인 및 정상노인부양자가 지각하는 심리적 부담의 비교" 5 : 107-129, 1996

      13 김병희, "치매노인 가족간호자의 사회적 지지와 부담감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보건대학원 1999

      14 서문자, "재활기능 측정도구" 정문각 166-167, 2001

      15 서현아, "입원노인과 일반노인의 우울정도와 사회적 지지의 비교" 23 (23): 179-190, 1996

      16 윤가현, "노인성 치매환자의 주 부양자가 기각하는 심리적 부담 및 부양의무감의 비교 문화적 연구" 18 (18): 75-90, 1998

      17 이은희, "가족기능이 재가치매노인 주부양자의 부양부담에 미치는 영향연구" 19 (19): 173-197, 2003

      18 Son, G. R., "Translation and validation of caregiving satisfaction scale into Korean" 22 (22): 609-622, 2000

      19 Kim, S. Y.,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version of Lawton IADL index" 9 (9): 23-29, 2005

      20 Strawbridge, W., "The effects of social factors on adult children caring for older parents" University of Washington 1991

      21 Brandt, P. A., "The PRQ-A social support measure" 30 (30): 277-280, 1981

      22 Eun-Hi Kong, "The Influence of Culture on the Experiences of Korean, Korean American, and Caucasian - American Family Caregivers of Frail Older Adults: A Literature Review" 한국간호과학회 37 (37): 213-220, 2007

      23 Narayan, S., "Subjective responses to caregiving for a spouse with dementia" 27 (27): 19-28, 2001

      24 Katz, S., "Studies of illness and the aged. The index of ADL: A standardized measure of biological and psychosocial function" 185 : 914-919, 1963

      25 Chenier, M. C., "Review and analysis of caregiver burden and nursing home placement" 18 (18): 121-126, 1997

      26 Zarit, S. H., "Relatives of the Impaired Elderly: Correlates of feelings of Burden" 20 (20): 649-655, 1980

      27 Janevic, M. R., "Racial, ethnic, and cultural differences in the dementia caregiving experience: Recent findings" 41 (41): 334-347, 2001

      28 Connell, C. M., "Racial, ethnic, and cultural differences in dementia caregiving: Review and analysis" 37 (37): 355-364, 1997

      29 Yoon, E., "Psychometric properties of the Korean version of the Zarit Burden Intervew (K-ZBI):Preliminary analyses"

      30 Plassman, B. L., "Prevalence of dementia in the United States: The aging, demographics, and memory study" 29 : 125-132, 2007

      31 Harwood, D. G., "Predictors of positive and negative appraisal among Cuban American caregivers of Alzheimer's disease patients" 15 (15): 481-487, 2000

      32 Clyburn, L. D., "Predicting caregiver burden and depression in Alzheimer's disease" 55B (55B): S2-S13, 2000

      33 Clark, C. M., "Performance of the dementia severity rating scale: A caregiver questionnaire for rating severity in Alzheimer disease" 10 (10): 31-39, 1996

      34 Lee, H., "Learning from other lands: Caring for elderly demented Koreans" 23 (23): 21-31, 1997

      35 Son, G. R., "Korean adult child caregivers of older adults with dementia" 29 (29): 19-28, 2003

      36 Rymer, S., "Impaired awareness, behavior disturbance, and caregiver burden in Alzheimer disease" 16 (16): 248-253, 2002

      37 Andren, S., "Family caregivers' subjective experiences of satisfaction in dementia care: Aspects of burden, subjective health, and sense of coherence" 19 (19): 157-168, 2005

      38 Lee, H., "Experience of caregiving daughters- in-law in South Korea" University of Georgia 2002

      39 Youn, G., "Differences in familism values and caregiving outcomes among Korean, Korean American, and White American dementia caregivers" 14 (14): 355-364, 1999

      40 Lee, Y., "Cultural influences on caregiving burden: Cases of Koreans and Americans" 46 (46): 125-141, 1998

      41 Lee, Y., "Cultural differences in caregiving motivations for demented parents: Korean caregivers versus American caregivers" 44 (44): 115-127, 1997

      42 Kim, J., "Cultural and noncultural predictors of health outcomes in Korean daughter and daughter-in-law caregivers" 20 (20): 111-119, 2003

      43 Gilley, D. W., "Caregiver psychological adjustment and institutionalization of persons with Alzheimer's disease" 17 (17): 172-189, 2005

      44 Lee, M., "Caregiver burden, dementia, and elder abuse in South Korea" 17 (17): 61-74, 2005

      45 Etters, L., "Caregiver burden among dementia patient caregivers: A review of the literature" 20 (20): 423-428, 2008

      46 Coen, R. F., "Behaviour disturbance and other predictors of carer burden in Alzheimer's disease" 12 (12): 331-336, 1997

      47 Lawton, M. P., "Assessment of older people: Self-maintaining and instrumental activities of daily living" 9 (9): 179-186, 1969

      48 Teri, L., "Assessment of behavioral problems in dementia: The revised memory and behavior problems checklist" 7 (7): 622-631, 1992

      49 Black, W., "A systematic review of the association between the behavioral and psychological symptoms of dementia and burden of care" 16 (16): 295-315, 2004

      50 Bardis, P. D., "A familism scale" 340-341, 1959

      51 한국보건사회연구원, "<표3-2-20> 추정치매 노인수 - 연령별: 1995~2020. 치매관리 Mapping 개발연구"

      52 통계청, "2008 고령자 통계"

      53 Alzheimer’s Association(AA), "2008 Alzheimer’s disease facts and figures.1-2"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0-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34 1.34 1.72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84 2.08 2.242 0.19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