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아리스토텔레스의 선택개념 = The Concept of Aristotle's prohairesi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6011547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논문의 목적은 아리스토텔레스의 선택개념을 해명하는 것이다. 아리스토텔레스의 설명에 따르면, 선택은 비이성적 요소인 욕구와 이성적 요소인 심사숙고의 결합이라는 이중구조를 가지고 있다. 좋은 선택은 올바른 이성과 올바른 욕구의 결합이며, 이것은 성취되어야 할 목적에 대한 파악과 그 목적을 성취하도록 하는 수단에 대한 파악을 논리적으로 함의한다. 아리스토텔레스는 선택이 본질적으로 이중적이며 또 영혼의 이성적 부분과 비이성적 부분 둘 다의 활동의 결과이기 때문에 이성 혹은 욕구 중의 어느 하나라도 바르지 못하면 선택도 잘못된다는 것을 보여 주고 있다. 아리스토텔레스는 '프로하이레시스'라는 그리스어를 당시의 통상적인 의미로부터 전문적인 철학어휘로 승격시키는 가운데 윤리적으로 중립적인 단순한 행동이 아니라 도덕적 평가의 대상이 되는 행동, 다시 말해서 그 자체 본질적인 도덕적 가치를 가지며 도덕적 책임의 소재가 될 수 있는 행동의 의미를 매우 정밀하게 규정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의지의 개념은, 아리스토텔레스 이후 11세기라는 오랜 동안의 철학적 반성이 있은 다음에야 즉 아우구스티누스에 와서야 비로소 고안되었다고 알려져 있다. 물론 아리스토텔레스의 어떤 표현도 '의지의 자유'라는 표현에 상응하지 않는 것은 사실이다. 그러나 칭찬과 비난은 인간이 선택한 행동에 국한된다는 아리스토텔레스의 통찰은 선택의 개념 안에서 의지의 개념이 싹트고 있었다는 것을 뒷받침해준다.
      번역하기

      본 논문의 목적은 아리스토텔레스의 선택개념을 해명하는 것이다. 아리스토텔레스의 설명에 따르면, 선택은 비이성적 요소인 욕구와 이성적 요소인 심사숙고의 결합이라는 이중구조를 가...

      본 논문의 목적은 아리스토텔레스의 선택개념을 해명하는 것이다. 아리스토텔레스의 설명에 따르면, 선택은 비이성적 요소인 욕구와 이성적 요소인 심사숙고의 결합이라는 이중구조를 가지고 있다. 좋은 선택은 올바른 이성과 올바른 욕구의 결합이며, 이것은 성취되어야 할 목적에 대한 파악과 그 목적을 성취하도록 하는 수단에 대한 파악을 논리적으로 함의한다. 아리스토텔레스는 선택이 본질적으로 이중적이며 또 영혼의 이성적 부분과 비이성적 부분 둘 다의 활동의 결과이기 때문에 이성 혹은 욕구 중의 어느 하나라도 바르지 못하면 선택도 잘못된다는 것을 보여 주고 있다. 아리스토텔레스는 '프로하이레시스'라는 그리스어를 당시의 통상적인 의미로부터 전문적인 철학어휘로 승격시키는 가운데 윤리적으로 중립적인 단순한 행동이 아니라 도덕적 평가의 대상이 되는 행동, 다시 말해서 그 자체 본질적인 도덕적 가치를 가지며 도덕적 책임의 소재가 될 수 있는 행동의 의미를 매우 정밀하게 규정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의지의 개념은, 아리스토텔레스 이후 11세기라는 오랜 동안의 철학적 반성이 있은 다음에야 즉 아우구스티누스에 와서야 비로소 고안되었다고 알려져 있다. 물론 아리스토텔레스의 어떤 표현도 '의지의 자유'라는 표현에 상응하지 않는 것은 사실이다. 그러나 칭찬과 비난은 인간이 선택한 행동에 국한된다는 아리스토텔레스의 통찰은 선택의 개념 안에서 의지의 개념이 싹트고 있었다는 것을 뒷받침해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aim of this paper is to clarify the concept of Aristotle's prohairesis(choice). According to Aristotle, prohairesis is composed of orexis(desire) and bouleusis(deliberation). Orexis is irrational element and bouleusis is rational element. A good prohairesis is composed of right reason and right desire. This implies that not only the grasp of aim should be right but also grasp of means should be right. Aristotle argues that prohairesis is not right if either reason or desire is not right. Because prohairesis is both activity of irrational soul and rational soul.
      Aristotle very accurately defines the concept of praxis(chosen action), raising the status of prohairesis from the ordinary meaning to the philosophical vocabulary. Only the praxis have the moral value and we should ask moral responsibility only for the praxis. It is generally admitted that the concept of the will is conceived by Augustin. But Aristotle's insight that we can praise and blame only for the praxis supports the contention that the concept of the will spring up in the concept of Aristotle's prohairesis.
      번역하기

      The aim of this paper is to clarify the concept of Aristotle's prohairesis(choice). According to Aristotle, prohairesis is composed of orexis(desire) and bouleusis(deliberation). Orexis is irrational element and bouleusis is rational element. A good p...

      The aim of this paper is to clarify the concept of Aristotle's prohairesis(choice). According to Aristotle, prohairesis is composed of orexis(desire) and bouleusis(deliberation). Orexis is irrational element and bouleusis is rational element. A good prohairesis is composed of right reason and right desire. This implies that not only the grasp of aim should be right but also grasp of means should be right. Aristotle argues that prohairesis is not right if either reason or desire is not right. Because prohairesis is both activity of irrational soul and rational soul.
      Aristotle very accurately defines the concept of praxis(chosen action), raising the status of prohairesis from the ordinary meaning to the philosophical vocabulary. Only the praxis have the moral value and we should ask moral responsibility only for the praxis. It is generally admitted that the concept of the will is conceived by Augustin. But Aristotle's insight that we can praise and blame only for the praxis supports the contention that the concept of the will spring up in the concept of Aristotle's prohairesis.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박성호, "아리스토텔레스의 쾌락 개념" 새한철학회 21 : 2000

      2 전재원, "아리스토텔레스와 최고선" 새한철학회 1 (1): 349-363, 2009

      3 전재원, "아리스토텔레스와 면책조건" 대한철학회 59 : 1997

      4 이상봉, "서양 고대 철학에서의 판타시아 개념" 새한철학회 3 (3): 265-294, 2003

      5 W. D. Ross, "The Works of Aristotle" Clarendon Press 1966

      6 Aristotle, "The Nichomachean Ethics" Greenwood Press 1952

      7 Jonathan Barnes, "The Cambridge Companion to Aristot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5

      8 Cooper, J. M., "Reason and Human Good in Aristotle" Harvard University Press 1977

      9 Aristoteles, "Nikomachische Ethik, Auf der Grundlage der Übersetzung von E. Rolfes herausgegeben von G. Bien" Felex Meiner Verlag 1972

      10 Aristotle, "Nicomachean Ethics(Book Six), Greek text edited with essays"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09

      1 박성호, "아리스토텔레스의 쾌락 개념" 새한철학회 21 : 2000

      2 전재원, "아리스토텔레스와 최고선" 새한철학회 1 (1): 349-363, 2009

      3 전재원, "아리스토텔레스와 면책조건" 대한철학회 59 : 1997

      4 이상봉, "서양 고대 철학에서의 판타시아 개념" 새한철학회 3 (3): 265-294, 2003

      5 W. D. Ross, "The Works of Aristotle" Clarendon Press 1966

      6 Aristotle, "The Nichomachean Ethics" Greenwood Press 1952

      7 Jonathan Barnes, "The Cambridge Companion to Aristot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5

      8 Cooper, J. M., "Reason and Human Good in Aristotle" Harvard University Press 1977

      9 Aristoteles, "Nikomachische Ethik, Auf der Grundlage der Übersetzung von E. Rolfes herausgegeben von G. Bien" Felex Meiner Verlag 1972

      10 Aristotle, "Nicomachean Ethics(Book Six), Greek text edited with essays"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09

      11 Bonitz, H, "Index Aristotelicus" Wissenschaftliche Buchgesellschaft 1955

      12 Liddell, H. G, "Greek-English Lexicon" Clarendon Press 1968

      13 The Ethics of Aristotle, "Greek text edited with an introduction and notes" Methuen & Co 1900

      14 Aristotelis, "Ethica Nicomachea, Greek text, In Recognovit brevique adnotatione critica instruxit" Oxford University Press 1894

      15 Kappes, M., "Erklärung der philosophischen termini technici des Aristoteles in alphabetischer Reihenfolge" Druck und Verlag von Ferdinand Schöningh 1894

      16 Düring, I., "Darstellung und Interpretation seines Denkens" Carl Winter Universitätsverlag 1966

      17 Kenny, A, "Aristotle's Theory of the Will" Yale University Press 1979

      18 Hardie, W. F. R., "Aristotle's Ethical Theory" Clarendon Press 1968

      19 Furley, D. J, "Aristotle on the Voluntary, In Articles on Aristotle Vol. 2" Gerald Duckworth 47-60, 1977

      20 Ross, W. D, "Aristotle" Methuen & Co 1971

      21 Aristotle's Metaphysics, "A Revised Greek text with introduction" Clarendon Press 1924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2차) KCI등재후보
      200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1-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75 0.75 0.6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68 0.68 1.432 0.3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