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고구려 남부전선 주둔부대의 생활상 = 한강유역의 고구려 보루를 통해서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8245558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한강유역에서 확인되는 고구려 보루는 군사적 기능이 극대화된 군사시설로서 동시기 백제와 신라, 중국 왕조 등 주변 국가에서 유례를 찾아보기 힘든 형태의 관방시설이다. 이러한 보루는 ...

      한강유역에서 확인되는 고구려 보루는 군사적 기능이 극대화된 군사시설로서 동시기 백제와 신라, 중국 왕조 등 주변 국가에서 유례를 찾아보기 힘든 형태의 관방시설이다. 이러한 보루는 고구려 내에서도 한강유역을 중심으로 형성된 남부전선만의 특수한 군사전략에 의해 구축ㆍ운영되었으며, 중앙에서 파견된 수천 명의 상비군이 주둔하였다.
      각 보루에는 창수, 궁수, 부월수, 환도수 등으로 구성된 10~100명 단위의 보병부대가 주둔했으며, 주로 한강 이남의 백제ㆍ신라에 대한 감시와 통제 및 국지전 등의 임무를 수행하였다. 하지만 보루의 주둔군이 常備軍이라 하더라도 매일 군사업무만 수행했던 것은 아니었다.
      그들은 전투가 없는 시기에 교육ㆍ훈련을 통해 전투력을 유지ㆍ증진시켰으며, 자체적으로 수렵 및 어로 활동을 통해 식량을 공급하기도 하고, 성벽 및 건물지 등을 증ㆍ보축하기도 했다. 이러한 주둔군의 의식주 생활 일부를 보루에서 출토된 다양한 토기와 철기 및 토제품, 보루 내의 건물지, 성벽, 내부시설 등을 통해 살펴볼 수 있다.
      한편, 고구려의 남부전선에는 대규모 성곽이 없는 대신 소규모 관방시설인 보루를 중심으로 하는 방어체계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주둔군의 성격이나 편제는 물론이고, 지휘체계나 보급체계 역시 다른 전선과 달랐음을 어렵지 않게 짐작할 수 있다. 보루라는 관방시설 자체가 전투를 주목적으로 하는 군사시설인 만큼 자체적으로 군수물자를 생산ㆍ보급하기 힘들지만, 구의동보루의 경우 호미와 보습 등 적지 않은 수량의 철제 농구류가 확인되어 일부 보루에서는 소규모로 둔전 경작이 이뤄졌다고 추정할 수 있다.
      또한 구의동보루를 비롯한 한강 유역에 소재하고 있는 20여 개의 보루에서 주둔군의 병영막사로 쓰였던 건물지 이외에 단야시설, 디딜방앗간, 간이 소성시설 등이 확인되어 보루 내에서 전투 이외의 각종 생업활동이 이뤄졌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시설을 통해 보루 내에 단야작업, 취사, 토기 소성 등을 담당하던 기술병이 주둔했음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한강 유역 고구려 보루群의 보급체계 일면을 복원할 수 있는 계기가 되었다.
      더 나아가 각 보루마다 기본적으로 갖추고 있는 내부시설 이외에 몇몇 보루에서만 확인되는 특수한 내부 시설들을 통해 보루마다 기능과 성격에 차이가 있었음을 알 수 있으며, 이는 곧 보루의 위계와도 상관성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Defense posts established by the ancient Korean kingdom of Goguryeo along mountaintops near the Han River represent frontier defense facilities whose military functions were emphasized. These defense posts are unlike any frontier defense facilities fo...

      Defense posts established by the ancient Korean kingdom of Goguryeo along mountaintops near the Han River represent frontier defense facilities whose military functions were emphasized. These defense posts are unlike any frontier defense facilities found in rival kingdoms of Baekje and Shilla, or even in China and Japan, during the same period. These facilities were built and operated within the specialized context of Goguryeo’s ‘southern frontier; manned by thousands of troops dispatched from the capital.
      Posted in each outpost was a garrison of 10 to 100 infantry troops that included spearmen, archers, axemen, and swordsmen; responsible for surveillance and control concerning movements of Baekje and Shilla troops, as well as engagement in armed skirmishes when necessary. Despite the fact that the soldiers posted were regular troopers, their activities included more than typical military duties. Various forms of education and training were undertaken when they were not fighting, in order to improve their skills for combat in case it should actually come to pass, as well as maintenance work on walls and buildings of their outpost.
      The diverse array of pottery, iron tools, earthen items, building sites, walls, and remnants of facilities uncovered at the site allows us to trace the daily lives and routines of these garrisons.
      As Goguryeo’s defensive network in the southern frontier consisted not of massive fortresses but small defense outposts, it can be safely assumed that the nature and organization of the garrisons, and the logistics network, would be different from Goguryeo’s other frontiers. These outposts were military facilities specialized for warfighting, which made self-sufficiency in production of weapons and other supplies difficult. However, the discovery of significant numbers of hoes and plows at the outpost in Guui-dong in Seoul indicates that some farming activity took place within the grounds by the garrison.
      In addition to the Guui-dong outpost, excavation at twenty other outposts along the Han River revealed facilities for ironworking, milling, and pottery making (small kilns); evidence of various daily activities other than combat. The facilities also provide proof of ‘specialist’troopers who were responsible for the activities that can be inferred from above (ironsmith, cooking, potter making, etc.), enabling us to reconstruct at least one aspect of the logistics system used to support Goguryeo outposts in the Han River area.
      Facilities peculiar to certain outposts, aside from facilities basic to all of them, points to differences in the role and character of each, and a hierarchy that existed among the outposts in the network.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초록〉
      • Ⅰ. 서론
      • Ⅱ. 주둔부대의 ‘의식주’생활
      • Ⅲ. 고구려군의 기타 생업활동
      • Ⅳ. 결론
      • 〈국문초록〉
      • Ⅰ. 서론
      • Ⅱ. 주둔부대의 ‘의식주’생활
      • Ⅲ. 고구려군의 기타 생업활동
      • Ⅳ. 결론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양시은, "龍馬山 第2堡壘-發掘調査報告書" 서울大學校博物館 · 서울特別市 2009

      2 최덕경, "遼東犂를 통해 본 古代 東北지역의 農業環境과 耕作方式" 고구려연구재단 8 : 2005

      3 고려대학교매장문화재연구소, "홍련봉 1보루 2차 발굴조사 약보고"

      4 박호석, "한국의 농기구" (柱)語文閣 2001

      5 박선희, "한국 고대 복식-그 원형과 정체" 지식산업사 2002

      6 구의동보고서간행위원회, "한강유역의 고구려 요새-구의동유적 발굴조사 종합보고서" 도서출판 소화 1997

      7 김성태, "최근 보고된 고구려무기의 검토" 고구려발해학회 20 : 121-152, 2005

      8 최종택, "천 번의 붓질 한 번의 입맞춤-고고학 발굴 이야기 : 고구려 보루가 아차산에 있는 까닭은?-광진 아차산 보루 유적" 진인진 2009

      9 최형국, "조선무사" 인물과 사상사 2009

      10 류희경, "우리 옷 이천년" 미술문화 2009

      1 양시은, "龍馬山 第2堡壘-發掘調査報告書" 서울大學校博物館 · 서울特別市 2009

      2 최덕경, "遼東犂를 통해 본 古代 東北지역의 農業環境과 耕作方式" 고구려연구재단 8 : 2005

      3 고려대학교매장문화재연구소, "홍련봉 1보루 2차 발굴조사 약보고"

      4 박호석, "한국의 농기구" (柱)語文閣 2001

      5 박선희, "한국 고대 복식-그 원형과 정체" 지식산업사 2002

      6 구의동보고서간행위원회, "한강유역의 고구려 요새-구의동유적 발굴조사 종합보고서" 도서출판 소화 1997

      7 김성태, "최근 보고된 고구려무기의 검토" 고구려발해학회 20 : 121-152, 2005

      8 최종택, "천 번의 붓질 한 번의 입맞춤-고고학 발굴 이야기 : 고구려 보루가 아차산에 있는 까닭은?-광진 아차산 보루 유적" 진인진 2009

      9 최형국, "조선무사" 인물과 사상사 2009

      10 류희경, "우리 옷 이천년" 미술문화 2009

      11 임효재, "아차산 제4보루-발굴조사 종합보고서" 서울대학교박물관 · 서울대학교인문학연구소 · 구리시 · 구리문화원 2000

      12 임효재, "아차산 시루봉 보루-발굴조사 종합보고서" 서울대학교박물관 · 서울대학교인문학연구소 · 구리시 · 구리문화원 2002

      13 국립문화재연구소, "아차산 4보루 발굴조사보고서" 2009

      14 崔種澤, "서울大學校博物館學術叢書 제2권 : 九宜洞-土器類에 대한 考察"

      15 임지영, "삼국시대 종장판갑 부착 유기질 연구-동래 복천동고분군 출토품을 중심으로-" 한국고고학회 (75) : 200-232, 2010

      16 John A. Lynn, "배틀, 전쟁의 문화사" 청어람미디어 2006

      17 민덕식, "발굴조사 자료로 본 고구려 성곽의 축조공법-체성(體城)의 축조공법을 중심으로" 檀君史學會 37 : 2005

      18 朴美子, "떡의 노화에 영향을 주는 전분의 특성에 관한 연구" 公州大學校 産業開發硏究所 5 : 1997

      19 백종오, "남한 내 고구려 유적 유물의 새로운 이해 - 최근 발굴 유적을 중심으로 -" 한국고대학회 (28) : 113-147, 2008

      20 코리아비주얼스 편집부, "그림과 명칭으로 보는 한국의 문화유산 1~2권" 시공테크 · 코리아비주얼스 2003

      21 서울대학교박물관, "구리시 아차산 시루봉보루 발굴조사(4차) 약보고"

      22 김부환, "고구려의 사냥에 관한 연구" 동아대학교부설 스포츠과학연구소 23 : 2005

      23 김성태, "고구려의 문화와 사상 : 고구려의 무기,무장,마구"

      24 고구려 유적의 어제와 오늘 기획편집위원회, "고구려 유적의 어제와 오늘-도성과 성곽"

      25 전주농, "고구려 시기의 무기와 무장(Ⅱ)-고분 벽화 자료를 주로 하여" 과학원출판사 59 (59): 1959

      26 신광철, "고구려 남부전선 주둔부대의 편제와 위계: 한강유역의 고구려 보루를 통해서" 중부고고학회 9 (9): 65-114, 2010

      27 장경숙, "고구려 고분벽화에 묘사된 갑주" 경주대학교 문화재연구소 6 : 2003

      28 박가영, "고구려 갑주의 고증 제작" 한복문화학회 4 (4): 2001

      29 최종택, "고고자료를 통해 본 웅진도읍기 한강유역 영유설 재고" 백제연구소 (47) : 127-160, 2008

      30 林起煥, "경기도의 고구려 문화유산 : 5~6세기 고구려의 남진과 영역 범위"

      31 "齊民要術"

      32 徐榮敎, "高句麗의 狩獵習俗과 遊牧民" 高句麗硏究會 5 : 2005

      33 김현숙, "高句麗의 漢江流域 領有와 支配" 백제연구소 (50) : 27-54, 2009

      34 李基白, "高句麗의 扃堂-韓國 古代國家에 있어서의 未成年集會의 一遺制" 歷史學會 35 : 1967

      35 金井塚良一, "高句麗 古墳壁畵를 통해 본 高句麗 服飾에 關한 硏究" 고구려연구회 4 : 1997

      36 余昊奎, "高句麗 中期의 武器體系와 兵種構成-古墳壁畵를 중심으로" 國防軍事硏究所 2 : 1999

      37 趙載英, "食用作物學 Ⅱ : 四訂 田作" 鄕文社 1976

      38 金舜圭, "韓國의 軍服飾發達史 1-古代~獨立運動期"

      39 李基白, "韓國史新論" 一潮閣 1966

      40 吉林省 文物考古硏究所, "集安高句麗王陵-1990~2003年 集安高句麗王陵調査報告"

      41 "隋書"

      42 崔種澤, "趙晟允, 紅蓮峰 第1堡壘―發掘調査綜合報告書" 高麗大學校考古環境硏究叢書 24輯, 高麗大學校考古環境硏究所 · 서울特別市 2007a

      43 華陽地區發掘調査團, "華陽地區 遺蹟發掘 調査報告(弟二次)"

      44 華陽地區發掘調査團, "華陽地區 遺蹟發掘 調査報告"

      45 "舊唐書"

      46 崔種澤, "紅蓮峰 第2堡壘-1次 發掘調査報告書" 高麗大學校考古環境硏究叢書 25輯, 高麗大學校考古環境硏究所 · 서울特別市 2007b

      47 심광주, "漣川 瓠蘆古壘(精密地表調査報告書), 토지박물관 학술조사총서 제2집" 한국토지공사 토지박물관 · 연천군 1999

      48 梁時恩, "漢江流域 高句麗土器의 製作技法에 대하여" 서울大學校 大學院 2003

      49 崔種澤, "漢江流域 高句麗土器 硏究" 서울大學校 大學院 1995

      50 申光澈, "漢江流域 高句麗 關防施設을 통해 본 高句麗 南部戰線 駐屯部隊의 性格과 軍事戰略" 高麗大學校 大學院 文化財學協同課程 2010a

      51 崔章烈, "漢江北岸 高句麗堡壘의 築造時期와 그 性格" 서울大學校 大學院 2001

      52 崔章烈, "漢江 北岸 高句麗堡壘의 築造時期와 그 性格" 서울大學校 國史學科 47 : 2002

      53 安承模, "東아시아 先史時代의 農耕과 生業" 學硏文化社 1998

      54 菅谷文則, "東北亞古文化論叢 : 安岳三号墳出行図札" 悠山姜仁求敎授 停年紀念論叢編纂委員會 2002

      55 "朝鮮王朝實錄"

      56 朴映準, "朝鮮前期 狩獵文化에 關한 硏究-李朝實錄을 中心으로" 韓國山林經濟學會 2 (2): 1994

      57 "新唐書"

      58 崔種澤, "峨嵯山 第3堡壘-1次 發掘調査報告書" 高麗大學校考古環境硏究叢書 27輯, 高麗大學校考古環境硏究所 · 구리시 2007c

      59 "尉繚兵法"

      60 "孫子兵法"

      61 최종택, "夢村土城 內 高句麗遺蹟 再考" 고려사학회 12 : 1-40, 2002

      62 "吳子兵法"

      63 "北史"

      64 崔種澤, "加耶, 그리고 倭와 北方 : 峨嵯山 高句麗堡壘 出土 鐵製甲冑와 馬具"

      65 김락기, "京畿남부 지역 소재 高句麗 郡縣의 의미 -문헌 자료와 고고학 자료의 상호관계를 중심으로-" 고구려발해학회 20 : 99-120, 2005

      66 崔種澤, "京畿北部地域의 高句麗 關防體系" 高句麗硏究會 8 : 1999

      67 白種伍, "京畿北部地域 高句麗城郭의 分布와 性格" 京畿道博物館 3 : 1999

      68 서영일, "京畿北部地域 高句麗 堡壘 考察" 한국문화사학회 (17) : 63-80, 2002

      69 "五衛陣法"

      70 崔種澤, "九宜洞遺蹟 出土 鐵器에 對하여" 서울大學校博物館 3 : 1991

      71 白奇寅, "中國軍事制度史"

      72 "三國遺事"

      73 鄭太垠, "三國時代의 시루利用에 관한 試論" 成均館大學校 大學院 2005

      74 宋桂鉉, "三國時代 鐵製甲冑의 硏究-嶺南地域 出土品을 中心으로" 경북대학교 1988

      75 "三國史記"

      76 이원재, "‘경당(局堂)’ 명칭에 대한 재론(再論)" 한국교육사학회 26 (26): 177-192, 2004

      77 Harry Holbert Turney―High, "PRIMITIVE WAR" UNIVERSITY OF SOUTH CAROLINA PRESS 1991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8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21-07-02 학회명변경 영문명 : Institute of KoguryoBalhae -> Association of Koguryo Balhae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8-02-14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고구려연구 -> 고구려발해연구
      외국어명 : The Koguryo Yonku -> The KoguryoBalhae Yonku
      KCI등재후보
      2008-02-13 학회명변경 한글명 : 고구려연구회 -> 고구려발해학회
      영문명 : Institute of Koguryo Studies -> Institute of KoguryoBalhae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05-30 학회명변경 영문명 : 미등록 -> Institute of Koguryo Studies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78 0.78 0.9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9 0.93 2.013 0.38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