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한된 수자원을 효율적으로 사용하기 위해 중요한 것은 용수의 배분 및 수요관리와 같은 경제적 관점에서의 수자원정책이라 할 수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수자원정책의 경제적 효과에 대...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3986347
2011
Korean
KCI등재
학술저널
61-80(20쪽)
1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제한된 수자원을 효율적으로 사용하기 위해 중요한 것은 용수의 배분 및 수요관리와 같은 경제적 관점에서의 수자원정책이라 할 수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수자원정책의 경제적 효과에 대...
제한된 수자원을 효율적으로 사용하기 위해 중요한 것은 용수의 배분 및 수요관리와 같은 경제적 관점에서의 수자원정책이라 할 수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수자원정책의 경제적 효과에 대한 기본이해를 향상시키고, 수자원정책에 관한 시나리오 분석을 통해 지역경제 측면의 정책적 시사점을 제시하는 것이다. 용수수급불균형을 완화시키기 위해 설정된 수자원정책 시나리오는 크게 용수공급을 증가시키는 정책과 용수수요를 관리하는 정책으로 구분된다. 정책분석 결과, 용수수급불균형 상태와 비교하면 정책시나리오 모두 용수수급불균형에 의한 경제 및 지역효용 감소를 완화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 중에서도 용수수요 규모를 고려하여 용수공급량을 결정하여 배분하는 정책시나리오가 가장 효과적인 수자원정책으로 분석되었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 order to efficiently use limited water resources, water policy is importan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mprove the basic understanding on the economic impact of water policy and to suggest a policy direction for the Korean government, based o...
In order to efficiently use limited water resources, water policy is importan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mprove the basic understanding on the economic impact of water policy and to suggest a policy direction for the Korean government, based on the results obtained from scenario analysis. This study suggests two water management policies: the water allocation policy and the water demand policy. The impacts of these scenarios on regional economies of Korea are specifically analyzed in terms of economic efficiency and public welfare. Analysis shows that the most effective scenario of overcoming regional water-shortage is to supply water according to water demand by use.
참고문헌 (Reference)
1 건설교통부, "통합수자원관리를 위한 수자원정책의 연구" 2007
2 김홍배, "우리나라의 지역별 용수수요 예측에 관한 연구" 한국지역학회 26 (26): 85-101, 2010
3 건설교통부, "수자원장기종합계획" 건설교통부 2006
4 환경부, "상수도 통계" 2008
5 한국은행, "산업연관표" 2008
6 곽결호, "물자원의 효율적 배분을 위한 경제적 접근방안" 30 (30): 1997
7 김태유, "물관리의 최적화를 위한 수도요금 정책방향에 관한 연구" 한국수자원공사 1998
8 김종원, "물 수요 분석을 통한 합리적 수자원정책 방향 수립" 국토연구원 2001
9 金鍾元, "持續可能한 水資源 配分 方法의 設定과 評價 - 效率性과 危險負擔의 衡平性을 中心으로" 한국경제학회 51 (51): 8-234, 2003
10 M. S. Babel, "a model for optimal allocation of water to competing demands" 19 : 693-712, 2005
1 건설교통부, "통합수자원관리를 위한 수자원정책의 연구" 2007
2 김홍배, "우리나라의 지역별 용수수요 예측에 관한 연구" 한국지역학회 26 (26): 85-101, 2010
3 건설교통부, "수자원장기종합계획" 건설교통부 2006
4 환경부, "상수도 통계" 2008
5 한국은행, "산업연관표" 2008
6 곽결호, "물자원의 효율적 배분을 위한 경제적 접근방안" 30 (30): 1997
7 김태유, "물관리의 최적화를 위한 수도요금 정책방향에 관한 연구" 한국수자원공사 1998
8 김종원, "물 수요 분석을 통한 합리적 수자원정책 방향 수립" 국토연구원 2001
9 金鍾元, "持續可能한 水資源 配分 方法의 設定과 評價 - 效率性과 危險負擔의 衡平性을 中心으로" 한국경제학회 51 (51): 8-234, 2003
10 M. S. Babel, "a model for optimal allocation of water to competing demands" 19 : 693-712, 2005
11 World Water Council, "World water vision: making water everybody's business" Earthscan Ltd 2000
12 Row, T, "Water, Externality and Strategic Interdependence: A, General Equilibrium Analysis" 12 : 149-167, 2000
13 Robert I. McDonald, "Urban Growth, Climate Change, and Freshwater Availability" PNAS Early Edition 2011
14 H. Levite, "Linkages between Productivity and Equitable Allocation of Water" 27 : 825-830, 2002
15 A. Dinar, "Irrigation water management polices: Allocation and Pricing Principles and Implementation Experience" 112-122, 2004
16 Roe, "Feedback links between economy-wide and farm-level policies: With application to irrigation water management in Morocco" 27 (27): 905-928, 2005
17 Olmstead, Hanemann, "Do Consumers React to the Shape of the Supply? Water Demand under Heterogeneous Price Structures" 2005
18 Okadera, T., "Analysis of water demand and water pollutant discharge using a Regional Input-Output Table: An Application to the City of Chongqing, upstearm of the Three Gorges Dam in China" 58 : 221-237, 2006
네트워크의 공간 의존성과 외부효과를 고려한 인구이동 흐름모델 구축 및 실증 분석
지역간 물가승수와 물가연관구조 분석: IRIO-RS 물가추정모형 정립
KTX 개통에 따른 국토권역별 인구이동의 실증분석, 2004 ~ 2009
도시환경과 개인특성이 지역주민의 건강수준에 미치는 영향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4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 ![]() |
2019-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2018-12-01 | 평가 | 등재후보 탈락 (계속평가) | |
2017-12-01 | 평가 |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 ![]() |
2013-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8-01-01 | 평가 |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 ![]() |
200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4-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3-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 ![]() |
2002-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 ![]() |
2000-07-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59 | 0.59 | 0.6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65 | 0.72 | 0.923 | 0.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