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고려 多京 의례의 위계와 그 성격 = A Rituals and Characteristics of Several Capitals in the Goryeo Dynast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17403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 terms of spatial structure and landscape, the polygyeong is a miniature version of the landscape. In Daqing, a jetting mechanism was established. The spin-off mechanism to perform the administrative, fiscal, and market functions was not placed in t...

      In terms of spatial structure and landscape, the polygyeong is a miniature version of the landscape. In Daqing, a jetting mechanism was established. The spin-off mechanism to perform the administrative, fiscal, and market functions was not placed in the minor counter unit. Orijeong is a public facility located around Eupchi 5-ri. There are several Orijeong Pavilion called Yeongchunjeong in Several towns and towns.
      When a sense of national crisis was prevalent in Goryeo society around the 12th century, the central government tried to overcome the crisis by believing in the god of esoteric Buddhism in addition to Confucian rituals. It held a material measurement that had not been held before. There is also a sea monster festival to defeat monsters.
      In Several towns and towns, the god of the dead is enshrined. The guardian deity of Gaegyeong is an angel. The lower deities are the lower deities are deities. The core of multi-policy management is the per-capita net liquor. The monarch is the supreme ruler of time. In the squint cycle, the king's place moves according to the time cycle. Myeongdangwi is not limited to the capital, but is moved according to the time cycle of squints. The idea of a good party committee provided the king with a justification for movement. The worship of King Taejo In terms of space structure and scenery, the polygyeong is a miniature version of the landscape. Since the tea landscape of Goryeo was usually set up by choosing the capital of the former dynasty, the grid-shaped space section was displayed in the local landscape in all three landscapes, and the cabin was set up.
      In addition to the existing Eupsa organization, the external office coexists in the counter, which is the water pipe in the system, including Mokdoho-bugyeong. There are Juhakhyanggyo Local Confucian School, including Sangpyeongchang, a government warehouse, a distribution facility at the Eupsa handicraft factory of the Exterior Office, which will facilitate administrative and financial operations. In addition to the usual official residence facilities provided by the general counter, Several towns and towns, the highest-ranking counter, has facilities of a different level.
      Several towns and towns has a city-like jetting mechanism. The spin-off mechanism to perform the administrative, fiscal, and market functions was not placed in the minor counter unit. Orijeong Pavilion, designated as a place for guests of honor at a mutual meeting between Mok Do-ho, a soldier receiving the appearance, is a public facility located around 5-ri, Eupchiso. However, there are few Nujeong in Oe-eup, and there are about 1-2 Eupchi in Juhyeon, and Yeongchunjeong in Dakyeong Due to the common nature of Oe-eup, where the outer office and Eupsa coexist, 5-rijeong Pavilion held a ritual to return to the Dogye school in addition to the ritual for the spring. It is possible to gauge the hierarchy between the ordinary counterparts of the Gyeongsang Province, based on the pattern that the Ipchun-toe ritual, which was celebrated in the capital, Dakyeong, gradually spreads to the national level.
      Where Duke is highest representation that the power to presiding over time through the cycle.The cycle is the time where the combined movement of the place of residence and the king. Transferred in accordance with strabismus and not confine myself to the capital on the amount of time per cycle.When this multi-stem sense on every innocent because the rationale for the movement for the king offers King Taejo Sungsin, a marriage ceremony, strabismus (per) sunjuron is multi-stem specialize in local metropolitan government, and neck, and China is a symbol of multi-stem authority can look from thi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京·牧·都護府를 포함한 界內의 首官인 界首官에는 기존의 邑司 조직 외에 外官廳이 공존한다. 일반 계수관에서 갖춘 통상적 관사시설 외에도 주시하는 최상위 계수관인 다경은 다른 층위�...

      京·牧·都護府를 포함한 界內의 首官인 界首官에는 기존의 邑司 조직 외에 外官廳이 공존한다. 일반 계수관에서 갖춘 통상적 관사시설 외에도 주시하는 최상위 계수관인 다경은 다른 층위의 시설을 더 지닌다. 다경에는 分司 기구를 두었다. 그런데 분사기구는 京 이하의 계수관 단위에는 두지 않았다.
      영빈송객의 장소로 지정된 五里亭은 읍치소 5리 안팎에 소재한 공공시설이다. 오리정은 속현에는 아예 없는 곳도 있으나, 다경에는 迎春亭이라는 구체적 명칭으로 읍치 5리 안팎에 다수 분포한다. 하늘의 至高神과 지상의 신격 간에는 다층위적 서열이 존재한다. 개경에서는 다원적 지고신(천신)을 포용하여 다양한 제천의례를 거행한다. 도교식 제천의례인 醮禮는 毬庭을 갖춘 개경 ·서경·동경에서만 치러졌다.
      다경 경영의 핵심적 이념은 明堂 巡駐論이다. 군주는 四時 순환을 통해서 시간을 주재하는 최상위 권력자임을 표상한다. 사시순환은 적절한 시기에 따르는 국왕 거소의 이동과 결합한다. 明堂位는 수도에만 국한하지 않고 四時의 시간 주기에 따라 옮겨진다. 명당위 관념은 다경을 巡駐할 때 국왕에게는 이동의 명분을 제공해주었다.
      다경에서는 외읍에서 관민 주도로 행해지던 재지의 토착의례나 영춘정(영객정)에서 영빈송객하던 맞이의식, 명당위 관념이 투영된 순주의례, 건국주 태조에 대한 숭신과 초례가 행해졌다. 여러 의식 중에서 태조 숭신과 구정의 天神 제례(醮禮), 四時의 명당 순주는 다경에 특화되어 목ㆍ도호부와 차이나는 다경의 상징권위를 이로부터 모색할 수 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구산우, "부산 동래에서 출토된 새로운 고려 기와 명문- 기와의 조달, 공공 건물로서 五里亭과 관련하여 -" 부산광역시사편찬위원회 (43) : 251-295, 2022

      2 안병우, "고려전기의 재정구조" 서울대출판부 2002

      3 박종진, "고려전기 지방제도 연구" 서울대출판부 2017

      4 정용범, "고려전·중기 유통경제 연구" 부산대학교 대학원 2014

      5 김일권, "고려시대의 다원적 至高神 관념과 그 의례사상사적 배경" 규장각한국학연구원 (29) : 117-148, 2002

      6 신안식, "고려시대의 三京과 國都" 한국중세사학회 (39) : 259-292, 2014

      7 한정수, "고려시대 태조 追慕儀의 양상과 崇拜" 한국사학회 (107) : 1-44, 2012

      8 김철웅, "고려시대 서경의 聖容殿" 한국문화사학회 (31) : 109-128, 2009

      9 한기문, "고려시대 상주계수관 연구" 경인문화사 2017

      10 홍영의, "고려시대 남경 경영의 배경과 공간 영역" 한국중세사학회 (68) : 213-255, 2022

      1 구산우, "부산 동래에서 출토된 새로운 고려 기와 명문- 기와의 조달, 공공 건물로서 五里亭과 관련하여 -" 부산광역시사편찬위원회 (43) : 251-295, 2022

      2 안병우, "고려전기의 재정구조" 서울대출판부 2002

      3 박종진, "고려전기 지방제도 연구" 서울대출판부 2017

      4 정용범, "고려전·중기 유통경제 연구" 부산대학교 대학원 2014

      5 김일권, "고려시대의 다원적 至高神 관념과 그 의례사상사적 배경" 규장각한국학연구원 (29) : 117-148, 2002

      6 신안식, "고려시대의 三京과 國都" 한국중세사학회 (39) : 259-292, 2014

      7 한정수, "고려시대 태조 追慕儀의 양상과 崇拜" 한국사학회 (107) : 1-44, 2012

      8 김철웅, "고려시대 서경의 聖容殿" 한국문화사학회 (31) : 109-128, 2009

      9 한기문, "고려시대 상주계수관 연구" 경인문화사 2017

      10 홍영의, "고려시대 남경 경영의 배경과 공간 영역" 한국중세사학회 (68) : 213-255, 2022

      11 정용범, "고려시대 경상도지역의 유통경제 - 경주권역을 중심으로 -" 효원사학회 59 : 137-172, 2021

      12 이정희, "고려시대 暇寧令과 급가제도 - 중,일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부경역사연구소 (41) : 5-49, 2017

      13 한기문, "고려시대 州縣 資福寺와 香徒의 역할" 동국역사문화연구소 (59) : 117-159, 2015

      14 김성환, "고려시대 太祖의 眞殿과 奉業寺" 한국고대학회 (57) : 55-77, 2018

      15 위은숙, "고려시대 土牛儀禮의 법제화와 그 성격" 부산경남사학회 (90) : 81-114, 2014

      16 박종기, "고려시기 至高神의 존재와 神格의 다층위성" 한국중세사학회 (50) : 193-224, 2017

      17 채웅석, "고려사 형법지 역주" 신서원 2009

      18 최봉준, "고려 현종~정종대 왕실의 眞影 중심 조상 숭배 의례의 확립과 그 의미" 규장각한국학연구원 (56) : 1-26, 2020

      19 윤경진, "고려 대몽항쟁기 分司南海大藏都監의 운영체계와 설치 배경" 역사실학회 (53) : 5-49, 2014

      20 홍영의, "고려 궁궐내 景靈殿의 구조와 운용" 한국학연구소 37 : 67-91, 2012

      21 김철웅, "고려 국왕의 南京 巡幸과 儀禮" 서울역사편찬원 (85) : 5-36, 2013

      22 정은정, "고려 開京ㆍ京畿 연구" 혜안 2018

      23 윤경진, "고려 界首官의 제도적 연원과 성립과정 ― 9州?12牧과의 연결성을 중심으로 ―" 규장각한국학연구원 (36) : 57-88, 2005

      24 정은정, "고려 朝儀 구성과 정비" 역사문화연구소 (80) : 31-62, 2021

      25 "高麗史節要"

      26 "高麗史"

      27 "補閑集"

      28 "破閑集"

      29 "牧隱集"

      30 "治平要覽"

      31 최연주, "江華京板 高麗大藏經 각성인과 도감의 운영 형태" 부산경남사학회 (57) : 57-85, 2005

      32 "東國李相國集"

      33 "東京夢華錄"

      34 "朝鮮王朝實錄"

      35 "新增東國輿地勝覽"

      36 "慶州戶長先生案"

      37 "慶原條法事類"

      38 "庸齋集"

      39 조정은, "崇拜와 禁止: 淸代 福建의 五瘟神 信仰과 國家權力" 명청사학회 (27) : 307-361, 2007

      40 "宋史"

      41 "安逸房考往錄"

      42 "大唐開元禮"

      43 "及菴集"

      44 "令議解譯註"

      45 정진희, "九曜의 羅睺信仰으로 풀어본 신라 處容 - 처용을 보는 또 하나의 시선 -" 동국역사문화연구소 (67) : 169-203, 2019

      46 中村裕一, "中國古代の年中行事" 汲古書院 2018

      47 "世宗實錄地理志"

      48 김수민, "『삼국유사』 처용설화와 중국 門神文化의 영향" 신라사학회 (50) : 105-133, 2020

      49 최영호, "13세기 중엽 開寧分司大藏都監의 운영체계" 한국중세사학회 (53) : 199-224, 2018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86 0.86 0.7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68 0.64 1.22 0.06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