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문재인 정부 대북정책의 중간평가 = An In-process Review of Moon Jae-in Administration’s policies on North Korea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07090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aims at analyzing achievements and future tasks of Moon Jae-in Administration’s policies on North Korea. Moon Jae-in government suggested a policy vision of ‘Peace and Prosperity of the Korean Peninsula’ and set up three goals, four strategies and five principles as measures to thaw the inter-Korean relations frozen for some time. Pivotal contents of these policies lie in North Korea’s denuclearization and an improvement of inter-Korean relations as a way to peace development on the peninsula. As the inter-Korean summits were held in 2018, these policies gained momentum to propel.
      The gloomy inter-Korean relations immediately after the inauguration of the Moon Jae-in government were turned into ‘Spring of the Korean Peninsula’ due to the 2018 new year address of Chairman Kim Jung-un. As three summit talks between South and North Korea and between North Korea and the USA were held in a year, agreements on denuclearization, military détente in two Koreas and inter-Korean exchanges and cooperation were drawn to pave a way to peace between South and North Korea. Moon Jae-in administration’s North Korean policies seem to have gained some achievements in leading North Korea to the dialogue and through this, in denuclearizing the Korean Peninsula, easing the military tensions and expanding exchanges between South and North Korea. These achievements, however, involve simultaneous tasks to be solved beforehand. In order to implement the matters agreed on by two Korean leaders, a national consensus should be built on a variety of issues including ‘the denuclearization of the Korean Peninsula’ and construction of the Korean Peninsula economic community and at the same time, North Korea’s genuine steps to denuclearize should be taken for international society and the US to lift UN sanctions against the DPRK. If the Korean government proceeds with its North Korean policies without solving these fundamental tasks, it will be very likely to face numerous obstacles in the future process. Thus, Moon Jae-in administration should solve such tasks related to its North Korean policies as securing a national consensus, urging North Korea to take actual steps to denuclearize and withdrawing sanctions against DPRK. With these tasks carried out, the Korean Peninsula policies for peace and prosperity will gather momentum and blaze a trail toward the Korean Peninsula peace system.
      번역하기

      This study aims at analyzing achievements and future tasks of Moon Jae-in Administration’s policies on North Korea. Moon Jae-in government suggested a policy vision of ‘Peace and Prosperity of the Korean Peninsula’ and set up three goals, four s...

      This study aims at analyzing achievements and future tasks of Moon Jae-in Administration’s policies on North Korea. Moon Jae-in government suggested a policy vision of ‘Peace and Prosperity of the Korean Peninsula’ and set up three goals, four strategies and five principles as measures to thaw the inter-Korean relations frozen for some time. Pivotal contents of these policies lie in North Korea’s denuclearization and an improvement of inter-Korean relations as a way to peace development on the peninsula. As the inter-Korean summits were held in 2018, these policies gained momentum to propel.
      The gloomy inter-Korean relations immediately after the inauguration of the Moon Jae-in government were turned into ‘Spring of the Korean Peninsula’ due to the 2018 new year address of Chairman Kim Jung-un. As three summit talks between South and North Korea and between North Korea and the USA were held in a year, agreements on denuclearization, military détente in two Koreas and inter-Korean exchanges and cooperation were drawn to pave a way to peace between South and North Korea. Moon Jae-in administration’s North Korean policies seem to have gained some achievements in leading North Korea to the dialogue and through this, in denuclearizing the Korean Peninsula, easing the military tensions and expanding exchanges between South and North Korea. These achievements, however, involve simultaneous tasks to be solved beforehand. In order to implement the matters agreed on by two Korean leaders, a national consensus should be built on a variety of issues including ‘the denuclearization of the Korean Peninsula’ and construction of the Korean Peninsula economic community and at the same time, North Korea’s genuine steps to denuclearize should be taken for international society and the US to lift UN sanctions against the DPRK. If the Korean government proceeds with its North Korean policies without solving these fundamental tasks, it will be very likely to face numerous obstacles in the future process. Thus, Moon Jae-in administration should solve such tasks related to its North Korean policies as securing a national consensus, urging North Korea to take actual steps to denuclearize and withdrawing sanctions against DPRK. With these tasks carried out, the Korean Peninsula policies for peace and prosperity will gather momentum and blaze a trail toward the Korean Peninsula peace system.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문재인 정부가 추진하고 있는 대북정책의 성과와 과제를 분석하는 것이다. 문재인 정부의 대북정책은 ‘평화와 번영의 한반도’라는 정책비전을 제시하며, 그 동안 경색된 남북관계를 해소하기 위한 방안들로 3대 목표와 4대 전략 및 5대 원칙을 설정하였다. 이러한 정책들의 핵심 내용은 한반도 평화조성을 위한 비핵화와 남북관계의 개선에 있다. 이러한 정책은 2018년 남북정상회담이 개최되면서, 추진동력을 확보하는 성과를 거뒀다. 문재인 정부 출범 직후의 암울했던 남북관계는 2018년 김정은 위원장의 신년사를 계기로 ‘한반도의 봄’을 열었다. 2018년 한 해 동안 3차례 남북정상회담 및 북미정상회담이 개최되면서, 비핵화와 남북 군사적 긴장완화, 남북교류 협력 등에 합의를 도출하면서, 남북 간 평화의 길을 조성하고 있다. 문재인 정부의 대북정책은 북한을 대화의 장으로 인도하며, 이를 통한 한반도 비핵화, 군사적 긴장완화 및 남북교류 확대에 있어 성과를 거둔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이러한 성과는 동시에 선행적으로 해결해야 할 과제가 동시에 내포하고 있었다. 왜냐하면, 남북정상이 합의한 사항들이 이행되기 위해서는 ‘한반도 비핵화’와 한반도경제공동체 조성 등 다양한 부분에 있어 국민들의 공감대가 선행되어야 하며, 또한 국제사회와 미국의 대북제재가 해제되기 위한 북한의 진정한 비핵화 조치가 동시에 진척되어야 할 것이다. 이러한 원칙적인 과제를 해결하지 않고, 대북정책이 진행된다면 향후 추진과정에서 수 많은 난관에 봉착할 가능성이 높다. 따라서 문재인 정부의 대북정책은 국민들의 공감대 확보와 북한의 실질적 비핵화 조치, 나아가 대북제재의 해제라는 과제를 해결해야 한다. 이러한 과제들이 해결된다면, 평화와 번영의 한반도 정책은 탄력을 받을 것이며, 한반도 평화체제의 길을 개척하게 될 것이다.
      번역하기

      본 연구의 목적은 문재인 정부가 추진하고 있는 대북정책의 성과와 과제를 분석하는 것이다. 문재인 정부의 대북정책은 ‘평화와 번영의 한반도’라는 정책비전을 제시하며, 그 동안 경색...

      본 연구의 목적은 문재인 정부가 추진하고 있는 대북정책의 성과와 과제를 분석하는 것이다. 문재인 정부의 대북정책은 ‘평화와 번영의 한반도’라는 정책비전을 제시하며, 그 동안 경색된 남북관계를 해소하기 위한 방안들로 3대 목표와 4대 전략 및 5대 원칙을 설정하였다. 이러한 정책들의 핵심 내용은 한반도 평화조성을 위한 비핵화와 남북관계의 개선에 있다. 이러한 정책은 2018년 남북정상회담이 개최되면서, 추진동력을 확보하는 성과를 거뒀다. 문재인 정부 출범 직후의 암울했던 남북관계는 2018년 김정은 위원장의 신년사를 계기로 ‘한반도의 봄’을 열었다. 2018년 한 해 동안 3차례 남북정상회담 및 북미정상회담이 개최되면서, 비핵화와 남북 군사적 긴장완화, 남북교류 협력 등에 합의를 도출하면서, 남북 간 평화의 길을 조성하고 있다. 문재인 정부의 대북정책은 북한을 대화의 장으로 인도하며, 이를 통한 한반도 비핵화, 군사적 긴장완화 및 남북교류 확대에 있어 성과를 거둔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이러한 성과는 동시에 선행적으로 해결해야 할 과제가 동시에 내포하고 있었다. 왜냐하면, 남북정상이 합의한 사항들이 이행되기 위해서는 ‘한반도 비핵화’와 한반도경제공동체 조성 등 다양한 부분에 있어 국민들의 공감대가 선행되어야 하며, 또한 국제사회와 미국의 대북제재가 해제되기 위한 북한의 진정한 비핵화 조치가 동시에 진척되어야 할 것이다. 이러한 원칙적인 과제를 해결하지 않고, 대북정책이 진행된다면 향후 추진과정에서 수 많은 난관에 봉착할 가능성이 높다. 따라서 문재인 정부의 대북정책은 국민들의 공감대 확보와 북한의 실질적 비핵화 조치, 나아가 대북제재의 해제라는 과제를 해결해야 한다. 이러한 과제들이 해결된다면, 평화와 번영의 한반도 정책은 탄력을 받을 것이며, 한반도 평화체제의 길을 개척하게 될 것이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창희, "한반도 평화정착과 4.27 판문점 선언" 한국정치외교사학회 40 (40): 119-152, 2018

      2 통일부 통일교육원, "통일문제이해 2018" 통일부 통일교육원 2017

      3 김일수, "미국의 핵 비확산 정책과 한반도 평화" 동아시아국제정치학회 20 (20): 55-79, 2017

      4 통일부, "문재인의 한반도정책" 통일부 2018

      5 강근형, "문재인·트럼프 행정부의 대북정책과 한미관계" 신아시아연구소 25 (25): 129-161, 2018

      6 하상식, "문재인 정부의 대북정책: 특징과 과제" 공공정책연구소 4 (4): 254-282, 2018

      7 이승현, "문재인 정부의 대북정책: 다섯 가지 핵심어를 중심으로" 한국의정연구회 13 (13): 163-186, 2018

      8 박영민, "문재인 정부 대북정책의 성공 조건과 전망" 접경지역통일학회 1 (1): 2017

      9 통일부 통일교육원, "美고위직 한국과 대북정책 함께하는 데 큰 문제 있다"

      10 통일부 통일교육원, "“우려불식” vs “핵보유국논리”. 김정은 ‘핵무기 4불’ 언급 주목"

      1 김창희, "한반도 평화정착과 4.27 판문점 선언" 한국정치외교사학회 40 (40): 119-152, 2018

      2 통일부 통일교육원, "통일문제이해 2018" 통일부 통일교육원 2017

      3 김일수, "미국의 핵 비확산 정책과 한반도 평화" 동아시아국제정치학회 20 (20): 55-79, 2017

      4 통일부, "문재인의 한반도정책" 통일부 2018

      5 강근형, "문재인·트럼프 행정부의 대북정책과 한미관계" 신아시아연구소 25 (25): 129-161, 2018

      6 하상식, "문재인 정부의 대북정책: 특징과 과제" 공공정책연구소 4 (4): 254-282, 2018

      7 이승현, "문재인 정부의 대북정책: 다섯 가지 핵심어를 중심으로" 한국의정연구회 13 (13): 163-186, 2018

      8 박영민, "문재인 정부 대북정책의 성공 조건과 전망" 접경지역통일학회 1 (1): 2017

      9 통일부 통일교육원, "美고위직 한국과 대북정책 함께하는 데 큰 문제 있다"

      10 통일부 통일교육원, "“우려불식” vs “핵보유국논리”. 김정은 ‘핵무기 4불’ 언급 주목"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8-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2차)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75 1.75 1.4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22 1.05 1.054 0.5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