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문재인 정부 군사안보정책 중간평가 = Intermediate Evaluation of the Military Security Policy of Moon Jae-in Administratio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07090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paper is to make the intermediate evaluation of the military security policy of Moon Jae-in administration. To this end, the paper is composed of 5 chapters titled Introduction; Major presidential pledge related to the military security policy of Moon Jae-in administration; Intermediate evaluation of the military security policy of Moon Jae-in administration; Future developmental tasks of he military security policy of Moon Jae-in administration; and Conclusion. Moon Jae-in has actively promoted security diplomacy to ease tensions on the Korean Peninsula and establish peace after his inauguration. The two Koreas agreed on the ‘Pyongyang Joint Declaration’ for the continuous development of inter-Korean relations and made progress in adopting the ‘Military Agreement for the Implementation of the Panmunjom Declaration’ as an annexed agreement. However, there are few criticized voices that concern that the Moon Jae-in regime is disarming our army to the degree that it believes in good will of Kim Jong-un. In the future, developmental tasks of the military security policy of Moon Jae-in may include ①establishment of a strong defense posture against all-round security threats, ②settlement of the ROK-US alliance issue(the transfer of wartime operational control and the issue of USFK defense budget); ③reinforcement of countermeasures against North Korean nuclear weapons; and ④problems in setting up peace zones in the NLL waters and preparing conflicts, etc.. Our military should maintain a strong security posture based on solid US-ROK alliance and defense capabilities, and should not be neglected to deter North Korea’s provocation and settle peace on the Korean peninsula.
      번역하기

      This paper is to make the intermediate evaluation of the military security policy of Moon Jae-in administration. To this end, the paper is composed of 5 chapters titled Introduction; Major presidential pledge related to the military security policy of...

      This paper is to make the intermediate evaluation of the military security policy of Moon Jae-in administration. To this end, the paper is composed of 5 chapters titled Introduction; Major presidential pledge related to the military security policy of Moon Jae-in administration; Intermediate evaluation of the military security policy of Moon Jae-in administration; Future developmental tasks of he military security policy of Moon Jae-in administration; and Conclusion. Moon Jae-in has actively promoted security diplomacy to ease tensions on the Korean Peninsula and establish peace after his inauguration. The two Koreas agreed on the ‘Pyongyang Joint Declaration’ for the continuous development of inter-Korean relations and made progress in adopting the ‘Military Agreement for the Implementation of the Panmunjom Declaration’ as an annexed agreement. However, there are few criticized voices that concern that the Moon Jae-in regime is disarming our army to the degree that it believes in good will of Kim Jong-un. In the future, developmental tasks of the military security policy of Moon Jae-in may include ①establishment of a strong defense posture against all-round security threats, ②settlement of the ROK-US alliance issue(the transfer of wartime operational control and the issue of USFK defense budget); ③reinforcement of countermeasures against North Korean nuclear weapons; and ④problems in setting up peace zones in the NLL waters and preparing conflicts, etc.. Our military should maintain a strong security posture based on solid US-ROK alliance and defense capabilities, and should not be neglected to deter North Korea’s provocation and settle peace on the Korean peninsula.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논문은 문재인 정부 군사안보정책에 대한 중간평가를 분석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문재인 정부 군사안보정책 관련 주요공약, 문재인 정부 군사안보정책에 대한 중간평가, 문재인 정부 군사안보정책의 향후 발전과제를 살펴본 후 결론을 도출해본 것이다. 문재인 대통령은 취임 후 한반도의 긴장완화와 항구적 평화정착을 위한 안보외교를 적극적으로 추진해왔다. 남북정상은 남북관계의 지속적 발전을 위해 ‘평양 공동선언’에 합의하고 부속합의서로 ‘판문점선언 이행을 위한 군사분야 합의서’를 채택하는 진전을 이룩했다. 하지만 ‘문재인 정권이 김정은의 선의만 믿고 지나칠 정도로 우리 군의 무장을 해제하고 있다.’는 우려 섞인 비판적 목소리도 적지 않다. 문재인 정부 군사안보정책의 향후 발전과제로는 ①전방위 안보위협 대비 튼튼한 국방태세 확립, ②한미동맹 현안(전작권 전환과 방위비 분담금문제)해결, ③북핵대응전력의 보강, ④NLL 평화수역 설정문제와 갈등대비 등을 들 수 있다. 우리 군은 확고한 한미동맹과 국방력을 바탕으로 굳건한 안보태세를 유지함으로써 북한의 도발을 억제하고 한반도 평화를 정착시켜 나감에 한 치의 소홀함도 없어야 할 것이다.
      번역하기

      본 논문은 문재인 정부 군사안보정책에 대한 중간평가를 분석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문재인 정부 군사안보정책 관련 주요공약, 문재인 정부 군사안보정책에 대한 중간평가, 문재인 정...

      본 논문은 문재인 정부 군사안보정책에 대한 중간평가를 분석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문재인 정부 군사안보정책 관련 주요공약, 문재인 정부 군사안보정책에 대한 중간평가, 문재인 정부 군사안보정책의 향후 발전과제를 살펴본 후 결론을 도출해본 것이다. 문재인 대통령은 취임 후 한반도의 긴장완화와 항구적 평화정착을 위한 안보외교를 적극적으로 추진해왔다. 남북정상은 남북관계의 지속적 발전을 위해 ‘평양 공동선언’에 합의하고 부속합의서로 ‘판문점선언 이행을 위한 군사분야 합의서’를 채택하는 진전을 이룩했다. 하지만 ‘문재인 정권이 김정은의 선의만 믿고 지나칠 정도로 우리 군의 무장을 해제하고 있다.’는 우려 섞인 비판적 목소리도 적지 않다. 문재인 정부 군사안보정책의 향후 발전과제로는 ①전방위 안보위협 대비 튼튼한 국방태세 확립, ②한미동맹 현안(전작권 전환과 방위비 분담금문제)해결, ③북핵대응전력의 보강, ④NLL 평화수역 설정문제와 갈등대비 등을 들 수 있다. 우리 군은 확고한 한미동맹과 국방력을 바탕으로 굳건한 안보태세를 유지함으로써 북한의 도발을 억제하고 한반도 평화를 정착시켜 나감에 한 치의 소홀함도 없어야 할 것이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핵 포기 아닌 핵실험 중단 선언한 북한의 속셈(사설)"

      2 서주석, "한반도 안보위기와 문재인 정부의 대응전략" 한국국방연구원 2017

      3 맹수열, "한미 국방장관 SCM서 공동성명 발표"

      4 박창권, "한국의 군사전략 개념과 지향방향"

      5 노훈, "학문명백과: 사회과학" 형설출판사 2014

      6 정경환, "통일과 개혁의 상관성이 지니는 정치철학적 함의에 관한 연구" 한국통일전략학회 15 (15): 81-106, 2015

      7 맹수열, "최초작전운용능력"

      8 국방부, "주요 국방정책 용어"

      9 김철환, "정경두 국방부 장관, 연말 전군주요지휘관회의 주관: 전작권 전환 준비, 체계적·적극적으로"

      10 전현석, "전작권 전환, 이르면 文 대통령 임기내 가능"

      1 "핵 포기 아닌 핵실험 중단 선언한 북한의 속셈(사설)"

      2 서주석, "한반도 안보위기와 문재인 정부의 대응전략" 한국국방연구원 2017

      3 맹수열, "한미 국방장관 SCM서 공동성명 발표"

      4 박창권, "한국의 군사전략 개념과 지향방향"

      5 노훈, "학문명백과: 사회과학" 형설출판사 2014

      6 정경환, "통일과 개혁의 상관성이 지니는 정치철학적 함의에 관한 연구" 한국통일전략학회 15 (15): 81-106, 2015

      7 맹수열, "최초작전운용능력"

      8 국방부, "주요 국방정책 용어"

      9 김철환, "정경두 국방부 장관, 연말 전군주요지휘관회의 주관: 전작권 전환 준비, 체계적·적극적으로"

      10 전현석, "전작권 전환, 이르면 文 대통령 임기내 가능"

      11 양욱, "전방 美軍주력부대 철수, 5개 사단 해체…‘서울 방어벽’이 허물어진다"

      12 "전략적 인내" 위키백과

      13 이헌경, "유엔 및 국제사회의 대북한 제재 조치와 실효성에 대한 경험적 접근" 한국통일전략학회 17 (17): 259-312, 2017

      14 유용원, "우리 軍, 9·19 군사 합의 수정·보완을 건의할 의지는 있나"

      15 성도현, "올해 국방, 최대 이슈는…‘남북 군사적 긴장 완화,’"

      16 맹수열, "안보협의회의 성과는"

      17 김노형, "안보전문가 특별좌담: 9·19 군사 합의서 두 달 향후 전망은?"

      18 국방대학교, "안보관계용어집"

      19 박광득, "신정부 대중정책의 방향과 과제에 대한 연구" 한국통일전략학회 17 (17): 79-110, 2017

      20 이영재, "서주석 KIDA 연구원 ‘문재인 정부 안보정책, 참여정부보다 단단해졌다,’"

      21 민정훈, "새정부의 안보정책과 추진환경, 전망: 문재인 정부와 트럼프 행정부의 안보정책을 중심으로"

      22 조용학, "상황 DMZ 뚫은 남북… ‘평화의 길’로 한발, 한발"

      23 김화영, "북핵전문가 헤커 ‘트럼프, 북한에 대통령 특사 보내야'"

      24 조경근, "북한 핵개발의 고도화와 한국의 대응 - 전망과 정책 제안-" 한국통일전략학회 17 (17): 313-355, 2017

      25 박희준, "박희준의 新육도삼략: 북한 이미 가공할 핵미사일 전력 확보"

      26 이희승, "민중 에센스 국어사전" 민중서림 2001

      27 통일부, "문재인의 한반도 정책" 2017

      28 이대우, "문재인 정부의 국방개혁 과제"

      29 김강녕, "문재인 정부의 국방·군사정책의 방향과 과제" 한국통일전략학회 17 (17): 111-164, 2017

      30 국가안보실, "문재인 정부의 국가안보전략" 2018

      31 홍인표, "문재인 정부 출범 1년 외교안보정책 평가"

      32 뉴스로 보는 세상, "문재인 정부 국가 안보 상황 심각하다며 성명서 발표한 군 원로들"

      33 윈브라이트의 블로그, "문재인 정부 2년차 분야별 평가"

      34 김도형, "문재인 정부 1년: ②외교·안보] 동북아 질서 바꾼 ‘한반도 운전자론’ 성공적"

      35 "대한민국 헌법"

      36 유동열, "대남전략 관점서 본 北정권 70년사"

      37 남기선, "내년도 국방예산 46조6971억 원 확정: 국방개혁 2.0 추진 ‘탄력’…전년대비 방위력개선비 13.7%·전력운영비 5.7% 각각 증가"

      38 맹수열, "내년도 국방예산 46조6971억 원 확정"

      39 이명환, "남북 선순환 시동…‘색깔론’ 공세 지웠다"

      40 정경환, "국제정세변화와 통일전략" 신지서원 13-37, 2002

      41 정경두, "국방부 장관신년사"

      42 박대서, "국방개혁 2.0 강한 군대 책임국방 구현"

      43 네이버블로그, "강연자료(66): 북한체제의 안보.군사정책"

      44 조의준, "美 ‘중·단거리 미사일도 없애라’…美北정상회담 미뤄지나"

      45 김관용, "文정부 외교안보 결산③: 전쟁 없는 한반도 첫걸음…전작권 환수준비 시작"

      46 "文정부 결산-안보: 한반도 평화 조성 ‘매진’…군사적 긴장감↓"

      47 안병용, "北 풍계리 핵실험장, 역사의 뒤안길로…‘완전한 비핵화’ 첫걸음"

      48 이성훈, "‘문재인 정부의 국가안보전략’과 한반도 평화번영"

      49 홍규덕, "9·19 군사분야 합의서 전례 찾기 힘든 과감한 합의"

      50 최종일, "2019년, 한반도 비핵화 원년 될까?"

      51 맹수열, "2019년 국방예산안 분석"

      52 이주형, "2019 국방부 업무보고"

      53 김정희, "11월 30일 19시 05: 남북, 시범철수 GP 완전파괴·유해발굴지역 지뢰제거 완료"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8-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2차)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75 1.75 1.4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22 1.05 1.054 0.5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