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매체를 활용한 교육이 학습자의 한국어 능력 향상에 기여할 수 있다고 보고, 매체를 활용한 실제적·경험적 논의에 앞서 한국어교육에 적용 가능한 다양한 매체의 유형을 종합적...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0473083
2015
Korean
710.5
KCI등재
학술저널
367-393(27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매체를 활용한 교육이 학습자의 한국어 능력 향상에 기여할 수 있다고 보고, 매체를 활용한 실제적·경험적 논의에 앞서 한국어교육에 적용 가능한 다양한 매체의 유형을 종합적...
본 연구는 매체를 활용한 교육이 학습자의 한국어 능력 향상에 기여할 수 있다고 보고, 매체를 활용한 실제적·경험적 논의에 앞서 한국어교육에 적용 가능한 다양한 매체의 유형을 종합적으로 고찰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정보통신기술의 발달에 주목해 아날로그 매체에서부터 디지털 매체로의 급격한 변화를 중점적으로 살펴봄으로써 각 매체의 유형별 특징과 한국어교육에서의 매체 활용의 의미를 알아본다. ‘방송 강좌, 전화 강의, 화상 강의’ 등 매체 활용 유형을 검토하고 한국어교육이 시공간의 제약을 극복하고, 한국어 학습자의 학습 능력과 기호에 맞춘 개인화를 적용하기 위해 정보통신기술과 자연어처리 기술의 발달에 힘입어 이러닝, 엠러닝, 스마트러닝으로 발달해 가는 과정을 검토함으로써 매체를 활용한 한국어교육이 나아갈 방향을 조망해본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aims to understand the types of language education using media for Korean language learners based on the belief that can contribute to the improvement of learner’s communication skills. At the same time, this study tries to identify the m...
This study aims to understand the types of language education using media for Korean language learners based on the belief that can contribute to the improvement of learner’s communication skills. At the same time, this study tries to identify the meaning of the usage of media for Korean education focusing on the considerable change from analogue to digital media. To begin with, this study examines the utilization patterns of education broadcasting, tele-lecturing and videoconferencing. It will then projects the direction of the advancement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by examining development of E-learning, M-learning, and Smart-learning that are being influenced by the development of (a)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and (b) natural language processing technology in order to overcome the limitations of time and space, and to apply personalization technology which adepts language learning to Korean language learners’ abilities and preferences, respectively.
1 유영미,최경희, "한국어문학 교육학에 있어서의 매체 활용 방향" 국제한국어교육학회 국제한국어교육학회 국제학술발표논문집 2007 : 507 ~ 528, 2007
2 나찬연, "한국어 교육의 영역별 특징을 반영한멀티미디어 자료의 개발" 한국어교육 16 (3) : 109 ~ 135, 2005
3 박성우, "프로젝트 기반 유러닝을 활용한 국어 교육" 한말연구 (29) : 119 ~ 140, 2011
4 권정아, "페이스북을 이용한 한국어 초급 수업 -쓰기 활동을 중심으로-" 한국어교육 23 (4) : 1 ~ 29, 2012
5 박은영, "전화영어회화 방법을 이용한 사이버대학 영어회화 수업" 인문논총 30 : 293 ~ 316, 2012
6 심은희, "전화 상황에서의 한국어 의사소통전략 교육 방안 연구 : 중·고급 학습자를 중심으로"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7 김성희, "인터넷 매체언어의 교육 내용 연구 - 문화적 소통에 대한 참여를 중심으로" 새국어교육 (79) : 55 ~ 78, 2008
8 서유경, "융복합 시대의 매체언어교육 방향 탐색" 새국어교육 (95) : 71 ~ 91, 2013
9 강진, "원어민 화상영어를 통한 상호작용이 초등학생의 언어 기능과 어휘력 신장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현대영어영문학 56 (4) : 1 ~ 23, 2012
10 홍범식, "시간과 공간, 초세분화하라" HBR, 2009
1 유영미,최경희, "한국어문학 교육학에 있어서의 매체 활용 방향" 국제한국어교육학회 국제한국어교육학회 국제학술발표논문집 2007 : 507 ~ 528, 2007
2 나찬연, "한국어 교육의 영역별 특징을 반영한멀티미디어 자료의 개발" 한국어교육 16 (3) : 109 ~ 135, 2005
3 박성우, "프로젝트 기반 유러닝을 활용한 국어 교육" 한말연구 (29) : 119 ~ 140, 2011
4 권정아, "페이스북을 이용한 한국어 초급 수업 -쓰기 활동을 중심으로-" 한국어교육 23 (4) : 1 ~ 29, 2012
5 박은영, "전화영어회화 방법을 이용한 사이버대학 영어회화 수업" 인문논총 30 : 293 ~ 316, 2012
6 심은희, "전화 상황에서의 한국어 의사소통전략 교육 방안 연구 : 중·고급 학습자를 중심으로"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7 김성희, "인터넷 매체언어의 교육 내용 연구 - 문화적 소통에 대한 참여를 중심으로" 새국어교육 (79) : 55 ~ 78, 2008
8 서유경, "융복합 시대의 매체언어교육 방향 탐색" 새국어교육 (95) : 71 ~ 91, 2013
9 강진, "원어민 화상영어를 통한 상호작용이 초등학생의 언어 기능과 어휘력 신장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현대영어영문학 56 (4) : 1 ~ 23, 2012
10 홍범식, "시간과 공간, 초세분화하라" HBR, 2009
11 조세경, "소셜네트워킹 사이트와 외국어 학습" 멀티미디어 언어교육 14 (3) : 315 ~ 334, 2011
12 주종우,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를 이용한 사진교육의 가능성에 대한 연구 -수업시간 이외에 SNS를 통한 교수자와 학생의 소통을 위한 연구-" AURA (26) : 47 ~ 60, 2012
13 진승희, "새로운 교육 도구인 페이스북(Facebook)을 이용한 EFL 글쓰기 수업" 멀티미디어 언어교육 16 (3) : 145 ~ 170, 2013
14 김성벽, "미디어생태학의 연구경향과 의의에 대한 고찰" 스피치와 커뮤니케이션 3 : 218 ~ 243, 2004
15 강미영, "문화상호주의 기반 언어 정책 접근 방식에 관한 고찰 -국외 한국어 교육 지원 사업을 중심으로-" 사회언어학 21 (3) : 1 ~ 24, 2013
16 박찬욱, "멀티미디어 교수매체수업 설계를 위한 프리웨어 활용방안 - 중국어 회화수업을 중심으로" 비교문화연구 25 : 549 ~ 626, 2011
17 김슬옹, "매체언어교육을 위한 학습자의 역동적 태도 구현 연구" 새국어교육 (83) : 57 ~ 98, 2009
18 윤여탁, "매체언어 교육의 본질에 대한 연구" 국어교육연구 (19) : 45 ~ 70, 2007
19 김동환, "매체교육과 언어인식" 국어교육학연구 (46) : 215 ~ 241, 2013
20 김대행, "매체 환경의 변화와 국어교육의 방향" 국어교육학연구 (28) : 5 ~ 36, 2007
21 강명희, "독일 유투브(YouTube)를 활용한 수업방안" 독어교육 47 (47) : 7 ~ 35, 2010
22 김영만, "다매체를 활용한 한국어 통합 교육 방안 -고급 수준 학습자를 중심으로-" 한말연구 (18) : 23 ~ 38, 2006
23 Hart, Andrew, "Understanding the Media" Routledge, 1991
24 이성희, "TeacherLang: 실시간 일체형 화상멀티시스템" 멀티미디어 언어교육 14 (1) : 249 ~ 262, 2011
25 장종욱, "SNS와 스마트세상 이해" 한산출판사, 2012
26 Blattner, G., "Facebook in the language classroom : Promises and possibilities" Instructional Technology and Distance Learning 6 (1) : 17 ~ 28, 2009
27 Sun, Y, "Extensive writing in foreing-language classrooms : A bloogging approach" Innovations in Education and Teaching International 47 (3) : 327 ~ 339, 2010
28 Jin, L, "Depaul Chinese studies program"
29 한국인터넷진흥원, "2013 한국인터넷백서" 2013
특집1: 근대전환기의 고전 이해와 한국학(한국문학)의 모색 : 국문학과 "근대"에 관한 몇 가지 생각
특집1: 근대전환기의 고전 이해와 한국학(한국문학)의 모색 : 「조선문학원류초본(朝鮮文學源流草本)」을 통해 본 정인보(鄭寅普)의 "조선문학" 구상
특집1: 근대전환기의 고전 이해와 한국학(한국문학)의 모색 : 근대 잡지에 수록된 전통 시가의 존재와 그 의미 -『신생』을 중심으로
특집2: 동아시아 문화와 사상의 교류와 변전 : 식민지 번역장(飜譯場)과 검열 -조명희의 『그 전날 밤』 번역을 중심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