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Ⅰ. 이제 민주시민교육이다
- Ⅱ. 유교적 근대성과 그 도덕적 지평
- Ⅲ. 헬조선 또는 메리토크라시의 배반
- Ⅳ. ‘형성적 기획’으로서의 민주시민교육
- Ⅴ. ‘시민적 자존감’: 한국 민주시민교육의 특별한 초점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3252069
2017
Korean
911
KCI등재
학술저널
7-36(30쪽)
7
0
상세조회0
다운로드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윌 킴리카, "현대정치철학의 이해" 동명사 2002
2 장은주, "한국 사회에서 ‘메리토크라시의 발흥’과 교육 문제: ‘민주주의적 정의’를 모색하며" 한국사회와철학연구회 (21) : 71-106, 2011
3 콜린 클라우치, "포스트 민주주의" 미지북스 2008
4 파울로 프레이리, "페다고지" 그린비 2002
5 장은주, "정치의 이동: 분배 패러다임을 넘어 존엄으로 진보를 리프레임하라" 상상너머 2012
6 알렉산더 우드사이드, "잃어버린 근대성들, 중국, 베트남, 한국 그리고 세계사의 위험성" 너머북스 2012
7 천관률, "이제 국가 앞에 당당히 선 ‘일베의 청년들’"
8 장은주, "유교적 근대성의 미래: 한국 근대성의 정당성 위기와 인간적 이상으로서의 민주주의" 한국학술정보 2014
9 오찬호, "우리는 차별에 찬성합니다: 괴물이 된 20대의 자화상" 개마고원 2013
10 장은주, "시민교육이 희망이다 : 한국 민주시민교육의 철학과 실천모델" 피어나 2017
1 윌 킴리카, "현대정치철학의 이해" 동명사 2002
2 장은주, "한국 사회에서 ‘메리토크라시의 발흥’과 교육 문제: ‘민주주의적 정의’를 모색하며" 한국사회와철학연구회 (21) : 71-106, 2011
3 콜린 클라우치, "포스트 민주주의" 미지북스 2008
4 파울로 프레이리, "페다고지" 그린비 2002
5 장은주, "정치의 이동: 분배 패러다임을 넘어 존엄으로 진보를 리프레임하라" 상상너머 2012
6 알렉산더 우드사이드, "잃어버린 근대성들, 중국, 베트남, 한국 그리고 세계사의 위험성" 너머북스 2012
7 천관률, "이제 국가 앞에 당당히 선 ‘일베의 청년들’"
8 장은주, "유교적 근대성의 미래: 한국 근대성의 정당성 위기와 인간적 이상으로서의 민주주의" 한국학술정보 2014
9 오찬호, "우리는 차별에 찬성합니다: 괴물이 된 20대의 자화상" 개마고원 2013
10 장은주, "시민교육이 희망이다 : 한국 민주시민교육의 철학과 실천모델" 피어나 2017
11 마이클 샌델, "민주주의의 불만" 동녘 2012
12 장은주, "메리토크라시와 존엄의 정치 - 시민적 주체의 형성 문제와 관련하여" 한국사회와철학연구회 (32) : 47-78, 2016
13 정수복, "당연의 세계 낯설게 보기" 생각의나무 2007
14 류동민, "능력주의 이데올로기의 위기: 탈조선의 사회심리학" (봄) : 2016
15 가라타니 고진, "근대문학의 종언" 도서출판b 2006
16 조국, "귀족과 속물의 나라에서 살아남기"
17 강준만, "개천에서 용 나면 안 된다" 인물과사상사 2015
18 Th. W. Adorno, "The Authoritarian Personality" Harper and Row 1950
19 S. White, "Equality" Polity Press 2007
20 W. Merkel, "Defekte Demokratie. Band 1: Theorie" Leske+Budrich 2003
21 Gesellschaft für Politikdidaktik und politische Jugend-und Erwachsenen-bildung, "Anforderungen an nationale Bildungsstandards für den Fachunterricht in der Politischen Bildung an Schulen. Ein Entwurf" Wochenschau 2005
22 S. Neckel, ">>Refeudalisierung<<- Systematik und Aktualität eines Begriffs der Habermas’schen Gesellschaftsanalyse" 41 : 2013
23 토마 피케티, "21세기 자본" 글항아리 2015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2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1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6-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2-02-27 | 학회명변경 | 영문명 : institute of korean studes -> Academia Koreana | ![]() |
2012-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8-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6-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57 | 0.57 | 0.57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56 | 0.61 | 1.133 | 0.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