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법학전문대학원에서의 법조윤리 교육의 실태와 개선방향 = The state of education of legal ethics in Law school and improving way -Refering the education of legal ethics in Japa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031730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method of selecting attorneys in Korea is changed from bar exam to Law school in 2009. Under the act on the establishment and management of professional Law schools, legal ethics is adopted as one of the required courses for the exam to be attorne...

      The method of selecting attorneys in Korea is changed from bar exam to Law school in 2009. Under the act on the establishment and management of professional Law schools, legal ethics is adopted as one of the required courses for the exam to be attorneys. Because there is no course that is legal ethics under bar exam system, reviewing the state and how performs the education of legal ethics in Law school is important at this stage which is after 5 years from starting the Law school system.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look behind the education of legal ethics in Law school for 5 years and review the problems of the education of legal ethics. Afterwards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provide the solution for the problems of legal ethics in Law school at this stage.
      In addition, Refering the study about education of legal ethics in Japan Las school which has been started 5 years ahead of us in 2004 such as how performs the education of legal ethics and which problems indicate is helpful.
      Therefore this paper compare the education of legal ethics in Korea Law school with Japan such as the state of education of legal ethics, which curriculum time is best, qualification of professor for legal ethics, range of education, teaching method and curriculum.
      Through these comparative and review, this paper point out problems of current education of legal ethics such as education level which enumerate the articles of Attorney At Law Act under the circumstances that the test type is only optional and the goal of education is preparing for the test of legal ethics by Ministry of Justice.
      After this pointing out, this paper provide the new teachig method such as performing the deepen learning by expressing students' own view through report and/or discussion and investing time for specific theme for deepen learning.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설
      • Ⅱ. 법학전문대학원에서의 법조윤리 교육의 필요성에 관한 일반적인 검토
      • Ⅲ. 법조윤리 교육의 내용 및 방법
      • Ⅳ. 일본 법과대학원의 법조윤리 교육
      • Ⅴ. 현행 법조윤리 교육의 문제점
      • Ⅰ. 서설
      • Ⅱ. 법학전문대학원에서의 법조윤리 교육의 필요성에 관한 일반적인 검토
      • Ⅲ. 법조윤리 교육의 내용 및 방법
      • Ⅳ. 일본 법과대학원의 법조윤리 교육
      • Ⅴ. 현행 법조윤리 교육의 문제점
      • Ⅵ. 결론 - 법조윤리 교육의 나아갈 방향
      • 참고문헌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논문관계도

      1 배기석, "한국의 법조윤리 교육의 회고와 향후 로스쿨에서의 법조윤리 교육방법" 법학연구 48 (1) : 1377 ~ 1400, 2007

      2 홍태석, "일본 법조인선발방식의 과제에서 본 우리 로스쿨의 발전방향" 법학논고 (37) : 461 ~ 486, 2011

      3 한인달, "법학전문대학원에서의 법조윤리 교육방법" 법과사회 (35) : 201 ~ 224, 2008

      4 박동진, "법조인 양성을 위한 법학전문대학원의 교육 방향" 저스티스 (124) : 35 ~ 64, 2011

      5 김재원, "법조윤리의 교육과 시험 - 한국과 미국의 비교법적 고찰 -" 성균관법학 22 (3) : 1123 ~ 1146, 2010

      6 가재환, "법조윤리교육의 필요성과 현황: 사법연수원의 법조윤리교육(1981~2000)" 법철학연구 4 (2), 2001

      7 김제완, "법조윤리 커리큘럼과 교재개요" 고려법학 (53) : 53 ~ 68, 2009

      8 이상원, "로스쿨에서의 형사실무 교육방법" 한국형사법학회 한국형사법학회 하계학술회의, 2008

      9 宮川光治, "法科大學院における法曹倫理敎育/ 司法修習における敎育と対比しながら" 法の支配, 2004

      10 森田明, "法科大學院における法曹倫理敎育" 神奈川法學 40 (1), 2007

      1 배기석, "한국의 법조윤리 교육의 회고와 향후 로스쿨에서의 법조윤리 교육방법" 법학연구 48 (1) : 1377 ~ 1400, 2007

      2 홍태석, "일본 법조인선발방식의 과제에서 본 우리 로스쿨의 발전방향" 법학논고 (37) : 461 ~ 486, 2011

      3 한인달, "법학전문대학원에서의 법조윤리 교육방법" 법과사회 (35) : 201 ~ 224, 2008

      4 박동진, "법조인 양성을 위한 법학전문대학원의 교육 방향" 저스티스 (124) : 35 ~ 64, 2011

      5 김재원, "법조윤리의 교육과 시험 - 한국과 미국의 비교법적 고찰 -" 성균관법학 22 (3) : 1123 ~ 1146, 2010

      6 가재환, "법조윤리교육의 필요성과 현황: 사법연수원의 법조윤리교육(1981~2000)" 법철학연구 4 (2), 2001

      7 김제완, "법조윤리 커리큘럼과 교재개요" 고려법학 (53) : 53 ~ 68, 2009

      8 이상원, "로스쿨에서의 형사실무 교육방법" 한국형사법학회 한국형사법학회 하계학술회의, 2008

      9 宮川光治, "法科大學院における法曹倫理敎育/ 司法修習における敎育と対比しながら" 法の支配, 2004

      10 森田明, "法科大學院における法曹倫理敎育" 神奈川法學 40 (1), 2007

      11 "https://jrti.scourt.go.kr/homepage/guide/execv/trdif.do"

      12 "http://www.moj.go.kr/HP/lawyer/sub_02/page_01.jsp"

      13 "http://www.chuo-u.ac.jp/academics/graduateschool/"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