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유아부모와 청소년이 경험한 유아-청소년 세대통합 프로젝트의 의미 연구 = An inquiry on the meaning of parents of young children and teenagers’ experiences involving in the young children-youth intergenerational project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543050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research is a case study of an intergenerational project co-designed by two groups; one group of a cooperative child-care community and another group of an alternative school for teenagers. The research aims to analyze the meaning of participants’ experiences from a point of view of a relationship-oriented education. The research was a qualitative study. Data was collected from participant observation and interviews with a focus group, consisting of parents at the cooperative child-care community and students at the alternative school. The analysis of data reflected that participants initially expressed both excitement and concerns about the project. Once the project took off, they were glad to be involved in the process of exchanging ideas regarding operation of the project, and appreciated having a chance to reflect their own inputs to the project through regular evaluations. The project provided the participants with an opportunity to give and receive care amongst multiple generations. The participants exchanged mutual benefits by sharing the joy of being together. The process of forming relationships amongst different generations gave them a chance to reflect on their own lives mirrored in others’ lives. They felt that they were in fact resources for each other in expanding the scope of their experience in life and learning. As a result of the project, the participants developed an open perspective about education. This research contributes to studies of intergenerational relationships. In particular, it addresses an integrated experience of children and teenagers, which is often not mentioned. It also has uniquely suggested diverse models of the intergenerational program.
      번역하기

      This research is a case study of an intergenerational project co-designed by two groups; one group of a cooperative child-care community and another group of an alternative school for teenagers. The research aims to analyze the meaning of participants...

      This research is a case study of an intergenerational project co-designed by two groups; one group of a cooperative child-care community and another group of an alternative school for teenagers. The research aims to analyze the meaning of participants’ experiences from a point of view of a relationship-oriented education. The research was a qualitative study. Data was collected from participant observation and interviews with a focus group, consisting of parents at the cooperative child-care community and students at the alternative school. The analysis of data reflected that participants initially expressed both excitement and concerns about the project. Once the project took off, they were glad to be involved in the process of exchanging ideas regarding operation of the project, and appreciated having a chance to reflect their own inputs to the project through regular evaluations. The project provided the participants with an opportunity to give and receive care amongst multiple generations. The participants exchanged mutual benefits by sharing the joy of being together. The process of forming relationships amongst different generations gave them a chance to reflect on their own lives mirrored in others’ lives. They felt that they were in fact resources for each other in expanding the scope of their experience in life and learning. As a result of the project, the participants developed an open perspective about education. This research contributes to studies of intergenerational relationships. In particular, it addresses an integrated experience of children and teenagers, which is often not mentioned. It also has uniquely suggested diverse models of the intergenerational program.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품앗이 공동육아를 함께하는 유아-부모 집단과 위탁형 대안학교 소속 청소년-교사 집단이 자발적으로 진행한 세대통합 프로젝트 사례를 분석하여 관계지향 유아교육 관점에서 구성원들의 경험을 이해하고 해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 연구의 목적을 위해 세대통합 프로젝트에 참여한 유아, 부모, 청소년, 교사 중 대안학교 청소년과 공동육아 부모를 주된 연구 참여자로 선정하여 참여관찰 및 면담을 통해 자료를 수집 하였다. 연구 결과, 참여자들은 함께 만들어가는 세대통합 프로그램 속에서 자발적인 만남을 시작하며 기대와 우려가 있었으며, 열린 방식 프로그램 운영에 관여하면서 고민의 과정과 재미를 경험하였고, 참여주체이면서 평가주체로서 지속적인 자체평가와 성찰의 시간을 가졌다. 또한 세대통합 프로그램을 통해 참여자들은 서로를 돌보고 챙기는 경험을 하였고 무엇보다 함께하는 즐거움을 경험하며 상호적인 유익을 교환하였다. 마지막으로 참여자들은 세대 간 관계를 형성하면서 서로의 삶에 투영된 나의 삶을 돌아보게 되었고, 서로가 서로의 자원이 되어 삶의 경험과 배움을 확장하였으며, 바람직한 교육에 대한 고민을 통해 교육에 대한 열린 생각을 갖게 되었다. 본 연구는 세대통합 프로그램에서 거의 다룬 적이 없었던 유아-청소년 세대의 통합 경험을 다루었다는 점과 다양한 세대통합 프로그램의 모델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연구적 의의를 갖는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품앗이 공동육아를 함께하는 유아-부모 집단과 위탁형 대안학교 소속 청소년-교사 집단이 자발적으로 진행한 세대통합 프로젝트 사례를 분석하여 관계지향 유아교육 관점에서 구...

      본 연구는 품앗이 공동육아를 함께하는 유아-부모 집단과 위탁형 대안학교 소속 청소년-교사 집단이 자발적으로 진행한 세대통합 프로젝트 사례를 분석하여 관계지향 유아교육 관점에서 구성원들의 경험을 이해하고 해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 연구의 목적을 위해 세대통합 프로젝트에 참여한 유아, 부모, 청소년, 교사 중 대안학교 청소년과 공동육아 부모를 주된 연구 참여자로 선정하여 참여관찰 및 면담을 통해 자료를 수집 하였다. 연구 결과, 참여자들은 함께 만들어가는 세대통합 프로그램 속에서 자발적인 만남을 시작하며 기대와 우려가 있었으며, 열린 방식 프로그램 운영에 관여하면서 고민의 과정과 재미를 경험하였고, 참여주체이면서 평가주체로서 지속적인 자체평가와 성찰의 시간을 가졌다. 또한 세대통합 프로그램을 통해 참여자들은 서로를 돌보고 챙기는 경험을 하였고 무엇보다 함께하는 즐거움을 경험하며 상호적인 유익을 교환하였다. 마지막으로 참여자들은 세대 간 관계를 형성하면서 서로의 삶에 투영된 나의 삶을 돌아보게 되었고, 서로가 서로의 자원이 되어 삶의 경험과 배움을 확장하였으며, 바람직한 교육에 대한 고민을 통해 교육에 대한 열린 생각을 갖게 되었다. 본 연구는 세대통합 프로그램에서 거의 다룬 적이 없었던 유아-청소년 세대의 통합 경험을 다루었다는 점과 다양한 세대통합 프로그램의 모델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연구적 의의를 갖는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병래, "행복한 삶을 위한 관계지향 유아교육의 방향"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 (20): 833-855, 2015

      2 박재흥, "한국의 세대문제 : 차이와 갈등을 넘어서" 나남출판 2005

      3 나항진, "학부모가 경험하는 1·3세대통합 프로그램의 의미 탐색"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 (20): 749-775, 2015

      4 황여정, "청소년의 세대통합 역량 증진을 위한 지원방안 연구" 한국 청소년정책연구원 2016

      5 홍정희, "청소년 지역사회 참여활동 경험의 교육적 의미 : ‘청소년 참여위원회’ 활동을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6

      6 최정인, "유아의 인성 함양에 미치는 조부모-손자녀 세대통합프로그램의 효과" 한국평생교육ㆍHRD연구소 12 (12): 167-184, 2016

      7 김영옥, "유아교육프로그램에 있어서 세대간 통합교육의 방향과 과제" 23 (23): 125-136, 2007

      8 허우정, "유아교육기관에서의 노인-아동 세대통합프로그램의 의미와 효과"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10 (10): 331-350, 2006

      9 김영옥, "유아-조부모 세대간 통합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한국유아교육학회 34 (34): 173-207, 2014

      10 이순형, "유아 세대통합 프로그램" 학지사 2011

      1 이병래, "행복한 삶을 위한 관계지향 유아교육의 방향"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 (20): 833-855, 2015

      2 박재흥, "한국의 세대문제 : 차이와 갈등을 넘어서" 나남출판 2005

      3 나항진, "학부모가 경험하는 1·3세대통합 프로그램의 의미 탐색"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 (20): 749-775, 2015

      4 황여정, "청소년의 세대통합 역량 증진을 위한 지원방안 연구" 한국 청소년정책연구원 2016

      5 홍정희, "청소년 지역사회 참여활동 경험의 교육적 의미 : ‘청소년 참여위원회’ 활동을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6

      6 최정인, "유아의 인성 함양에 미치는 조부모-손자녀 세대통합프로그램의 효과" 한국평생교육ㆍHRD연구소 12 (12): 167-184, 2016

      7 김영옥, "유아교육프로그램에 있어서 세대간 통합교육의 방향과 과제" 23 (23): 125-136, 2007

      8 허우정, "유아교육기관에서의 노인-아동 세대통합프로그램의 의미와 효과"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10 (10): 331-350, 2006

      9 김영옥, "유아-조부모 세대간 통합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한국유아교육학회 34 (34): 173-207, 2014

      10 이순형, "유아 세대통합 프로그램" 학지사 2011

      11 김정미, "예비부모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에 관한 연구 : 서울지역고등학생을 대상으로" 3 (3): 1-20, 2011

      12 나항진, "영유아교사가 경험하는 세대통합 프로그램의 의미에 관한 연구"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18 (18): 305-329, 2013

      13 김연옥, "어르신과 유아와의 통합프로그램이 유아 정서에 미치는 영향" 14 (14): 123-144, 2017

      14 Berk, L. E., "아동발달" 시그마플레스 2015

      15 박경란, "아동과 노인 간의 관계 향상을 위한 세대통합프로그램에 관한 연구" 한국생활과학회 13 (13): 17-27, 2004

      16 이승자, "아동・노인간 세대공동체교육 프로그램의 효과에 관한 연구" 한서대학교대학원 2007

      17 홍영란, "세대통합을 위한 교육・정보체제 개선 전략 연구(1): 실태 진단 및 정책 분석" 한국교육개발원 2013

      18 이경민, "세대통합 유아인성교육프로그램의 효과" 한국보육학회 17 (17): 115-136, 2017

      19 최상민, "세대공동체 봉사학습 프로그램의 효과-청소년과 시설노인을 중심으로-" 한국노년학회 27 (27): 163-177, 2007

      20 함인희, "세대갈등의 현주소와 세대통합의 전망" 47-69, 2013

      21 박화경, "세대 간 교류교육(Intergenerational Education)의 중요성과 교육모델에 대한 연구" 한국기독교교육정보학회 (26) : 261-290, 2010

      22 이병래, "문화 친화적 인재양성을 위한 영유아교육"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16 (16): 533-556, 2012

      23 김현경, "대안적 부모교육 프로그램의 개념적 관계망 개발을 위한 질적 연구" 열린부모교육학회 10 (10): 1-30, 2018

      24 이은숙, "노인과 유아의 원예활동 프로그램이 세대간의 상호작용과 인식변화에 미치는 영향" 한국원예학회 28 (28): 150-154, 2010

      25 신은정, "너싱홈(Nursing Home)프로그램이 유아의 행동발달에 미치는 영향" 미래유아교육학회 19 (19): 223-252, 2012

      26 배윤진, "너싱홈(Nursing Home)세대교류 프로그램이 유아의 인성발달에 미치는 영향" 27 (27): 53-70, 2009

      27 한정란, "교육 노년학" 학지사 2001

      28 임영심, "교실이 행복한 관계지향 수업 방법 모색"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 (20): 83-110, 2015

      29 황해익, "관계지향 유아교육을 위한 유아강점기반평가"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 (20): 29-49, 2015

      30 김민진, "관계지향 유아 행복교육을 위한 전문가 델파이 조사 연구"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 (20): 51-81, 2015

      31 이기범, "공동육아 공동체의 가치와 의미 : 함께 크는 우리아이" 또 하나의 문화 1994

      32 황해익, "‘행복한 삶’을 위한 관계지향 유아교육의 실천적 과제 2: 평가" 89-103, 2014

      33 임영심, "‘행복한 삶’을 위한 관계지향 유아교육의 실천적 과제 1: 내용 및 교수학습 방법" 73-87, 2014

      34 김미란, "‘육아공동체’에서 부모참여의 가능성과 한계: 가족에 의한 공동체의 형성과 경계들" 한국교육사회학회 18 (18): 19-60, 2008

      35 Jarrott, S. E., "Where have we been and where are we going? Content analysis of evaluation research of intergenerational programs" 9 (9): 37-52, 2011

      36 Kuehne, V. S., "The state of our art : A review of theories used in intergenerational program research(2003-2014)and ways forward" 12 (12): 317-346, 2014

      37 VanderVen, K., "The road to intergenerational theory is under construction : A continuing story" 9 (9): 22-36, 2011

      38 Jarrott, S. E., "The complement of research and theory in practice : Contact theory at work in nonfamilial intergenerational programs" 51 (51): 112-121, 2010

      39 Epstein, A. S., "Let’s do something together: Identifying the effective components of intergenerational programs" 3 (3): 87-109, 2006

      40 Epstein, A. S., "Let’s do something together: A guidebook for effective intergenerational programs" HighScope Press 2005

      41 Bernard, M., "Keynote 1. Research, policy, practice, and theory : Interrelated dimensions of a developing field" 4 (4): 5-21, 2006

      42 Short-DeGraf, M. A., "Intergenerational program effects on social responses of elderly adults day care members" 22 : 467-482, 1996

      43 Griff, M., "Intergenerational activity analysis with three groups of older adults : Frail, community-living, and Alzheimer’s" 22 : 601-612, 1996

      44 Gigliotti. C., "An intergenerational summer program involving persons with dementia and preschool children" 31 (31): 425-441, 2005

      45 황미혜, "3세대 하모니 자원봉사자를 활용한 그림책 관련활동이 유아의 노인에 대한 인식 및 정서조절에 미치는 영향" 전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46 교육과학기술부, "3-5세 연령별 누리과정 교사용 지침서" 교육과학기술부, 보건복지부 2013

      47 우남희, "21세기 한국사회의 공동체적 정체성 형성을 위한 공동체 교육 : 이론과 실천의 장기참여관찰 연구" 한국학술술진흥재단 2001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1998-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2.72 2.72 2.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2.74 2.67 3.087 0.56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