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1231~1232년 외교 문서를 통해 본 고려의 대몽對蒙 교섭 상의 특징 = A Study on the Diplomatic Letters of the Koryo Dynasty Dispatched to the Mongols in 1231~1232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02648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A war between the Koryo dynasty and the Mongols had begun in the eighth month of 1231 with a first strike by the Mongols. To pacify this war, the Koryo court dispatched nineteen diplomatic letters altogether in thirteen months to the Mongols with whom...

      A war between the Koryo dynasty and the Mongols had begun in the eighth month of 1231 with a first strike by the Mongols. To pacify this war, the Koryo court dispatched nineteen diplomatic letters altogether in thirteen months to the Mongols with whom the Koryo people had not quite accepted an official diplomatic relations. Thus, this very period, 1231-1232, when the Koryo court started to communicate with the new-rising Mongols in a form of diplomatic letters should be noted as one of the important moments of the history of the Koryo's diplomatic exchanges. Below is the list of the nineteen documents and the titles of the source according to an estimated chronological order which is argued in the second chapter of this paper.
      Word choices, structure of contents, and routes of delivery of the nineteen Koryo letters are also discussed in the following chapter. It appears that the Koryo court had not reached to a full understanding on the changing phase of Northeast Asia; so that it saw the Mongols as one of the short-lived polities in the northern border area and did not fully engaged in the communication with the higher Mongol authority. Consequently the Koryo court failed to conciliate the Mongols and the war continued on.
      Summing up, the nineteen letters are a window showing the very first moment when the Koryo encountered the new diplomatic order in which the Mongols take priority. Also those letters are the evidences of the last practice of the diplomatic policy that the Koryo had been accustomed to since its establishment in the 10th century.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1231년 8월 시작된 몽고의 공격으로 고려와 몽고 간에 전쟁이 일어났다. 고려 조정은 그 해 12월부터 1232년 12월까지 19건에 달하는 외교 문서를 몽고에 보내며 종전을 위해 노력하였다. 따라서 ...

      1231년 8월 시작된 몽고의 공격으로 고려와 몽고 간에 전쟁이 일어났다. 고려 조정은 그 해 12월부터 1232년 12월까지 19건에 달하는 외교 문서를 몽고에 보내며 종전을 위해 노력하였다. 따라서 외교적 교섭의 측면에서 볼 때 1231년은 고려가 그들과 외교 문서를 통해 소통을 시작한 해라는 의미가 있다. 본고는 이 시기 양국 관계의 진행 과정 속에서 대몽 외교 문서의 발송 순서를 다음과 같이 정리하여 보았다.
      아울러, 상기 19건의 외교 문서에 사용된 어휘와 내용 구조, 문서가 전달된 경로 등을 함께 분석하여 당시 고려 조정이 몽고와의 외교 교섭에 임하는 자세와 여몽 관계를 바라보는 입장 등을 파악해 보았다.
      고려는 표면적으로는 몽고를 우위로 하는 외교 질서를 상정하고 이에 충실한 소국의 지위를 자처하는 듯한 자세를 취하였고, 대체로 그에 부합하는 지칭 표현을 선택하였다. 그러나 외교 문서에 사용된 표현을 면밀히 살펴보면, 대국과 소국의 지위 설정에 다소 걸맞지 않는 어휘들도 사용되었다. 또한 종전을 위해 많은 외교 문서를 발송하면서도 몽고의 최고 정책결정권자인 황제 대신 전쟁 사령관을 주요 대화 상대로 설정하고, 그들에 의해 조성된 담화 상황에 수동적으로 응하는 모습을 확인하였다. 즉 고려는 몽고와의 관계를 장기적 안목에서 계획하거나 전망하기보다는 현재 직면한 갈등 상황을 해결하기 위한 한시적 교섭의 대상으로만 이해하였다고 생각된다.
      이렇게 볼 때 본고에서 다룬 1231~1232년의 대몽 외교 문서들은 고려가 몽고 우위의 외교 질서에 직면하게 되는 첫 번째 교섭 상황을 압축적으로 보여주며, 이 시기는 건국 이래 고려가 수행해 왔던 전기적前期的 외교 질서와 그에 기반한 교섭 관행이 더 이상 유효하지 않음을 깨닫게 되는 기점으로, 고려 왕조의 대외 교섭사적 측면에서 작지 않은 의미를 갖는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성철, "한국 사회와 호칭어" 역락 2005

      2 박용운, "이규보의 사례를 통해 본 崔氏집권기 官制 운영의 실상" 53 : 2001

      3 윤영인, "몽골 이전 동아시아의 다원적 국제관계" 3 : 2005

      4 강재광, "몽고침입에 대한 최씨정권의 외교적 대응" 서강대학교 2007

      5 이재범, "대몽항전의 성격에 대하여―계층별 항전을 중심으로" 백산학회 70 : 2004

      6 유송영, "국어 호칭‧지칭어와 청자 대우 어미의 독립성―‘담화 상황’과 관련된 사용을 중심으로" 32 : 1998

      7 이정복, "국어 경어법과 사회언어학" 월인 1998

      8 周采赫, "고려시대의 용인" 용인시 용인문화원 1998

      9 이미지, "고려시기 對거란 외교의 전개와 특징" 고려대학교 2012

      10 尹龍赫, "高麗의 海島入保策과 蒙古의 戰略變化―麗蒙戰爭 展開의 一樣相" 歷史敎育硏究會 32 : 1982

      1 김성철, "한국 사회와 호칭어" 역락 2005

      2 박용운, "이규보의 사례를 통해 본 崔氏집권기 官制 운영의 실상" 53 : 2001

      3 윤영인, "몽골 이전 동아시아의 다원적 국제관계" 3 : 2005

      4 강재광, "몽고침입에 대한 최씨정권의 외교적 대응" 서강대학교 2007

      5 이재범, "대몽항전의 성격에 대하여―계층별 항전을 중심으로" 백산학회 70 : 2004

      6 유송영, "국어 호칭‧지칭어와 청자 대우 어미의 독립성―‘담화 상황’과 관련된 사용을 중심으로" 32 : 1998

      7 이정복, "국어 경어법과 사회언어학" 월인 1998

      8 周采赫, "고려시대의 용인" 용인시 용인문화원 1998

      9 이미지, "고려시기 對거란 외교의 전개와 특징" 고려대학교 2012

      10 尹龍赫, "高麗의 海島入保策과 蒙古의 戰略變化―麗蒙戰爭 展開의 一樣相" 歷史敎育硏究會 32 : 1982

      11 尹龍赫, "高麗對蒙抗爭史硏究" 一志社 1991

      12 "高麗史節要"

      13 "高麗史"

      14 주채혁, "高麗內地의 達魯花赤 置廢에 관한 小考" 1 : 1974

      15 정선용, "趙沖의 對蒙交涉과 그 政治的 意味 -崔忠獻政權과 國王의 관계에 주목하여-" 진단학회 (93) : 111-144, 2002

      16 여원관계사연구팀, "譯註 元高麗紀事" 선인 2008

      17 李益柱, "蒙古帝国の侵略と高麗の抵抗" 歷史科學協議會 619 : 2001

      18 姜在光, "蒙古侵入에 대한 崔氏政權의 外交的 對應" 경인문화사 2011

      19 箭内亘, "蒙古の高麗経略" 東京帝國大學文學部 4 : 1918

      20 池內宏, "蒙古の高麗征伐" 東京帝國大學文學部 10 : 1924

      21 高柄翊, "蒙古‧高麗의 兄弟盟約의 性格" 6 : 1969

      22 "東文選"

      23 "東國李相國集"

      24 高柄翊, "東亞交涉史의 硏究" 서울대출판부 1970

      25 周采赫, "札刺와 撒禮塔" 高麗大學校史學會 21‧22 : 1977

      26 尹龍赫, "崔氏武人政權의 對蒙抗爭姿勢" 高麗大學校史學會 21‧22 : 1977

      27 近藤剛, "嘉祿‧安貞期(高麗高宗代)の日本‧高麗交涉について" 207 : 2008

      28 周采赫, "初期 麗元戰爭과 北界 四十餘城 問題" 16 : 1970

      29 周采赫, "初期 麗蒙戰爭 略察―兩軍의 作戰與件을 中心으로" 청주대 사학회 3 : 1979

      30 "元高麗紀事"

      31 池內宏, "元寇の新硏究" 東洋文庫 1931

      32 Peter FARB, "Word Play: what happens when people talk" Bantam 1979

      33 Gari LEDYARD, "Two Mongol Documents from the Koryosa" 83 (83): 1963

      34 Gari LEDYARD, "The Mongol campaigns in Korea and the dating of the Secret History of the Mongols" 9 : 1964

      35 W. E. HENTHORN, "Korea: the Mongol Invasions" E.J.Brill 1963

      36 이미지, "13세기 초 고려의 국제 환경 변화와 생애 기록-고려 墓誌를 중심으로" 고려사학회 (55) : 81-115, 2014

      37 이미지, "13세기 고려 기록에 나타난 몽고와그에 투영된 고려인" 만주학회 (17) : 39-71, 2014

      38 이미지, "1231・1232년 對蒙 表文을 통해 본 고려의 몽고에 대한 외교적 대응" 고려사학회 (36) : 235-267, 2009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8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9-08-01 학회명변경 영문명 : Korea Studies Adancement Center -> The Korean Studies Institute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65 0.65 0.6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56 0.62 1.324 0.18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