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한국현대무용 시대적 흐름에 관한 연구 : 국제현대무용제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Trends in Korean Modern Dance : Centering around 20-year international modern dance festival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895040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한국 현대무용의 흐름에 지대한 영향을 미친 국제현대무용제에 대해 구체적으로 고찰해 봄으로써 한국의 현대무용의 발전사를 되짚어보고, 국제현대무용제가 한국현대무용에 끼친 영향력을 구체적으로 고찰하고자 한다. 이러한 연구들을 통해 오늘날 현대무용이 좀 더 새로운 예술세계로 나아갈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며, 현대무용의 질적 향상을 위한 토대를 마련하고자 한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지난 20년 동안의 국제현대무용제의 공연 분석을 통하여 국제현대무용제의 흐름을 살펴보고, 한국현대무용의 발전 동향을 비교, 분석함으로써 국제현대무용제가 한국현대무용에 미친 영향과 변화를 다각적이고, 구체적으로 밝히는데 목적이 있다.
      이러한 연구의 목적을 위하여 1982년 한국현대무용 향연에서부터 2001년 국제현대무용제까지 20년간의 공연현황과 특성 및 그 정착에 대해 알아보고, 이러한 공연들이 한국현대무용에 미친 영향과 변화를 밝히기 위해 문헌연구를 통하여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았다.
      1. 국제현대무용제의 변천과정을 살펴보면 1982년에 한국현대무용향연으로 시작하여 1988년 국제현대무용제로 명칭이 바뀌었고 1984년 일본의 참가로 해마다 해외 무용단의 공연수가 늘어났다.
      2. 한국현대무용의 발전 동향은 ① 한국현대무용의 수용으로는 1926년 일본인 이시이 바쿠에 의해 현대무용이 소개되어 서구기법의 무용을 통해 민족의 얼을 담은 주제를 선정하여 새로운 수용형태를 추구하였다. ② 한국현대무용의 정착은 1960년대 이화여자대학교를 중심으로 4년제 무용과의 설립과 1970년대 중반에 컨템포러리무용단이 창단 되면서 각 대학 무용단들의 창단으로 활발한 활동에 의해 한국현대무용이 정착되었다. ③ 한국 현대무용의 발전에서는 탈 마사그라함, 불교적 관념성, 동양적인 철학반영, 한국적 소재를 중심적으로 활용하였다. 오락성과 역동성을 적용한 작품들이 등장하였고, 소극장운동의 확산과 다양한 실험적 접근을 하여서 한국 현대무용이 양적으로 발전이 되었다. ④ 1990년대 이후 한국 현대무용의 동향은 활발한 국제교류를 통하여 국내 무용가들에게 다양한 예술적 욕구를 충족시켜주었고, 전통적인 극장양식에서 벗어나 야외공연과 무대공간의 다양화되어 춤의 대중화를 가져왔다.
      3. 국제현대무용제가 한국현대무용에 미친 영향으로는 ① 국내 현대무용단의 해외 공연과 해외 현대무용단의 국내 공연으로 국제교류가 확산되었다. ② ADF 개최로 인한 한국의 현대무용 전공학생들에게 무용수 개개인이 지닌 다양성을 소개함으로 국내무용가를 세계현대무용의 흐름과 접할 수 있는 국제 무대에 세우는 역할을 하였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한국 현대무용의 흐름에 지대한 영향을 미친 국제현대무용제에 대해 구체적으로 고찰해 봄으로써 한국의 현대무용의 발전사를 되짚어보고, 국제현대무용제가 한국현대무용에 끼...

      본 연구는 한국 현대무용의 흐름에 지대한 영향을 미친 국제현대무용제에 대해 구체적으로 고찰해 봄으로써 한국의 현대무용의 발전사를 되짚어보고, 국제현대무용제가 한국현대무용에 끼친 영향력을 구체적으로 고찰하고자 한다. 이러한 연구들을 통해 오늘날 현대무용이 좀 더 새로운 예술세계로 나아갈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며, 현대무용의 질적 향상을 위한 토대를 마련하고자 한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지난 20년 동안의 국제현대무용제의 공연 분석을 통하여 국제현대무용제의 흐름을 살펴보고, 한국현대무용의 발전 동향을 비교, 분석함으로써 국제현대무용제가 한국현대무용에 미친 영향과 변화를 다각적이고, 구체적으로 밝히는데 목적이 있다.
      이러한 연구의 목적을 위하여 1982년 한국현대무용 향연에서부터 2001년 국제현대무용제까지 20년간의 공연현황과 특성 및 그 정착에 대해 알아보고, 이러한 공연들이 한국현대무용에 미친 영향과 변화를 밝히기 위해 문헌연구를 통하여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았다.
      1. 국제현대무용제의 변천과정을 살펴보면 1982년에 한국현대무용향연으로 시작하여 1988년 국제현대무용제로 명칭이 바뀌었고 1984년 일본의 참가로 해마다 해외 무용단의 공연수가 늘어났다.
      2. 한국현대무용의 발전 동향은 ① 한국현대무용의 수용으로는 1926년 일본인 이시이 바쿠에 의해 현대무용이 소개되어 서구기법의 무용을 통해 민족의 얼을 담은 주제를 선정하여 새로운 수용형태를 추구하였다. ② 한국현대무용의 정착은 1960년대 이화여자대학교를 중심으로 4년제 무용과의 설립과 1970년대 중반에 컨템포러리무용단이 창단 되면서 각 대학 무용단들의 창단으로 활발한 활동에 의해 한국현대무용이 정착되었다. ③ 한국 현대무용의 발전에서는 탈 마사그라함, 불교적 관념성, 동양적인 철학반영, 한국적 소재를 중심적으로 활용하였다. 오락성과 역동성을 적용한 작품들이 등장하였고, 소극장운동의 확산과 다양한 실험적 접근을 하여서 한국 현대무용이 양적으로 발전이 되었다. ④ 1990년대 이후 한국 현대무용의 동향은 활발한 국제교류를 통하여 국내 무용가들에게 다양한 예술적 욕구를 충족시켜주었고, 전통적인 극장양식에서 벗어나 야외공연과 무대공간의 다양화되어 춤의 대중화를 가져왔다.
      3. 국제현대무용제가 한국현대무용에 미친 영향으로는 ① 국내 현대무용단의 해외 공연과 해외 현대무용단의 국내 공연으로 국제교류가 확산되었다. ② ADF 개최로 인한 한국의 현대무용 전공학생들에게 무용수 개개인이 지닌 다양성을 소개함으로 국내무용가를 세계현대무용의 흐름과 접할 수 있는 국제 무대에 세우는 역할을 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examines 20-year international modern dance festivals which have a great influence on the Korean modern dance development and sets the basis on a quality modern dance to make Korean modern dance step on a new art worl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20 year international modern dance festivals, see about the current of international modern dance, and compare the trends of Korean modern dance and international modern dance in order to find out specifically what effects the festivals have on Korean modern dance in various ways.
      Contents of the dance festivals and their characteristics of 20 year dance festivals from 1982 to 2001 were analyzed to collect necessary informations for a further study on modern dance changes of the times. The results of the analysis and comparison are as follows;
      1. There has been a change of the name of the dance festivals, from 'Modern Dance Performance' held in 1982 to 'International Modern Dance Festival' held in 1988. In 1984 Japanese dancers took part in the festival for the first time with an increase of the number of international dance festivals.
      2. According to the trend of Korean modern dance development,
      ⑴ In 1926 Japanese Ishi Baku introduced first modern dance to Korea and Korean dancers accepted it by planting Korean spirit into it.
      ⑵ Korean modern dance began with establishment of a 4-year dance department in Ihwa women's university and foundation of 'Contemporary Dance Company' in the middle of 1970.
      ⑶ The trends of Korean modern dance include beyond-Marsa Graham techniques, Buddhistic ideology, Eastern philosophy and subjects of Korean things. Korean modern dance developed with an increase of little theaters, and various experimental performances.
      ⑷ One of the most important trends after 1990 is a popularization of dance by escaping the traditional theater to outdoor performances and creative changes of stage.
      3. Influences which international dance festivals have had on Korean dance ;
      ⑴ There have been increasing exchanges of Korean dance companies and other countries' dance companies.
      ⑵ ADF in Korea gave a chance for Korean students majoring in dance to explore modern dancers' techniques from other countries.
      번역하기

      This study examines 20-year international modern dance festivals which have a great influence on the Korean modern dance development and sets the basis on a quality modern dance to make Korean modern dance step on a new art world. The purpose of this...

      This study examines 20-year international modern dance festivals which have a great influence on the Korean modern dance development and sets the basis on a quality modern dance to make Korean modern dance step on a new art worl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20 year international modern dance festivals, see about the current of international modern dance, and compare the trends of Korean modern dance and international modern dance in order to find out specifically what effects the festivals have on Korean modern dance in various ways.
      Contents of the dance festivals and their characteristics of 20 year dance festivals from 1982 to 2001 were analyzed to collect necessary informations for a further study on modern dance changes of the times. The results of the analysis and comparison are as follows;
      1. There has been a change of the name of the dance festivals, from 'Modern Dance Performance' held in 1982 to 'International Modern Dance Festival' held in 1988. In 1984 Japanese dancers took part in the festival for the first time with an increase of the number of international dance festivals.
      2. According to the trend of Korean modern dance development,
      ⑴ In 1926 Japanese Ishi Baku introduced first modern dance to Korea and Korean dancers accepted it by planting Korean spirit into it.
      ⑵ Korean modern dance began with establishment of a 4-year dance department in Ihwa women's university and foundation of 'Contemporary Dance Company' in the middle of 1970.
      ⑶ The trends of Korean modern dance include beyond-Marsa Graham techniques, Buddhistic ideology, Eastern philosophy and subjects of Korean things. Korean modern dance developed with an increase of little theaters, and various experimental performances.
      ⑷ One of the most important trends after 1990 is a popularization of dance by escaping the traditional theater to outdoor performances and creative changes of stage.
      3. Influences which international dance festivals have had on Korean dance ;
      ⑴ There have been increasing exchanges of Korean dance companies and other countries' dance companies.
      ⑵ ADF in Korea gave a chance for Korean students majoring in dance to explore modern dancers' techniques from other countrie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 요약 = i
      • 표목차 = iv
      • 그림목차 = viii
      • I. 서론 = 1
      • 1. 연구의 필요성 = 1
      • 국문 요약 = i
      • 표목차 = iv
      • 그림목차 = viii
      • I. 서론 = 1
      • 1. 연구의 필요성 = 1
      • 2. 연구의 목적 = 3
      • 3. 연구 변인 및 가설 = 4
      • 4. 용어의 정의 = 7
      • II. 이론적 배경 = 9
      • 1. 비만수준과 스트레스의 개념 = 9
      • 2. 개인적 특성과 비만 = 14
      • 3. 교사의 지지와 무용참가 = 15
      • 4. 비만과 무용참가 = 17
      • III. 연구 방법 = 19
      • 1. 연구 대상 = 19
      • 2. 조사 도구 = 20
      • 3. 조사 절차 = 26
      • 4. 자료 처리 = 27
      • IV. 결과 = 28
      • 1. 배경적 특성과 비만수준 = 30
      • (1) 개인적 특성과 비만수준 = 32
      • (2) 교사의 지지와 비만수준 = 32
      • (3) 무용전공과 비만수준 = 33
      • 2. 비만수준과 비만스트레스 = 35
      • 3. 비만수준과 무용참가 = 36
      • 4. 배경적 특성과 무용참가 = 37
      • (1) 개인적 특성과 무용참가 = 38
      • (2) 교사의 지지와 무용참가 = 39
      • 5. 비만수준 과 비만스트레스 및 무용참가 = 40
      • V. 논의 = 42
      • 1. 배경특성과 비만수준 = 42
      • 2. 비만수준과 비만스트레스 = 43
      • 3. 비만수준과 무용참가 = 44
      • 4. 배경적 특성과 무용참가 = 45
      • 5. 비만수준 및 비만스트레스와 무용참가 = 46
      • VI. 결론 및 제언 = 48
      • 1. 결론 = 48
      • 2. 제언 = 51
      • 참고문헌 = 52
      • 부록 = 57
      • ABSTRACT = 62
      • 표목차
      • 표 1. 연구 대상의 일반적 특성 = 20
      • 표 2. 비만스트레스 설문 문항에 대한 구성 타당도 검증을 위한 주성분 분석 = 22
      • 표 3. 교사의 지지 설문 문항에 대한 구성 타당도 검증을 위한 주성분 분석 = 25
      • 표 4. 설문지의 주요 구성표 = 26
      • 표 5. 연구변인들간의 상관관계분석 = 30
      • 표 6. 배경적 특성이 비만수준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중다회귀분석 = 31
      • 표 7. 개인적 특성이 비만수준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중다회귀분석 = 32
      • 표 8. 교사의 지지가 비만수준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중다회귀분석 = 33
      • 표 9. 비만수준의 집단별 평균 및 표준편차 = 34
      • 표 10. 무용전공에 따른 비만수준차이에 대한 변량분석 = 34
      • 표 11. 비만수준과 비만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중다회귀분석 = 36
      • 표 12. 비만수준이 무용참가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중다회귀분석 = 37
      • 표 13. 배경적 특성이 무용참가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중다회귀분석 = 38
      • 표 14. 개인적 특성이 무용참가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중다회귀분석 = 39
      • 표 15. 교사의 지지가 무용참가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중다회귀분석 = 39
      • 표 16. 비만수준 및 비만스트레스와 무용참가 간의 관계에 관한 중다회귀분석 = 40
      • 그림목차
      • 그림 1. 비만 수준과 무용참가 관계의 연구 변인 = 5
      • 그림 2. 개인적특성과 비만 수준과 비만스트레스 및 무용참가간의 인과모형 = 41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