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비만도에 따른 모발 조직 내 미네랄 함량 연구 = Analysis of Hair Tissue Mineral Contents according to Body Mass Index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49434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compare the hair mineral status of obese, over-weighted and non-obese individuals, to gather basic data for customizing menu development and to create an education manual for the obese persons. Food preferences or various disease states could be suggested by different mineral patterns in TMA(tissue mineral analysis). The results indicated that Zn status was considerably lower in the obese individuals than in the non-obese(p<0.001) whereas hair Na(p<0.0001), K(p<0.01) and Fe(p<0.05) were at significantly higher levels in the obese individuals. The ratio of Ca/K(p<0.001) was significantly lower in the obese than in the non-obese. But the levels of hair toxic minerals such as Sb, As, Hb, Al et al. were not differ according to BMI groups. The obtained data demonstrate the changes of hair mineral content in both overweight and obese individuals thus suggesting metabolic mineral disturbance in those groups.
      번역하기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compare the hair mineral status of obese, over-weighted and non-obese individuals, to gather basic data for customizing menu development and to create an education manual for the obese persons. Food preferences or various...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compare the hair mineral status of obese, over-weighted and non-obese individuals, to gather basic data for customizing menu development and to create an education manual for the obese persons. Food preferences or various disease states could be suggested by different mineral patterns in TMA(tissue mineral analysis). The results indicated that Zn status was considerably lower in the obese individuals than in the non-obese(p<0.001) whereas hair Na(p<0.0001), K(p<0.01) and Fe(p<0.05) were at significantly higher levels in the obese individuals. The ratio of Ca/K(p<0.001) was significantly lower in the obese than in the non-obese. But the levels of hair toxic minerals such as Sb, As, Hb, Al et al. were not differ according to BMI groups. The obtained data demonstrate the changes of hair mineral content in both overweight and obese individuals thus suggesting metabolic mineral disturbance in those group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는 BMI에 따른 미량 영양소의 불균형과 비만과의 관련성을 관찰하고 향후 모발 미네랄 상태에 따른 균형식 처방을 위한 메뉴 개발의 기초 자료 수집을 목적으로 수행되었으며, 건강한 성인 148명을 대상으로 BMI에 따른 모발 미네랄의 차이를 비교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BMI의 평균은 정상군 20.56±1.27 ㎏/㎡, 과체중군은 24.17± 0.63 ㎏/㎡, 비만군은 27.72±9.79 ㎏/㎡이었으며, 정상체중군에 비해 과체중과 비만군이 유의적으로 키가 크고 체중도 높게 나타났다(P<0.001). BMI에 따른 모발 조직 내 미네랄 함량을 분석한 결과, 모발의 아연(Zn) 함량은 비만도가 높을수록 감소하는 경향을 보여서 비만도가 높을수록 모발의 아연 농도가 감소하였으며, 정상체중군에서 가장 높았다(p<0.001). 이와는 달리 모발의 Na(p<0.0001)와 K(p<0.01) 함량은 체중이 증가함에 따라 모발 내 농도도 증가하는 경향을 보여주면서 비만군에서 유의적으로 높았다. 철분 역시 체중이 증가함에 따라 유의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p<0.05). 독성 미네랄인 안티모니(antimony: Sb), 우라늄(uranium:U), 비소(arsenic: As), 베릴륨(beryllium: Be), 수은(mercury: Hg), 카드뮴(cadmium: Cd), 납(lead: Pb)과 알루미늄(aluminum: Al)의 모발 조직 내 함량은 BMI에 따른 유의적인 차이가 관찰되지 않았다. BMI에 따른 모발 조직내 기타 원소들의 함량은 체중이 증가할수록 루비듐(Rb)이 증가하였으나, 다른 미량 미네랄에서는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BMI에 따른 모발 조직내 Ca/Mg 비율의 차이는 관찰되지 않았지만 Ca/K 비율은 비만도가 높을수록 낮아지는 경향을 보였으며, 과체중군에 비해 비만군에서 더욱 뚜렷하게 낮아졌다(p<0.001).
      본 연구의 제한점으로는 비교 분석이 가능한 모발 미네랄 자료가 불충분하여 외국인의 기준을 적용하였다는 점과 모발 미네랄 사이의 상호관련성을 비교하여 해석하기 어려운 점, 혈액 등 다른 생화학적 지표를 동시에 측정하지 못하여 비교를 하지 못한 점 등이 있으나, BMI에 따른 분명한 차이를 나타낸 Na, K, Fe, Zn 등은 비만에 따른 미네랄 불균형의 결과로 볼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정상체중군은 과체중이나 비만군에 비해 모발 조직의 아연(Zn)이 높고 나트륨(Na), 칼륨(K), 철(Fe) 등이 낮은 특징을 갖고 있는데, 비만군에게 이들 미네랄이 조정된 메뉴를 제공하여 음식물로 섭취하도록 권장할 필요가 있다. 또한, 현재의 연구 결과를 특정 미네랄의 불균형과 비만을 직접적으로 연관지어 해석하는데 무리가 있지만 모발 미네랄의 불균형을 조정하여 정상체중군과 비슷한 수치로 변화시킬 경우, 비만이 해소될 가능성도 고려해 볼 수 있다. 그러므로 이 연구를 통하여 개인별로 서로 다른 비만의 요인을 평가하는 도구로 모발 미네랄의 활용 가능성을 탐색할 수 있었으며, 비만과 연관성이 있는 미네랄을 조절할 수 있는 음식을 섭취하거나 과잉으로 평가된 미네랄을 제한하는 등의 개인별 맞춤 식사 처방의 근거자료로 활용할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했다. 향후 이러한 미네랄 불균형이 이루어지게 되는 의학적, 개인적, 환경적 그리고 심리적 문제점을 파악하여 일반적 비만관리 지침이 아닌 개인별로 세분화된 통합적 관점에서의 접근이 필요한 것으로 보인다.
      번역하기

      이 연구는 BMI에 따른 미량 영양소의 불균형과 비만과의 관련성을 관찰하고 향후 모발 미네랄 상태에 따른 균형식 처방을 위한 메뉴 개발의 기초 자료 수집을 목적으로 수행되었으며, 건강한...

      이 연구는 BMI에 따른 미량 영양소의 불균형과 비만과의 관련성을 관찰하고 향후 모발 미네랄 상태에 따른 균형식 처방을 위한 메뉴 개발의 기초 자료 수집을 목적으로 수행되었으며, 건강한 성인 148명을 대상으로 BMI에 따른 모발 미네랄의 차이를 비교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BMI의 평균은 정상군 20.56±1.27 ㎏/㎡, 과체중군은 24.17± 0.63 ㎏/㎡, 비만군은 27.72±9.79 ㎏/㎡이었으며, 정상체중군에 비해 과체중과 비만군이 유의적으로 키가 크고 체중도 높게 나타났다(P<0.001). BMI에 따른 모발 조직 내 미네랄 함량을 분석한 결과, 모발의 아연(Zn) 함량은 비만도가 높을수록 감소하는 경향을 보여서 비만도가 높을수록 모발의 아연 농도가 감소하였으며, 정상체중군에서 가장 높았다(p<0.001). 이와는 달리 모발의 Na(p<0.0001)와 K(p<0.01) 함량은 체중이 증가함에 따라 모발 내 농도도 증가하는 경향을 보여주면서 비만군에서 유의적으로 높았다. 철분 역시 체중이 증가함에 따라 유의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p<0.05). 독성 미네랄인 안티모니(antimony: Sb), 우라늄(uranium:U), 비소(arsenic: As), 베릴륨(beryllium: Be), 수은(mercury: Hg), 카드뮴(cadmium: Cd), 납(lead: Pb)과 알루미늄(aluminum: Al)의 모발 조직 내 함량은 BMI에 따른 유의적인 차이가 관찰되지 않았다. BMI에 따른 모발 조직내 기타 원소들의 함량은 체중이 증가할수록 루비듐(Rb)이 증가하였으나, 다른 미량 미네랄에서는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BMI에 따른 모발 조직내 Ca/Mg 비율의 차이는 관찰되지 않았지만 Ca/K 비율은 비만도가 높을수록 낮아지는 경향을 보였으며, 과체중군에 비해 비만군에서 더욱 뚜렷하게 낮아졌다(p<0.001).
      본 연구의 제한점으로는 비교 분석이 가능한 모발 미네랄 자료가 불충분하여 외국인의 기준을 적용하였다는 점과 모발 미네랄 사이의 상호관련성을 비교하여 해석하기 어려운 점, 혈액 등 다른 생화학적 지표를 동시에 측정하지 못하여 비교를 하지 못한 점 등이 있으나, BMI에 따른 분명한 차이를 나타낸 Na, K, Fe, Zn 등은 비만에 따른 미네랄 불균형의 결과로 볼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정상체중군은 과체중이나 비만군에 비해 모발 조직의 아연(Zn)이 높고 나트륨(Na), 칼륨(K), 철(Fe) 등이 낮은 특징을 갖고 있는데, 비만군에게 이들 미네랄이 조정된 메뉴를 제공하여 음식물로 섭취하도록 권장할 필요가 있다. 또한, 현재의 연구 결과를 특정 미네랄의 불균형과 비만을 직접적으로 연관지어 해석하는데 무리가 있지만 모발 미네랄의 불균형을 조정하여 정상체중군과 비슷한 수치로 변화시킬 경우, 비만이 해소될 가능성도 고려해 볼 수 있다. 그러므로 이 연구를 통하여 개인별로 서로 다른 비만의 요인을 평가하는 도구로 모발 미네랄의 활용 가능성을 탐색할 수 있었으며, 비만과 연관성이 있는 미네랄을 조절할 수 있는 음식을 섭취하거나 과잉으로 평가된 미네랄을 제한하는 등의 개인별 맞춤 식사 처방의 근거자료로 활용할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했다. 향후 이러한 미네랄 불균형이 이루어지게 되는 의학적, 개인적, 환경적 그리고 심리적 문제점을 파악하여 일반적 비만관리 지침이 아닌 개인별로 세분화된 통합적 관점에서의 접근이 필요한 것으로 보인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종관, "위암환자에서 위절제술 전후의 미네랄(무기질)함량의 분석" 연세대학교 2003

      2 박현서, "모발의 아연과 납 함량 : 학령 전 아동의 영양소 섭취 상태와 신장 및 체중과의 관계*" 한국영양학회 37 (37): 193-201, 2004

      3 "김경수. 모발 조직 미네랄 검사클리닉(Hair Tissue Mineral Analysis Clinic), 새로 쓰는 가정의"

      4 Chen, M. D., "Zinc in hair and serum of obese individuals in Taiwan" 48 : 1307-1309, 1988

      5 Kim, H. S., "Toxic metal and mineral balance in human hair" 7 : 186-198, 1996

      6 Lee, E. J., "The association of hair zinc with metabolic risk factors for selected women in Korea" 14 : 170-177, 2005

      7 Suh, H. S., "The association of hair tissue magnesium level with obesity related variables" 14 : 22-28, 2005

      8 Laker, M., "On determining trace element levels in man: the use of blood and hair" 31 : 260-262, 1982

      9 Airey, D., "Mercury in human hair due to environment and diet" 52 : 303-316, 1983

      10 Kruse-Jarres, J. D., "Limited usefulness of essential trace element analysis in hair" 31 : 477-481, 2000

      1 김종관, "위암환자에서 위절제술 전후의 미네랄(무기질)함량의 분석" 연세대학교 2003

      2 박현서, "모발의 아연과 납 함량 : 학령 전 아동의 영양소 섭취 상태와 신장 및 체중과의 관계*" 한국영양학회 37 (37): 193-201, 2004

      3 "김경수. 모발 조직 미네랄 검사클리닉(Hair Tissue Mineral Analysis Clinic), 새로 쓰는 가정의"

      4 Chen, M. D., "Zinc in hair and serum of obese individuals in Taiwan" 48 : 1307-1309, 1988

      5 Kim, H. S., "Toxic metal and mineral balance in human hair" 7 : 186-198, 1996

      6 Lee, E. J., "The association of hair zinc with metabolic risk factors for selected women in Korea" 14 : 170-177, 2005

      7 Suh, H. S., "The association of hair tissue magnesium level with obesity related variables" 14 : 22-28, 2005

      8 Laker, M., "On determining trace element levels in man: the use of blood and hair" 31 : 260-262, 1982

      9 Airey, D., "Mercury in human hair due to environment and diet" 52 : 303-316, 1983

      10 Kruse-Jarres, J. D., "Limited usefulness of essential trace element analysis in hair" 31 : 477-481, 2000

      11 Campbell, J. D., "Lifestyle, minerals and health" 57 : 521-531, 2001

      12 Erten, J., "Hair zinc levels in healthy and malnourished children" 31 : 1172-1174, 1978

      13 Margarita, G. S., "Hair trace element contents in women with obesity and type 2 diabetes" 21 : 59-61, 2007

      14 Kim, J. N., "Hair mineral analysis of normal Korean children" 40 : 1518-1526, 2002

      15 Jang, S. I., "Hair mineral analysis in diebets" 23 : 1133-1140, 2002

      16 Cho, H. H., "Clinical symptom of premenstrual syndrome in Korean women according to tissue mineral concentration" 51 : 60-67, 2008

      17 Kopiyo, L., "Chronic plumbism in children" 209 : 14-, 1969

      18 Luque-Diaz, M. J., "Changes in the metabolism of iron, copper and zinc in obesity" 38 : 155-158, 1982

      19 Chandra, R. K., "Cell-mediated immunity in genetically obese (C57BL/6J ob/ob) mice" 33 : 13-16, 1980

      20 Kong, M. H., "Calcium and magnesium levels of hair tissue and insulin sensitivity" 16 : 111-115, 2007

      21 Lee, J. Y., "Aspect of minerals in the hair of smokers" 31 : 107-114, 2005

      22 Watts, D.L., "Accuracy of hair mineral analysis" 285 : 1576-1578, 2001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55 0.55 0.67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74 0.76 1.104 0.1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