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혼합형 선거제도하 정당명부 작성방식의 차이와 부패 = Types of Party-List PR and Political Corruption in Mixed-Member Electoral System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528828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비례대표 요소를 도입한 57개 국가들에 대한 분석을 통해 정치적 부패 수준이 선거제도와 정당명부 작성방식의 차이와 상관관계가 있음을 보인다. 특히 혼합형 다수대표제하에서 ...

      본 연구는 비례대표 요소를 도입한 57개 국가들에 대한 분석을 통해 정치적 부패 수준이 선거제도와 정당명부 작성방식의 차이와 상관관계가 있음을 보인다. 특히 혼합형 다수대표제하에서 정당명부 작성방식이 체제의 지속성과의 상호작용을 통해 국가의 부패 수준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경험적으로 입증한다. 본 연구는 로버스트 선형회귀모델 및 몬테카를로 시뮬레이션을 통해 체제의 안정성이 증가할 경우 부패 수준이 감소하는 일반적인 현상과는 대조적으로 혼합형 다수대표제와 폐쇄형 정당명부 방식이 결합될 경우 오히려 부패 수준이 더 높아질 수 있음을 보인다. 기존 이론만으로 이를 설명하기는 어려우며, 혼합형 선거제를 채택하는 국가들의 초기 조건, 특히 구체제 주요 정당의 능력과 정당체제의 확립을 고려한 가상 시나리오를 구성해 봄으 로써 이해될 수 있다. 결국 본 연구는 혼합형 선거제가 단순히 두 개의 순수형 선거 제(다수득표제와 비례대표제)의 중간에 존재하는 제도가 아닌 독특한 유형으로서 연구되어야 함을 주장한다. 또한 국가 전반에 만연한 부패를 줄이기 위해서 개방형 정당명부식 비례대표 또는 순수 다수득표제로의 전환과 같은 선거제도 개혁은 긍정적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는 실질적 함의를 제공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paper aims to analyze political corruption by electoral system and type of party list proportional representation in a cross-national setting. From (1) two different scenarios by strength of holdover parties and consolidation of party governance,...

      This paper aims to analyze political corruption by electoral system and type of party list proportional representation in a cross-national setting. From (1) two different scenarios by strength of holdover parties and consolidation of party governance, and (2) the Kunicová and Rose-Ackerman (2005) s theoretical framework regarding different levels of incentives as well as capabilities of voters to monitor political corruption by electoral system, this paper derive a testable hypothesis: a corruption level will rise in mixed-member majoritarian systems (MMMs) combined with the closed-list PR as the regime stability increases, which is contrasted with the general pattern observed in other electoral systems. Employing more robust statistical methods and Monte Carlo simulations, this paper demonstrates the hypothesis is valid in the cross-national setting, and the MMM is not a simple hybrid but a unique system in terms of political corruption. It also suggests that MMMs which have suffered from serious political corruption consider introducing open-list PR or pure plurality rule to reduce it.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론
      • Ⅱ. 이론적 논의
      • Ⅲ. 연구 디자인
      • Ⅳ. 결과 분석
      • Ⅴ. 결 론
      • Ⅰ. 서론
      • Ⅱ. 이론적 논의
      • Ⅲ. 연구 디자인
      • Ⅳ. 결과 분석
      • Ⅴ. 결 론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